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합성된 쿼럼 신호 유사 물질에 의한 녹농균 쿼럼 센싱 및 생물막 형성의 제어
Inhibition of Quorum Sensing and Biofilm Formation by Synthetic Quorum Signal Analogues in Pseudomonas aeruginosa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1, 2011년, pp.29 - 36  

김수경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미생물학 연구실) ,  김철진 ,  윤제용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이준희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미생물학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그람음성 간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비뇨기, 각막, 호흡기, 화상부위 등에 광범위하게 감염하는 기회감염성 병원균으로, 병원성의 발현에 세균의 세포밀도 인식 기전인 쿼럼 센싱(quorum sensing)이 매우 중요하게 관여한다. 사전 연구에서 녹농균 감염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쿼럼 센싱의 주 신호물질인 N-3-oxododecanoyl-HSL(3OC12-HSL)의 분자 구조가 변형된 물질들을 합성하여 쿼럼 센싱 억제물질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 두 개의 물질들(5b, 5f)이 대장균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녹농균의 주요 쿼럼 센싱 수용체 단백질인 LasR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물질들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녹농균에서 이 물질들이 쿼럼 센싱과 병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대장균을 이용한 리포터 분석에서와는 달리, 5b와 5f 모두 녹농균에서 직접 처리하였을 때는 LasR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대신 이 물질들은 녹농균의 또다른 쿼럼 센싱 수용체 단백질인 QscR의 활성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흥미롭게도 이 물질들의 효과는 대장균에서 얻어진 결과와는 달랐으며 다소 복잡하였다. 두 물질 모두 낮은 농도 범위(<10 ${\mu}m$)에서 QscR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높은 농도의 5f(${\approx}$1 mM)는 QscR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두 물질 모두 중요한 병독인자인 프로테아제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만성감염을 매개하는데 중요한 생물막의 형성은 의미있게 감소시켰다. 특히 5f는 생물막의 성숙단계 보다는 녹농균 세포의 초기 부착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5f의 경우 독성의 증가 없이 생물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응용이 가능하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monas aeruginosa is an opportunistic pathogen that causes various infections on urinary track, cornea, respiratory track, and burn wound site, and mainly relies on quorum sensing (QS) for its virulence. To control the infectivity of P. aeruginosa, we previously synthesized the structural anal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0]. 본 연구에서는 이 물질들이 실제 녹농균에서도 효과적으로 QS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 LasR과 QscR중 어느 수용체 단백질을 통해 이러한 QS 저해 효과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으며, 이들이 병독소(virulence factor)의 발현 및 생물막 형성과 같은 병원성 매개 인자들에 실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 5b와 5f는 모두 3OC12-HSL의 수용체인 LasR의 신호물질 결합부위에 3OC12-HSL보다 더 높은 결합에너지(docking score)를 가지는 구조로 in silico 모델링 분석에서 예측되었으며, 실제 대장균 QS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LasR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밝혀진 물질이다[20]. 이 물질들을 실제로 녹농균에 처리했을 때, 녹농균의 QS 반응을 주도하는 신호물질인 3OC12-HSL의 수용체인 LasR과 QscR의 활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녹농균의 성장에 따른 LasR과 QscR의 활성 변화를 측정해 보았다. 5b의 경우 대장균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결과와는 달리 성장 단계 전체에 걸쳐 LasR의 활성을 억제하지 못하였다(Fig.
  • 5b와 5f가 LasR과 QscR을 구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이들이 QS과 관련된 중요한 표현형에 어떻게 작용할지 판단하기 어려웠으므로, 이를 알아보기 위해 QS와 관련된 중요한 생리적 특징인 병독인자(virulence factor)의 생산에 이들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b와 5f를 녹농균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후, 대표적 병독인자인 프로테아제 활성을 skim milk 배지법을 이용하여 측정해 보았을 때, 5b와 5f 모두 측정한 모든 농도 범위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Fig.
