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일염 생산공정별 미생물 분포 조사 및 호염미생물 동정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Halophilic Bacteria in Solar Salts Produced during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2, 2011년, pp.133 - 139  

나종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강민승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진효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화학과) ,  김영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제정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정봉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조영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재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소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남지역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의 생산공정별 미생물 분포 조사 및 배양 분리법을 이용하여 호염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하는 것을 이번 연구의 목표로 삼았다. 천일염 시료는 생산지를 고려하여 육지 염전인 영광군 한 지역과 해안 염전 지역인 신안군 두 군데에서 생산공정별로 세분화하여 총 28개 분석시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 시료를 십진 희석하여 4종류의 미생물 분리용 배지에 도말, 배양한 후 나타난 집락(colony)을 계수하였다. 그 결과 천일염 생산 공정 중 대장균 등의 식품 오염지표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저장수에서 증발지 단계로 진행되면서 $1.1{\times}10^3{\sim}1.8{\times}10^5$ CFU/g의 호염성 미생물들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이후 단계인 함수저장고, 결정지에서는 미생물 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소금저장소에 보관된 천일염 시료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분리균들은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62개 집락을 선정하여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미생물들은 PCR 기법을 통해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유전자 database와 비교함으로써 12속의 천일염 유래 호염균들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 천일염 생산 단계에서 분리된 halophilic bacteria은 Halobacillus, Halomonas, Bacillus, Idiomarina, Marinobacter, Pseudoalteromonas, Vibrio, Salinivibrio, Virgibacillus, Alteromonas, Staphylococcus 및 un-known 등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hanges in microbial numbers in solar salt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orage duration. The salt samples were harvested from salt farms in Shinan (area 2) and Yeonggwang (area 1). They were serially diluted ten-fold and then placed on 4 kinds of c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일염 생산의 근원이 되는 해수로부터 천일염이 형성되어 저장하기까지의 생산공정별 미생물분포 조사를 16S rRNA sequencing분석을 바탕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최대 생산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미생물학적 위생안전성을 확인하고,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호염미생물을 분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전남지역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의 생산공정별 미생물 분포 조사 및 배양 분리법을 이용하여 호염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하는 것을 이번 연구의 목표로 삼았다. 천일염시료는 생산지를 고려하여 육지 염전인 영광군 한 지역과 해안 염전 지역인 신안군 두 군데에서 생산공정별로 세분화하여 총 28개 분석시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 시료를 십진 희석하여 4종류의 미생물 분리용 배지에 도말, 배양한 후 나타난 집락(colony)을 계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일염 생산의 근원이 되는 해수로부터 천일염이 형성되어 저장하기까지의 생산공정별 미생물분포 조사를 16S rRNA sequencing분석을 바탕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최대 생산지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미생물학적 위생안전성을 확인하고,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호염미생물을 분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생산 단계에 분리한 천일염 유래 호염균은? 순수 분리된 미생물들은 PCR 기법을 통해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유전자 database와 비교함으로써 12속의 천일염 유래 호염균들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 천일염 생산 단계에서 분리된 halophilic bacteria은 Halobacillus, Halomonas, Bacillus, Idiomarina, Marinobacter, Pseudoalteromonas, Vibrio, Salinivibrio, Virgibacillus, Alteromonas, Staphylococcus 및 un-known 등이다.
본 연구에서 미생물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기법은? 이들 분리균들은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62개 집락을 선정하여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미생물들은 PCR 기법을 통해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유전자 database와 비교함으로써 12속의 천일염 유래 호염균들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 천일염 생산 단계에서 분리된 halophilic bacteria은 Halobacillus, Halomonas, Bacillus, Idiomarina, Marinobacter, Pseudoalteromonas, Vibrio, Salinivibrio, Virgibacillus, Alteromonas, Staphylococcus및 unknown 등이다.
미생물을 염 농도 적응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그러나 미생물학적 접근으로 볼 때 염농도는 미생물 생육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중 하나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염농도 1% 이내를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지만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들 중 그 이상의 염농도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것들도 있다[8]. 이들을 염농도에 적응여부를 기준으로 높은 염농도에서 생육 가능한 내염성 미생물과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는 호염성 미생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호염성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최적 염농도에 따라 내염성균(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ati, H. S. Guermazi, N. Gharsallah, A. Sghir, and E. Ammar. 2010. Microbial community of salt crystals processed from Mediterranean seawater based on 16S rRNA analysis. Can. J. Microbiol. 56: 44-51. 

