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양 분리법을 통한 젓갈 내 원핵 세균 군집 분석 및 신규 미생물의 분리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Using Culture-Dependent Method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1, 2009년, pp.26 - 31  

김민수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박은진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정미자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노성운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배진우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젓갈로부터 배양 분리법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원핵 세균 군집을 분석하고, 신규 미생물 분리를 목표로 하였다. 젓갈은 생산 지역과 주재료를 고려하여 17 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젓갈 시료를 적정 희석배수로 희석하여 12종류의 미생물 선택배지에 도말, 배양한 후 나타난 집락(colony)을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308개를 선정하여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미생물은 PCR 방법을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database와 비교함으로서 17종의 젓갈 내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였다. 젓갈의 발효 및 숙성 과정에 관여하는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속, Weisella 속, Lactococcus 속, Lactobacillus 속, Carnobacterium 속, Marinilactibacillus 속, Tetragenococcus 속)와 Bacillus 속, Pseudomonas 속, Micrococcus 속, Brevibacterium 속, Microbacterium 속과 Kocuria 속이 17가지 젓갈에서 광범위하게 분리되었으며, Salinicoccus 속, Halomonas 속, Cobetia 속, Lentibacillus 속, Paracoccus 속, Psychrobacter 속이 소수 분리되었다. 또한 분리된 미생물의 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보고된 적이 없는 신규 미생물 14종을 분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at the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from jeotgal by using culture-dependent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Seventeen kinds of jeotgal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its origins and sourc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를 바탕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젓갈에 존재하는 원핵세균 군집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미생물을 분리, 보고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인 젓갈의 원핵 세균 군집 분포 분석및 신규 미생물 분리를 목적으로 지역과 주재료를 고려하여 총 17종류의 젓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약 164여 종의 젓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5, 19), 고염의 환경으로 인하여 호염성 미생물 비율이 높고 이들이 젓갈의 숙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젓갈의 종류는 몇 가지인가? 젓갈은 그 특유의 감칠맛 덕분에 예로부터 밥반찬과 조미료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3, 4), 유리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단백질 공급 원으로 알려져 있다(13). 우리나라 젓갈은 지역성과 주재료의 종류에 따라 약 164 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젓갈이란 무엇인가? 젓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산 발효 식품으로써 젓과 식해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19). 젓은 어패류의 살, 내장과 알을 약 20%의 소금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가공식품이며, 식해는 생선에 소금, 고춧가루, 밥알을 섞어서 발효시킨 것으로 생성된 젖산에 의한 부패가 방지되는 발효식품이다(19).
젓갈은 젓과 식해를 통틀어서 일컫는 말인데, 젓과 식해란 무엇인가? 젓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산 발효 식품으로써 젓과 식해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19). 젓은 어패류의 살, 내장과 알을 약 20%의 소금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가공식품이며, 식해는 생선에 소금, 고춧가루, 밥알을 섞어서 발효시킨 것으로 생성된 젖산에 의한 부패가 방지되는 발효식품이다(19). 젓갈은 그 특유의 감칠맛 덕분에 예로부터 밥반찬과 조미료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3, 4), 유리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단백질 공급 원으로 알려져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도순석, 이영미, 장학길. 1993. 지역별 젓갈의 종류와 이용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 9, 222-229 

  2. 윤지혜, 이명숙. 1993. 저염 창란젓갈 제조 과정중 미생물상의 변화. 한국국제경제학회. PB-25, 140-141 

  3. 이철호, 이옹호, 임무현. 1987. 한국의 수산발효식품, 유림문화사 

  4. 한국식품개발원. 1990. 한국의 젓갈. 기술신서 제4집 

  5.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전통식품연구실. 1992. 전통식품의 현대화 전략 

  6. Baker, G.C., J.J. Smith, and D.A. Cowan. 2003. Review and reanalysis of domain-specific 16S primers. J. Microbiol. Methods 55, 541-555 

  7. Cha, S.K., J.S. Ahn, and B.H. Ahn. 2001. Searching and preservation of mircrobial resources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Ind. Nutr. 6, 60-66 

  8. Cha, Y.J., S.Y. Chung, J.H. Ha, I.C. Jeong, and E.H. Lee. 1983. Studies on the processio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Bull. Korean Fish Soc. 16, 211-215 

  9. Chun, J., J.H. Lee, Y. Jung, M. Kim, S. Kim, B.K. Kim, and Y.W. Lim. 2007. Eztaxon: A web-based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prokaryotes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2259-2261 

  10. Ezaki, T., H. Hashimoto, and E. Yabuuchi. 1989. Fluorometric deoxyribonucleic acid-deoxyribonucleic acid hybridization in microdilution wells as an alternative to membrane filter hybridization in which radioisotopes are used to determine genetic relatedness among bacterial strains. Int. J. Syst. Bacteriol. 39, 224-229 

  11. Hirayama, H., J. Tamaoka, and K. Horikoshi. 1996. Improved immobilization of DNA to microwell plates for DNA-DNA hybridization. Nucleic Acids Res. 24, 4098-4099 

  12. Hur, S.H. 1996.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J. Food Sci. Nutr. 25, 885-891 

  13. Kim, S.J., S.J. Ma, and H.L. Kim. 2005.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Kor. J. Food Preserv. 12, 184-189 

  14. Lee, J.G. and W.K. Choi. 1974.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Bull Korean Fish Soc. 7, 105-114 

  15. Roh, S.W., Y.D. Nam, H.W. Chang, Y. Sung, K.H. Kim, H.J. Lee, H.M. Oh, and J.W. Bae. 2007. Natronococcus jeotgali sp. nov., a halophilic archaeon isolated from shrimp jeotgal, a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from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2129-2131 

  16.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7. Stackebrandt, E. and B.M. Goebel. 1994. Taxonomic note: A place for DNA-DNA reassociation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in the present species definition in bacteriology. Int. J. Syst. Bacteriol. 44, 846-849 

  18. Stackebrandt, E., C. Koch, O. Gvozdiak, and P. Schumann. 1995. Kocuria gen. nov., Nesterenkonia gen. nov., Kytococcus gen. nov., Dermacoccus gen. nov., and Micrococcus Cohn 1872 gen. emend. Int. J. Syst. Bacteriol. 45, 682-692 

  19. Suh, H.K. and S.S. Yoon. 1987. The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otkal. Korean J. Dietary Culture 2, 45-54 

  20. Tamura, K., J. Dudley, M. Nei, and S. Kumar.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 1596-1599 

  21. Thompson, J.D., T.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G. Higgins.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22. Wayne, L.G., D.J. Brenner, and R.R. Colwell. 1987.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on reconciliation of approaches to bacterial systematics. Int. J. Syst. Bacteriol. 37, 463-4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