  • 저해제들이 녹농균의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물막 형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여러 농도로 5b와 5f를 처리한 후, 정지 생물막 측정법(static biofilm assa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두 저해제 모두 의미있게 녹농균의 생물막 형성을 저해하였다.
  • 본 연구는 세균 QS 저해제 개발을 위한 지속적 연구의 일환으로 이전 연구에서 in silico 모델링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QS 저해제로 발굴된 두 가지 물질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평가를 위한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이들 화합물들이 대장균 리포터 균주에서는 3OC12-HSL 수용체중 LasR의 활성을 억제한 것과는 달리, 녹농균에서는 LasR보다는 녹농균의 또 다른 3OC12-HSL 수용체인 QscR의 활성에 주된 영향을 주며, 그 영향도 단순한 활성 억제라기 보다는 5b의 경우 활성 증가이거나, 혹은 5f의 경우처럼 농도에 따른 활성 억제였음을 알 수 있었다.
  • 사전 연구에서 녹농균 감염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쿼럼 센싱의 주 신호물질인 N-3-oxododecanoyl-HSL(3OC12-HSL)의 분자 구조가 변형된 물질들을 합성하여 쿼럼 센싱 억제물질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 두 개의 물질들(5b, 5f)이 대장균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녹농균의 주요 쿼럼 센싱 수용체 단백질인 LasR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물질들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녹농균에서 이 물질들이 쿼럼 센싱과 병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대장균을 이용한 리포터 분석에서와는 달리, 5b와 5f 모두 녹농균에서 직접 처리하였을 때는 LasR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농균이란 무엇인가? 그람음성 간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비뇨기, 각막, 호흡기, 화상부위 등에 광범위하게 감염하는 기회감염성 병원균으로, 병원성의 발현에 세균의 세포밀도 인식 기전인 쿼럼 센싱(quorum sensing)이 매우 중요하게 관여한다. 사전 연구에서 녹농균 감염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쿼럼 센싱의 주 신호물질인 N-3-oxododecanoyl-HSL(3OC12-HSL)의 분자 구조가 변형된 물질들을 합성하여 쿼럼 센싱 억제물질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 두 개의 물질들(5b, 5f)이 대장균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녹농균의 주요 쿼럼 센싱 수용체 단백질인 LasR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었다.
실제 녹농균에서 5b, 5f가 쿼럼 센싱과 병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이 물질들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녹농균에서 이 물질들이 쿼럼 센싱과 병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대장균을 이용한 리포터 분석에서와는 달리, 5b와 5f 모두 녹농균에서 직접 처리하였을 때는 LasR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대신 이 물질들은 녹농균의 또다른 쿼럼 센싱 수용체 단백질인 QscR의 활성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흥미롭게도 이 물질들의 효과는 대장균에서 얻어진 결과와는 달랐으며 다소 복잡하였다. 두 물질 모두 낮은 농도 범위(<10 µM)에서 QscR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높은 농도의 5f(≈1 mM)는 QscR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두 물질 모두 중요한 병독인자인 프로테아제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만성감염을 매개하는데 중요한 생물막의 형성은 의미있게 감소시켰다. 특히 5f는 생물막의 성숙단계 보다는 녹농균 세포의 초기 부착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5f의 경우 독성의 증가 없이 생물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응용이 가능하다고 제안한다.
쿼럼 센싱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병독인자들 중에는 감염시 주변 환경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 관여하는 주변 환경 인지 및 병독인자 발현 조절 단백질들은 병원균의 병원성을 제어하기 위한 중요한 타겟으로 여겨져 왔으며, 이들의 활성을 억제, 교란, 조절 할 수 있는 물질들이 새로운 항생 전략의 일환으로 많이 연구되어 왔다[14]. 이 중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이 세포밀도 인식 기전으로 처음 발견되어 이후 여러 세균에서 병독인자들의 발현, 생물막 형성, 운동성, 항생제 내성 등과 같은 병원성 발현에 매우 중요한 조절 기전으로 밝혀진 쿼럼 센싱(quorum sensing; QS)이다[30, 37, 38]. 다양한 병원균들에서 QS는 병원성을 제어하기 위한 좋은 타겟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다양한 QS 억제 물질들이 광범위하게 탐색되어 왔다[3, 12, 17, 19,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bdel-Mawgoud, A. M., F. Lepine, and E. Deziel. 2010. Rhamnolipids: Diversity of structures, microbial origins and roles. Appl Microbiol Biotechnol. 86: 1323-1336. 