  2. Beak, H. Y. 1987. A study on nutrition of salt. Kor. J. Soc. Food Cookery Sci. 3: 92-106. 

  3. Benlloch, S., A. Lopez-Lopez, E. O. Casamayor, L. Ovreas, V. Goddard, F. L. Daae, G. Smerdon, R. Massana, I. Joint, F. Thingstad, C. Pedros-Alio, and F. Rodriguez-Valera. 2002. Prokaryotic genetic diversity throughout the salinity gradient of a coastal solar saltern, Environ. Microbiol. 4: 349-360. 

  4. Birbir, M., B. Calli, B. Mertoglu, R. E. Bardavid, A. Oren, M. N. Ogmen, and A. Ogan. 2007. Extremely halophilic Archaea from Tuz Lake, Turkey, and the adjacent Kaldirim and Kayacik salterns. World J. Microbiol. Biotech. 23: 309- 316. 

  5. Gilmour, D. 1990. Microbiology of Extreme Environments. Halotolerant and halophilic microorganism. McGraw-Hill. New York. pp. 147-177. 

  6. Huh, K., M. H. Kim, M. K. Hong, and I. S. Song. 1999. Safety evaluation of salt in food hygie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386-386 

  7. Hwang, K. M., S. H. Oh, and K. Y. Park. 2007. Increased antimutagenic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by adding green tea extract and bamboo salt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6: 1-7. 

  8. Javor, B. 1984. Growth potential of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solar salt environments: carbon sources and salt requirements. Appl. Environ. Microbiol. 48: 352-360. 

  9. Javor, B. J. 2002. Industrial microbiology of solar salt product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28: 42-47. 

  10. Jo, E. J. and D. H, Shin.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d. Hyg. Safety. 13: 360-364. 

  11. Kim, S. Y. and H. J. Park. 2009. Global Food and Culture. pp. 23-33. Summer ed. Studies on solar salts as the ingredients for development of well-being foods.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AS, RDA, KOREA (In Korean). 

  12. Lee, K. D., J. W. Park, C. R. Choi, H. W. Song, S. K. Yun, H. C. Yang, and K. S. Ham. 2007. Salinity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olar salts produced in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 J. Kor. Soc. Food Sci. Nutr. 36: 753-758 

  13. Liaw, H. J. and R. A. Mah. 199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aloanaerobacter chitinovorans gen. nov., sp. nov., a Halophilic, Anaerobic, Chitinolytic Bacterium from a Solar Saltern. Appl. Environ. Microbiol. 58: 260-266.?? 

  14. Lim, J. M., J. H. Yoon, J. C. Lee, C. O. Jeon, D. J. Park, C. K. Sungm, and C. J. Kim. 2004. Halomonas koreensis sp. nov., a novel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um isolated from a solar saltern.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2037- 2042. 

  15. Madigan, M. T. and J. M. Martinko. 2006.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th ed.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16. Niino, Y., H. Nishimura, A. Koga, Y. Nakayama, and M. Haga. 2003 Quality of common salt(part II). J. Cookery Sci. Japan. 36: 305-320. 

  17. Oren, A. 2008. Microbial life at high salt concentrations: phylogenetic and metabolic diversity. Saline Systems. 4: 2. 

  18. Park, H. S. and M. J. Jeong. 199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extremely halophilic bacterium from solar salt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671-677. 

  19. Park, J. W., S. J. Kim, S. H. Kim, B. H. Kim, S. G. Kang, S. H. Nam, and S. T. Jung.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20. Pesenti, P. T., M. Sikaroodi, P. M. Gillevet, C. Sanchez- Porro, A. Ventosa, and C. D. Litchfield. 2008. Halorubrum californiense sp. nov., an extreme archaeal halophile isolated from a crystallizer pond at a solar salt plant in California, USA.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2710-2715. 

  21. Shin, T. S., C. K. Park, S. H. Lee, and K. H. Han. 2005. Effect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in sun-dried salts. Kor. J. Food Sci. Technol. 37: 312-317. 

  22. Sorokin, D. Yu., T. P. Tourova, A. M. Lysenko, and G. Muyzer. 2006. Diversity of culturable halophilic sulfuroxidizing bacteria in hypersaline habitats. Microbiology 152: 3013-3023. 

  23. Ventosa, A., E. Quesada, F. Rodriguez-Valera, F. Ruiz- Berraquero, and A. Ramos-Cormenzana. 1982. Numerical taxonomy of moderately halophilic gram-negative rods. J. Gen. Microbiol. 128: 1959-1968. 

  24. VijayAnand, S., J. Hemapriya, J. Selvin, S. Kiran, and J. Hemapriya. 2010. Production and optimization of haloalkaliphilic protease by an extremophile Halobacterium sp. JS1, isolated from thalassohaline environment. Global J. Biotech. Biochem. 5: 44-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