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적군도 내 무인도서의 관속식물상 연구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Uninhabited Islands in the Deokjeok Archipelago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1, 2011년, pp.1 - 23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윤종학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남기흠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이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병희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uninhabited Island in the Deokjeok Archipelago.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5 times (from Jun. 2009 to Apr. 2010) were identified as 350 taxa in total, including 89 families, 231 genera, 309 species, 5 subspecies, 31 variet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일대의 무인도서에 대한 구체적인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상록활엽식물의 분포지를 재설정하여 이 지역의 자연환경보전과 중·장기적 관속식물 모니터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덕적군도 25개의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관속식물, 한국 고유종,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 상록성 식물, 귀화식물의 분포지 확인을 통하여 이 지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존대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덕적군도는 어떤 것들로 형성 되어있나요? 덕적군도는 인천 남서쪽으로 약 82 km에 위치하며, 42개도서(8개 유인, 34개 무인)로 형성되었다(해양수산부, 2005).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백아리, 울도리, 서포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서해안에 북위 37° 00' ~ 37° 12', 동경 125°56' ~ 126° 07'에 위치한다(Fig.
덕적군도의 기후는 어떤 특색을 나타내나요? 0℃를 보였다. 덕적군도의 기후는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 보다 연교차가 적고 하계는 내륙지방의 기온이 해안지방보다 1~2℃높지만 동계에는 반대로 해안지방이 내륙지방 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나는 한반도 서해안 지역의 특색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Han과 Jeong, 1991).
덕적군도는 행정구역상 어디에 위치해 있나요? 덕적군도는 인천 남서쪽으로 약 82 km에 위치하며, 42개도서(8개 유인, 34개 무인)로 형성되었다(해양수산부, 2005).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백아리, 울도리, 서포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서해안에 북위 37° 00' ~ 37° 12', 동경 125°56' ~ 126° 07'에 위치한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민병미, 정진희, 1999,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인천광역시 강화군.옹진군, 환경부, 141. 

  2. 민병미, 최재규, 이은팔, 1991, 서해안 간석지(강화도 남단)의 식물상, ’91 자연생태계 지역 조사, 환경부, 45-78. 

  3. 박규하, 1983, 경기만내 제도서 식생에 관한 생태.분류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4. 박규하, 1987,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의 관속식물상, 백령도 및 인근도서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자연보호중앙협의회, 7, 137-169. 

  5. 송홍선, 2002, 아름다운 서해 섬 풀꽃나무이야기, 인천녹색연합, 256. 

  6. 송홍선, 2003, 서해북부 섬마을 풀꽃나무 백과도감, 인천녹색연합, 252. 

  7. 양금철, 송민섭, 2002,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인천광역시 강화군II. 옹진군II,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309. 

  8. 이태수, 김성환, 2003, 인천광역시 강화도, 교동도, 석모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교수논총, 2(2), 451-488. 

  9. 이호준, 변두원, 1987,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의 관속식물 분포와 생태, 백령도 및 인근도서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자연보호중앙협의회, 7, 83-136. 

  10. 전승훈, 석동임, 1998, 백령도, 대청도의 식물상, 백령도.연평도의 자연환경, 환경부, 23-36. 

  11. 최병희, 이정현, 2008, 전국 해안사구 정밀조사, 대청도 (옥죽동.사탄동),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93-103. 

  12. 최중기, 고철환, 박용철, 최병희, 박병상, 한경남, 1997, 인천연안도서 자연경관 및 자연생태계,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600. 

  13. 하상교, 2003, 인천 대청도의 식물상과 식물 지리 구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제23회 인천광역시과학전람회, 31. 

  14. 한강유역환경청, 2008, 특정도서 모니터링 보고서, 170. 

  15. 해양수산부, 2005, 무인도서 실태조사 및 통합적 관리방안, 39-42. 

  16. 현진오, 엄정애, 2007, 특정도서 정밀조사, 옹진,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436. 

  17. Beck, E. H., 2010, The Flora of Vascular Plant of Deokjeokdo, M. 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59. 

  18. Chown, S. L., Gremmen, N. J. M., Gaston, K. J., 1998, Ecological biogeography of Southern ocean islands : Species-area relationships, human impacts, and conservation, The American Naturalist, 152, 562-575. 

  19. Chung, T. H., 1956, Korean Flora, vol. II. Herbaceous plants, Shinjisa, 1025. 

  20. Chung, T. H., 1957, Korean Flora, I. Woody plants, Shinjisa, 507. 

  21. Chung, Y. H., Chung, Y. C., 1982,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check list of Vascular plants of the Deogjeog Archipelago, The Deogjeog Archipelago,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1, 181-225. 

  22.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262. 

  2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 Co, 1482. 

  24. Han, Y. H., Jeong, J. S., 1991, On the Effects of Sea surface Temperatur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of western Region of Korea, J. Korean Meteorogical Society, 27(3), 197-203. 

  25. Kadmon, R., Pulliam, H. R., 1993, Island biogeography : Effect of geographical isolation on species composition, Ecology, 74(4), 977-981. 

  26. Kim, I. T., Lee, I. K., 1980, On the Ecological Studies of Flora in Island Muie, Kor. J. Ecol, 3(1,2), 21-30. 

  27. Koh, K. S., Kang, I. G., Suh, M. H., Kim, J. H., Kim, K. D., Kil, J. H., Rhu, H. I., Kong, D. S., Lee, E. B., Chun, E. S.,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mental Research, 1-74. 

  28.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399. 

  29. Korea Forest Service,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292-293. 

  3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http://www.kma.go.kr/. 

  31.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on, 534. 

  32.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Pocheon, 534. 

  33. Lee, J. H., Choi, B. H., 2008, Distribution of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on islands of Incheon, middle part of Yellow sea, Korean J. Pl. Taxon, 38(3), 315-332. 

  34.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791. 

  35. Lee, T. B., Kim, E. S., Chang, C. S., 1982, Vegetation of Deogjeog Archipelago, The Deogjeog Archipelago,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1, 87-116. 

  36.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914, 910. 

  37. Lee, W. C., Yim, Y. J.,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412. 

  38. Lee, W. 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624. 

  39. Lee, W. 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1688. 

  40. Lee, Y. 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1237. 

  41.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974, 885. 

  42.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325-417. 

  43.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114-155. 

  44.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http://www.me.go.kr/. 

  45. Oh, H. K., Beon, M. S., 2007,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n the Mokdo, Gokudo, Daehangdo and Bulgeundo Desert Island, Dadohae, Korean J. Plant Res, 20(1), 28-37. 

  46. Oh, Y. C., 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757. 

  47. Paik, W. K., Park, W. G., Lee, W. T., 1998, Flora and Vegetation of Resources Plants in the Mt. Kariwang(Kangwon-do), Korean J. Plant. Res, 11(2), 217-243. 

  48.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