  2. Alionte, L. G., B. M. Cannon, C. D. White, A. R. Caballero, R. J. O'Callaghan, and J. A. Hobden. 2001. Pseudomonas aeruginosa lasa protease and corneal infections. Curr Eye Res. 22: 266-271. 

  3. Balaban, N., A. Giacometti, O. Cirioni, Y. Gov, R. Ghiselli, F. Mocchegiani, C. Viticchi, M. S. Del Prete, V. Saba, G. Scalise, and G. Dell'Acqua. 2003. Use of the quorumsensing inhibitor rnaiii-inhibiting peptide to prevent biofilm formation in vivo by drug-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J Infect Dis. 187: 625-630. 

  4. Baveja, J. K., G. Li, R. E. Nordon, E. B. Hume, N. Kumar, M. D. Willcox, and L. A. Poole-Warren. 2004. Biological performance of a novel synthetic furanone-based antimicrobial. Biomaterials. 25: 5013-5021. 

  5. Blackwood, L. L., R. M. Stone, B. H. Iglewski, and J. E. Pennington. 1983. Evalu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 and elastase as virulence factors in acute lung infection. Infect Immun. 39: 198-201. 

  6. Bruno, T. F., D. E. Woods, and C. H. Mody. 2000. Exoenzyme s from pseudomonas aeruginosa induces apoptosis in t lymphocytes. J Leukoc Biol. 67: 808-816. 

  7. Chugani, S. A., M. Whiteley, K. M. Lee, D. D'Argenio, C. Manoil, and E. P. Greenberg. 2001. Qscr, a modulator of quorum-sensing signal synthesis and virulence in pseudomonas aeruginosa. Proc Natl Acad Sci U S A. 98: 2752-2757. 

  8. Cos, P., K. Tote, T. Horemans, and L. Maes. 2010. Biofilms: An extra hurdle for effective antimicrobial therapy. Curr Pharm Des. 16: 2279-2295. 

  9. Davies, D. G., M. R. Parsek, J. P. Pearson, B. H. Iglewski, J. W. Costerton, and E. P. Greenberg. 1998. The involvement of cell-to-cell signals in the development of a bacterial biofilm. Science. 280: 295-298. 

  10. Dietrich, L. E., A. Price-Whelan, A. Petersen, M. Whiteley, and D. K. Newman. 2006. The phenazine pyocyanin is a terminal signalling factor in the quorum sensing network of pseudomonas aeruginosa. Mol Microbiol. 61: 1308-1321. 

  11. Diggle, S. P., P. Cornelis, P. Williams, and M. Camara. 2006. 4-quinolone signalling in pseudomonas aeruginosa: Old molecules, new perspectives. Int J Med Microbiol. 296: 83- 91. 

  12. Dong, Y. H. and L. H. Zhang. 2005. Quorum sensing and quorum-quenching enzymes. J Microbiol. 43 Spec No, 101- 109. 

  13. Francolini, I. and G. Donelli. 2010. Prevention and control of biofilm-based medical-device-related infections. FEMS Immunol Med Microbiol. 59: 227-238. 

  14. Hentzer, M., H. Wu, J. B. Andersen, K. Riedel, T. B. Rasmussen, N. Bagge, N. Kumar, M. A. Schembri, Z. Song, P. Kristoffersen, M. Manefield, J. W. Costerton, S. Molin, L. Eberl, P. Steinberg, S. Kjelleberg, N. Hoiby, and M. Givskov. 2003. Attenu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virulence by quorum sensing inhibitors. EMBO J. 22: 3803-3815. 

  15. Heydorn, A., B. Ersboll, J. Kato, M. Hentzer, M. R. Parsek, T. Tolker-Nielsen, M. Givskov, and S. Molin. 2002. Statistical analysis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development: Impact of mutations in genes involved in twitching motility, cell-to-cell signaling, and stationary-phase sigma factor expression. Appl Environ Microbiol. 68: 2008-2017. 

  16. Johnson, M. K. and D. Boese-Marrazzo. 1980.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heat-stable extracellular hemolys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 Immun. 29: 1028-1033. 

  17. Kim, C., J. Kim, H. Y. Park, J. H. Lee, H. J. Park, C. K. Kim, and J. Yoon. 2009. Structural understanding of quorum-sensing inhibitors by molecular modeling study in pseudomonas aeruginosa. Appl Microbiol Biotechnol. 83: 1095-1103. 

  18. Kim, C., J. Kim, H. Y. Park, R. J. McLean, C. K. Kim, J. Jeon, S. S. Yi, Y. G. Kim, Y. S. Lee, and J. Yoon. 2007. Molecular modeling, synthesis, and screening of new bacterial quorumsensing antagonists. J Microbiol Biotechnol. 17: 1598-1606. 

  19. Kim, C., J. Kim, H. Y. Park, H. J. Park, C. K. Kim, J. Yoon, and J. H. Lee. 2009. Development of inhibitors against trar quorum-sensing system in agrobacterium tumefaciens by molecular modeling of the ligand-receptor interaction. Mol Cells. 28: 447-453. 

  20. Kim, C., J. Kim, H. Y. Park, H. J. Park, J. H. Lee, C. K. Kim, and J. Yoon. 2008. Furanone derivatives as quorumsensing antagonists of pseudomonas aeruginosa. Appl Microbiol Biotechnol. 80: 37-47. 

