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코올 중독자 성인 자녀인 대학생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5, 2011년, pp.642 - 651  

김희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형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il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 who are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resilience. Methods: A total of 459 colleg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 실무의 측면에서는 개인의 극복력과 사회적지지, 자존감, 가족 적응력 및 결속력의 수준을 고려하여 각 개인의 환경과 특성에 따른개입지침을 마련하고,대학생 ACOA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을 강화시켜 극복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넷째, 대학생 ACOA의 극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일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ACOA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들의 극복력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극복력의 보호 요소 중 개인적 요인으로 자존감, 가족적 요인으로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 ACOA의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동일한 환경이라 할지라도 각 개인의 특성에 따른 개입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ACOA의 분포와 극복력, 사회적 지지, 자존감,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 수준을 파악하고,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대 학생 ACOA의 개입 지침을 마련하고 예방적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중 ACOA의 분포를 파악하고 그들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인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성인자녀(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의 극복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학생은 발달과정상 후기청소년기(초기성인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급격한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며,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진입을 위해 치열하게 준비하는 시기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일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ACOA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들의 극복력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극복력의 보호 요소 중 개인적 요인으로 자존감, 가족적 요인으로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 ACOA의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동일한 환경이라 할지라도 각 개인의 특성에 따른 개입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복력이란? 극복력(Resilience)은 위기와 역경을 인내하고 성장해가는 역동적인 과정(Walsh)으로, 환경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영향 받지 않을 수 있는능력이다(Im, Oh, Park, Lee,&Lee, 2002).이러한 극복력은 대상자를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만19세 이상의 월1회 이상 고 위험음주율은? 2006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16-64세의 알코올 의존·남용의 평생유병률은 16.2%이고(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만19세 이상의 월1회 이상 고 위험음주율이 47.8%, 알코올 의존율(AUDIT 16점 이상)이 전체 14.4%로 나타났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알코올 중독자 자녀가 겪는 문제는? 지금까지 알코올 중독자 자녀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질병모델을 근거로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 결과 부모의 알코올 문제는 자녀의 우울, 불안과 같은 정서적 장애를 일으키며, 낮은 자존감, 공격성, 부적응 등의 병리적 문제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Harter,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umont, M., & Provost, M. A. (1999). Resilience in adolescents: Protective role of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social activities on experi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 343-363. doi:10.1023/A:1021637011732 

  2. Fischer, K. E., Kittleson, M., Ogletree, R., Welshimer, K., Woehlke, P., & Benshoff, J. (2000).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lcoholism and family dysfunction to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48, 151-156. doi:10.1080/07448480009595690 

  3. Han, M. R. (2003). Resilience, social support, spirituality in wives of alcohol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Harter, S. L. (2000).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 review of the recent empirical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 311-337. doi:10.1016/S0272-7358(98)00084-1 

  5. Hoffman, J. P. (1994). Investigating the ag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adolescent marijuana us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3, 215-235. doi:10.1007/BF01537446 

  6. Im, S. B., Oh, H. Y., Park, Y. I., Lee, E. H., & Lee, S. (2002). Analytical review of resilience for preventive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304-315. 

  7. Jones, J. W. (1981). The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Chicago: Family Recovery Press. 

  8. Kim, H. R., Jeon, S. Y., & Kim, J. H. (2004). The relationship of father's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adult daughters of alcoholic fath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4), 317-343. 

  9. Kim, J. H. (2008). The college adjustment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7, 131-157. 

  10. Kim, M. R., Chang, H. I., & Kim, K. B. (1995).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CAST-K):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4, 1182-1193. 

  11. Kim, Y. J. (2009). Effect of healing program for children of alcoholics. Mental Health & Social Work, 31, 30-62. 

  12. Kwon, J. S. (2003). The effect of parents' problem-drinking on children's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Lee, H. W. (2003). Resilienc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roblem-drinking in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Lee, M. H. (2000). Effects of group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for alcoholic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 315-321. 

  15. Mayfield, D., McLedd, G., & Hall, P. (1974). The CAGE questionnaire-validation of a new alcoholism screening instru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1, 1121-1123. doi:10.1176/appi.ajp.131.10.1121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August).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psychiatric illness in Korea 2006 (Issue Brief No. 11-1460000-003105-13). Seoul: Author. 

  1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December).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Seoul: Author. 

  18. Ok, K. H. (2001).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 Student Life Research, 8, 21-39. 

  19. Olson, D. H., Portner, J., & Lavee, Y. (1985). FACES III: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s scales III.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20. Palmer, N. (1997). Resilience in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 nonpathological approach to social work practice. Health & Social Work, 22, 201-209. 

  21. Park, B. K., Lee, D. B., Lee, T. Y., Cho., Y. C., & Kwon. Y. H. (2000). Comparison of screening tests for alcoholism in terms of reliabil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hungnam Medical Journal, 27(1), 37-47. 

  22. Park, H. S., & Lee, S. G. (2001).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child of alcoholics and psychosoci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6, 118-144. 

  2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Seo, H. S. (2009). SPSS (PASW) Regression analysis.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5. Tiet, Q. Q., Bird, H. R., Davies, M., Hoven, C., Cohen, P., Jensen, P. S., et al. (1998). Adverse life events and resilienc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7, 1191-1200. doi:10.1097/00004583- 199811000-00020 

  26.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 165-178. 

  27. Walsh, F. (2006).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8. Werner, E. (1986). Resilient offspring of alcoholics: A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age 18.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7, 34-40. 

  29. Yang, H. J. (2007). Children's COA & psychological-social character by parent's problem drinking.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2), 1-12.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doi:10.1207/s15327752jpa5201_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