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표지염색체의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Cytogenetic Characterization of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s by Chromosomal Microarray 원문보기

Journal of genetic medicine, v.8 no.2, 2011년, pp.119 - 124  

배미현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유한욱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진옥 (아산생명과학연구소) ,  홍마리아 (아산생명과학연구소) ,  서을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표지염색체(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는 유래한 염색체에 따라서 임상 증상이 다양하다. 본 연구는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SMC의 기원을 밝히고 각 증례마다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과 임상 표현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염색체 검사에서 SMC가 검출된 환자들 중에서 15번 염색체 유래를 제외한 4명의 환자에서 CGH 기법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시행하였다. 결과: 3명의 환자에서 유래된 염색체 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증례1은 1q21.1-q23.3에서 16.1 Mb의 SMC를 가졌고, 증례2는 19p13.11-q13.12에서 21 Mb, 증례3은 22q11.1-q11.21과 22q11.22-q11.23의 두 구간에서 각각 2.5Mb와 2.0Mb로 재배열된 4.5 Mb의 SMC를 나타내었다. 결론: 증례1은 1q21.1 중복증후군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임상표 현형을 나타내었다. 증례2는 아스퍼거 증후군과 유사한 정신행동 이상 소견은 19p12-q13.11, 청력장애와 사시는 19p13.11, 그 외 증상은 19q13.12의 유전자와 연관 가능성이 높다. 증례3은 묘안 증후군 type I 및 22q11.2 미세중복증후군과 비교했을 때 항문폐쇄는 22q11.1-q11.21, 그 외 증상들은 22q11.22-q11.23과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고해상도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은 SMC의 유래를 확인할 수 있고 유전형-표현형 상관성을 이해함으로써 유전상담에 도움이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 could be associated with various phenotypic abnormalities based on the chromosomal origin of SMC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genomic contents of SMCs using chromosomal microarray and to analyze molecular cytogenetic characterization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SMC의 유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고,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와 보고된 문헌들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각 증례들의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과 표현형간의 상관성을 파악해 볼 수 있었으며, 유전상담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지염색체란 무엇인가? 표지염색체(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는 고식적 염색체 검사에서 구조적 이상을가진미확인 염색체를의미하며 인구의 0.04-0.
표지염색체의 발생률은 얼마인가? 표지염색체(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는 고식적 염색체 검사에서 구조적 이상을가진미확인 염색체를의미하며 인구의 0.04-0.05%에서 존재하고1, 2), 신경발달 장애가 있는 환자의 0.3%에서 관찰된다3). SMC는 끝곁매듭염색체(acrocentric chromosome)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15번 염색체유래가 30%를 차지하며이 경우 주로 inv dup(15)의 형태를 가지면서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나타낸다2, 4).
표지염색체는 어디서 유래하나? 3%에서 관찰된다3). SMC는 끝곁매듭염색체(acrocentric chromosome)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15번 염색체유래가 30%를 차지하며이 경우 주로 inv dup(15)의 형태를 가지면서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나타낸다2, 4). SMC와 연관된 비정상 표현형의 빈도는 15번 염색체를 제외한 끝곁매듭염색체 유래인 경우7%인데 비해상염색체 유래인 SMC는 28%를보이고유래한 염색체에따라서 임상 증상이다양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lien V, Gerard-Blanluet M, Serero S, Le Du N, Baumann C, Jacquemont ML, et al. Partial trisomy of chromosome 22 resulting from a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22 in a child with features of cat eye syndrome. Am J Med Genet A 2008;146A:1871-4. 

  2. Liehr T, Claussen U, Starke H. Small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s (sSMC) in humans. Cytogenet Genome Res 2004;107:55-67. 

  3. Faucz FR, Souza J, Bonalumi Filho A, Sotomaior VS, Frantz E, Antoniuk S, et al. Mosaic partial trisomy 19p12-q13.11 due to a small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a locus associated with Asperger syndrome? Am J Med Genet A 2011;155A:2308-10. 

  4. Crolla JA. FISH and molecular studies of autosomal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s excluding those derived from chromosome 15: II.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Med Genet 1998;75:367-81. 

  5. Breen CJ, Barton L, Carey A, Dunlop A, Glancy M, Hall K, et al. Applications of comparative genomic hybridisation in constitutional chromosome studies. J Med Genet 1999; 36:511-7. 

  6. Dupont C, Pipiras E, Chantot-Bastaraud S, Verloes A, Baumann C, Wolf JP, et al. CGH and direct diagnosis of mosaic structural chromosomal abnormalities: description of a mosaic ring chromosome 17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ur J Hum Genet 2003;11:452-6. 

  7. Sheth F, Andrieux J, Ewers E, Kosyakova N, Weise A, Sheth H, et al. Characterization of sSMC by FISH and molecular techniques. Eur J Med Genet 2011;54:247-55. 

  8. Seo EJ. Clinical Applications of Chromosomal Microarray Analysis. J Genet Med 2010;7:111-8. 

  9. Mefford HC, Sharp AJ, Baker C, Itsara A, Jiang Z, Buysse K, et al. Recurrent rearrangements of chromosome 1q21.1 and variable pediatric phenotypes. N Engl J Med 2008; 359:1685-99. 

  10. Barbi G, Spaich C, Adolph S, Rossier E, Kehrer-Sawatzki H. Supernumerary der(1) marker chromosome derived from a ring chromosome 1 which has retained the original centromere and euchromatin from 1q21.1 --> q21.3 with substantial loss of 1q12 heterochromatin in a female with dysmorphic features and psychomotoric developmental delay. Am J Med Genet A 2005;132:419-24. 

  11. Shaffer LG, Slovak ML, Campbell LJ. An Internation System for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2009) Karger, 2009;121-8. 

  12. Vranekovic J, Brajenovic-Milic B, Modrusan-Mozetic Z, Babic I, Kapovic M. Severe psychomotor retardation in a boy with a small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19p. Cytogenet Genome Res 2008;121:298-301. 

  13. Ko JM, Kim JB, Pai KS, Yun JN, Park SJ. Partial tetrasomy of chromosome 22q11.1 resulting from a supernumerary isodicentric marker chromosome in a boy with cat-eye syndrome. J Korean Med Sci 2010;25:1798-801. 

  14. Wentzel C, Fernstrom M, Ohrner Y, Anneren G, Thuresson AC. Clinical variability of the 22q11.2 duplication syndrome. Eur J Med Genet 2008;51:501-10. 

  15. Liehr T, Ewers E, Hamid AB, Kosyakova N, Voigt M, Weise A, et al. Small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s and uniparental disomy have a story to tell. J Histochem Cytochem 2011;59:842-8. 

  16. Yu S, Cox K, Friend K, Smith S, Buchheim R, Bain S, et al. Familial 22q11.2 duplication: a three-generation family with a 3-Mb duplication and a familial 1.5-Mb duplication. Clin Genet 2008;73:1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