  21. Lee, J. H., Y. Lequette, and E. P. Greenberg. 2006. Activity of purified qscr, a pseudomonas aeruginosa orphan quorumsensing transcription factor. Mol Microbiol. 59: 602-609. 

  22. Lequette, Y., J. H. Lee, F. Ledgham, A. Lazdunski, and E. P. Greenberg. 2006. A distinct qscr regulon in the pseudomonas aeruginosa quorum-sensing circuit. J Bacteriol. 188: 3365- 3370. 

  23. Manefield, M., T. B. Rasmussen, M. Henzter, J. B. Andersen, P. Steinberg, S. Kjelleberg, and M. Givskov. 2002. Halogenated furanones inhibit quorum sensing through accelerated luxr turnover. Microbiology. 148: 1119-1127. 

  24. Matsumoto, K. 2004. Role of bacterial proteases in pseudomonal and serratial keratitis. Biol Chem. 385: 1007- 1016. 

  25. Page, M. G. and J. Heim. 2009. Prospects for the next antipseudomonas drug. Curr Opin Pharmacol. 9: 558-565. 

  26. Park, S. J., H. Y. Chung, and J. H. Lee. Rapid in vivo screening system for anti-oxidant activity using bacterial redox sensor strains. J Appl Microbiol. 108: 1217-1225. 

  27. Parsek, M. R. and E. P. Greenberg. 2005. Sociomicrobiology: The connections between quorum sensing and biofilms. Trends Microbiol. 13: 27-33. 

  28. Pesavento, C. and R. Hengge. 2009. Bacterial nucleotidebased second messengers. Curr Opin Microbiol. 12: 170- 176. 

  29. Purevdorj, B., J. W. Costerton, and P. Stoodley. 2002. Influence of hydrodynamics and cell signaling on the structure and behavior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Appl Environ Microbiol. 68: 4457-4464. 

  30. Reading, N. C. and V. Sperandio. 2006. Quorum sensing: The many languages of bacteria. FEMS Microbiol Lett. 254: 1-11. 

  31. Schuster, M. and E. P. Greenberg. 2006. A network of networks: Quorum-sensing gene regulation in pseudomonas aeruginosa. Int J Med Microbiol. 296: 73-81. 

  32. Schuster, M., M. L. Urbanowski, and E. P. Greenberg. 2004. Promoter specificity in pseudomonas aeruginosa quorum sensing revealed by DNA binding of purified lasr. Proc Natl Acad Sci U S A. 101: 15833-15839. 

  33. Smith, K. M., Y. Bu, and H. Suga. 2003. Library screening for synthetic agonists and antagonists of a pseudomonas aeruginosa autoinducer. Chem Biol. 10: 563-571. 

  34. Stover, C. K., X. Q. Pham, A. L. Erwin, S. D. Mizoguchi, P. Warrener, M. J. Hickey, F. S. Brinkman, W. O. Hufnagle, D. J. Kowalik, M. Lagrou, R. L. Garber, L. Goltry, E. Tolentino, S. Westbrock-Wadman, Y. Yuan, L. L. Brody, S. N. Coulter, K. R. Folger, A. Kas, K. Larbig, R. Lim, K. Smith, D. Spencer, G. K. Wong, Z. Wu, I. T. Paulsen, J. Reizer, M. H. Saier, R. E. Hancock, S. Lory, and M. V. Olson. 2000.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seudomonas aeruginosa pao1, an opportunistic pathogen. Nature. 406: 959-964. 

  35. Suman, E., S. Varghese, and J. Jose. 2005. Gentamicin resistance in biofilm producing pseudomonas aeruginosa causing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dian J Med Sci. 59: 214-216. 

  36. Tang, A., M. E. Marquart, J. D. Fratkin, C. C. McCormick, A. R. Caballero, H. P. Gatlin, and R. J. O'Callaghan. 2009. Properties of pasp: A pseudomonas protease capable of mediating corneal erosions. Invest Ophthalmol Vis Sci. 50: 3794-3801. 

  37. Welch, M., H. Mikkelsen, J. E. Swatton, D. Smith, G. L. Thomas, F. G. Glansdorp, and D. R. Spring. 2005. Cell-cell communication in gram-negative bacteria. Mol Biosyst. 1: 196-202. 

  38. Williams, P. 2007. Quorum sensing, communication and cross-kingdom signalling in the bacterial world. Microbiology. 153: 3923-3938. 

  39. Ymele-Leki, P. and J. M. Ross. 2007. Erosion from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s grown under physiologically relevant fluid shear forces yields bacterial cells with reduced avidity to collagen. Appl Environ Microbiol. 73: 1834-18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