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둑에서의 하폭축소 방법을 이용한 퇴사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for the Effectiveness of Sedimentation Reduction Using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at the Estuary Barrage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1, 2011년, pp.31 - 40  

지운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권한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여운광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하구둑에서의 퇴사저감 방안을 분석하였 다. 현재 매년 시행되고 있는 준설방법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준설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퇴사저감 방법으로 하폭축소를 통한 퇴사저감 방안에 대해 모의를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모형은 각각 유사량 공식과 유사이송 형태에 대해 모형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낙동강하국둑의 경우 Ackers and White (1973) 공식과 소류사 형태의 유사이송 방식을 수치모의 시 사용하는 것이 실제 하상변동 결과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보정된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준설방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준설이 수행된 구간에서 평균 0.2m의 퇴적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폭축소를 통한 퇴사저감 분석 결과, 평균 0.4m의 퇴사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폭이 축소된 구간에서는 축소전과 비교해 최대 2.0m 정도의 퇴사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sedimentation reduction for the estuary barrage were analyzed using the CCHE2D bed change model. Especially, the effectiveness of sediment dredging currently applied in the field was evaluated quantitatively and also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which is a substitu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동강하구둑은 낙동강 하류부 인근 동남 해안권의 산업도시와 영남최대의 곡창지대인 김해평야에 염분 피해 없는 안정된 용수공급과 치수를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승원 (2010)에 의해 제안된 낙동강하구둑에서의 최적의 유사량공식과 유사이송형태인 Ackers and White (1973) 공식과 소류사이송 형태에 대해, 2007년 실제수문사상과 지형을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써 퇴사저감 모의시 활용하는데 있다.
  • 셋째, 현재 수행중인 준설방법의 대안으로 준설토를 이용하여, 하폭이 급격히 확대됨으로써 유속이 감소하는 구간의 하폭을 유함으로써 퇴사를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하천의 보나 댐 상류에서 수행되는 퇴사저감 및 퇴사제거 방법의 선정을 위한 정량적인 평가방법 및 절차를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댐이나 보 상류의 퇴사를 저감하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인 댐이나 보 상류의 퇴사를 저감하는 방안으로는 홍수시 유입되는 유사를 방류수로로 배사하는 즉시배사 (Sluicing), 수위저하로 자연흐름을 유도한 후 퇴적토 사를 배사하는 플러싱 (Flushing), 저수지내 퇴적된 토사를 준설장비로 준설을 통해 제거 (Dredging) 하는 방법 등이 있다. 퇴사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저수지와 댐에 서의 강제배사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낙동강하구둑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영역인 낙동강하구둑은 안동댐으로부터하류 355 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다로부터 상류 8 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하구둑은 낙동강 하류부 인근 동남 해안권의 산업도시와 영남최대의 곡창지대인 김해평야에 염분 피해 없는 안정된 용수공급과 치수를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하천 유역내의 댐이나 보 등과 같은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그리고 수자원 계획, 개발 및 관리 시에 하상변동과 퇴사저감 방안에 대한 검토를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것은 어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인가? 하천에서의 흐름으로 인한 유사의 이동은 하상의 침식과 퇴적을 야기하고 이러한 반복된 현상으로 인해 하상변 동이 발생한다. 하천에서의 하상변동은 경우에 따라 홍수위 상승, 저수지 기능 감퇴, 용수와 취수 방해, 유사에 의한 오염원 확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천 유역내의 댐이나 보 등과 같은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그리고 수자원 계획, 개발 및 관리 시에 하상변동과 퇴사저감 방안에 대한 검토를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유권규와 우효섭,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유권규, 우효섭(1990). “하천 유사량 공식들의 비교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0권, 제4호, pp. 67-75. 

  2. 지운, 여운광, 한승원(2010). “낙동강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서의 유사량 공식 및 유사 이송형태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6호, pp. 543-557. 

  3. 지운, Julien, P.Y., 박상길, 김병달(2008). “낙동강 하류의 유사특성과 낙동강하구둑 준설효과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4-B호, pp. 405-411. 

  4. 한국수자원공사(1995). 낙동강하구둑 퇴사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5. 한국수자원공사(2008). 낙동강하구둑 유지관리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6. 한승원(2010). CCHE2D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산정 공식 및 유사이송 형태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pp. 37-49. 

  7. Ackers, P., and White, W.R. (1973). “Sediment transport new approach and analysi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Div. ASCE, Vol. 99, HY 11, pp. 2041- 

  8. Ariathurai, R., and Krone, R.B. (1974). “Finite element mode for cohesive soil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Div. ASCE, Vol. 104, HY2, pp. 279-283. 

  9. Engelund, F., and Hansen, E. (1967). A monograph on sediment transport to alluvial streams. Copenhagen, Teknik Vorlag, Copenhangen, Denmark. 

  10. Garbrecht, J., Kuhnle, R.A., and Alonso, C.V. (1995). “A sediment transport capacity formulation for large channel network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0, No. 5, pp. 527-529. 

  11. Howard, H.C., Larry, L.H., Wing, L., and Scott, T. (1996). “Numerical modeling for sediment-passthrough reservoir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Engrg., ASCE, Vol. 122, No. 7, pp. 381-388. 

  12. Ji, U. (2006). Numerical model for sediment flushing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Ph.D.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 U.S.A, pp. 47-59. 

  13. Liu, J., Minami, S., Otsuki, H., Liu, B., and Ashida, K. (2004). “Prediction of concerted sediment flushing.”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30, 

  14. Martin, J.T., and John, I.R. (2001). “Lake sharpe sediment flushing analyses.” World Water Congress 2001. 

  15. Wu, W., Wang, S.S.Y., and Jia, Y. (2000). “Nonuniform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river.”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Research, IAHR, Vol. 38, No. 6, pp. 427-4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