$\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Cyprinid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3 no.3, 2011년, pp.198 - 205  

고명훈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김우중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박상용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방인철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초록

멸종위기어류 돌상어의 생물학적 특성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초기생활사를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홍천군에서 성숙한 개체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성숙한 암컷과 수컷은 Ovaprim을 주사한 후 건식법으호 인공 수정시켰다. 성숙란은 약한 접착성을 띤 투명한 회색난이었으며, 난경은 0.89${\pm}$0.04mm였다. 수온 23$^{\circ}C$에서 수정 후 107시간 만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직후 전기자어 크기는 전장 4.6${\pm}$0.16mm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6.1${\pm}$0.20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후기자어로, 부화 후 15일에는 전장 8.6${\pm}$0.67mm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 후에 31.5${\pm}$3.32mm로 체측반문과 외부형태가 성어와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rly life histor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was investiga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Adult fish were sampled by spoon net at Hongcheon-gun, Gangwon-do, Korea in April to June 2010. The female's eggs were obtained by injecting 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어류 꾸구리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생물학적 특징 및 근연종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 본 종의 복원 및 인공종묘 생산기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명훈?김익수?박종영. 2009. 낙동강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21: 15-22. 

  2. 국토해양부. 2010. 4대강 수계 멸종위기어종 증식 및 복원. 순천 향대학교, 489pp. 

  3. 김익수?박종영. 2007.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7pp 

  4. 김익수?최승호?이흥헌?한경호. 2004. 금강에 서식하는 감돌고 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탁란. 한국어류학회지, 16: 75-79. 

  5.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 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6. 송하윤?김우중?이완옥?방인철. 2008.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Cobitidae)의 난 발생 및 자어 형태 발달. 한국하천호수 학회지, 41: 104-110. 

  7. 송하윤?양 현?조은미?신현철?방인철. 2009. 멸종위기에 처한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dongensis (Cobitidae)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21: 247- 252. 

  8. 송호복?최신석. 1997. 금강모치(Moroco kumkangensis)의 난 발생과 자어의 성장. 한국육수학회지, 30: 67-74. 

  9. 최재석?변화근?권오길. 2001.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의 산란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3: 123-128. 

  10. 최재석?장영수?이광렬?권오길. 2004. 남한강에 서식하는 꾸구 리(Gobiobotia macrocephal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6: 165-172. 

  11.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법률 제7457호(시행규칙 제2 조). 

  12. 환경부. 2006. 멸종위기에 처한 한국특산어류의 종 보존과 복원 및 증식기술개발. 군산대학교, 537pp. 

  13. 환경부. 2009.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의 유전 다양성 분석, 인공 증식 및 생태계 복원기술 개방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 교, 506pp. 

  14. Baek, W.G. 1978. On the life history of Microphysogobio yaluensis (Mori). Korean J. Limnol., 11: 43-49. 

  15. Blexter, J.H.S. 1974. The early life history of fish. Spring-Verlag, Berlin, 765pp. 

  16. Choi, K.G. and Y.K. Baek. 1972. On the life-history of Gobiobotia macrocephalus Mori. Korean J. Limnol., 5: 45-57. (in Korean) 

  17. Han, K.H., S.H. Lee, W.I. Seo, D.J. Yoo, D.S. Jin, S.H. Oh and C.C. Kim. 2001.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false dace, Pseudorasbora parva. J. Inst. Sci. Yosu Natl. Univ., 3: 67-76. (in Korean) 

  18. Kang, Y.J., H. Yang, H.H, Lee, E.H. Lee and C.H. Kim. 2007. Characteristics on spawning-host selection and early life history of Sarcocheilichthys nigripinis morii (Pisces, Cyprinidae). Korean J. Environ. Biol., 25: 370-377. (in Korean) 

  19. Ko, M.H., S.Y. Park, I.R. Lee and I.C. Bang. 2011.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brevibarba (Pisces: Cyprinidae). Korean J. Limnol., 44: 136-143. 

  20. Lee, S.H., G.N. Oh, K.S. Kim, Y.S. Oh, K.W. Kang, J.H. Hwang, B.I. Lee, W.K. Lee and K.H. Han. 2008.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goby minnow, Pseudogobio esocinus. Dev. Reprod., 12: 283-288. 

  21. Lee, S.H., K.H. Han and D.S. Hwang. 2002. The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behavior of the Puntungia herzi. J. Inst. Sci. Yosu Natl. Univ., 4: 115-126. (in Korean) 

  22. Lee, S.H., K.H. Han, S.M. Yoon, D.S. Hwang, D.J. Yoo, C.L. Lee, I.S. Kim and Y.M. Son. 2004.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behavior of Pseudopuntungia nigra. Korean J. Ichthyol., 16: 309-316. 

  23.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pp. 139-143. 

  24. Shim, J.H. 1994. Early embroynic development of Gobiobotia brevibarba, Korea endemic species. Chungam National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Thesis, 26pp. 

  25. Song, H.B. and G.M. Park. 2005. Karyotypes of the species of Gobiobotia (Pisces: Cyprin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17: 159-166. 

  26. Song, H.H. 1977. Studies on the spawning and early development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J. Sci. Edu. Study (Jeonju University of Education), 3: 49-6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