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리동역학적 모의를 위한 적정 격자해상도 산정방법
Evaluation of Optimal Grid Resolution for Hydrodynamic Proper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0 no.1, 2012년, pp.109 - 116  

안정민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박인혁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류시완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허영택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CCHE2D와 EFDC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통하여 격자의 횡단해상도에 따른 물리적 지형의 재현성과 모의결과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금호강 유입구간을 대상으로 2006년 강우사상에 대한 부정류모의를 통하여 면적고도곡선과 대상구간내 수위관측소 지점에서의 실측치와 모의치간의 비교를 통하여 구성격자망의 적정성 및 모의결과에 대한 영향을 각각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격자 해상도의 증가는 계산시간의 증가를 야기하므로 수행 내용과 목적, 계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적절한 격자해상도의 선택이 필요하다. 정밀한 모의를 위해서는 고해상도 격자를 이용한 모의를 수행해야 하나, 빠른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홍수기와 같이 모형수행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물리적 지형의 재현성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정 격자 해상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the grid resolution on the hydrodynamic simulation has been investigated by using CCHE2D and EFDC. Since a high resolution of the grid results in the increase of computation time, an appropriate grid resolution should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simulation according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금호강이 합류하는 구간을 대상으로 격자 크기에 따른 물리적 지형 재현성 평가와 더불어 CCHE2D와 EFDC 모형을 적용하여 하도의 수리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격자해상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금호강 합류부 일대에 대해 종방향 20m 간격으로 얻어진 측량성과자료를 통해 QMESH(허영택 등, 2010)로 직교곡선격자망을 구성하고 횡단지형격자 크기에 따른 물리적 지형의 재현성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그로 인한 하도 수리특성 모의결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도 내 흐름 모의 결과를 수위관측소 관측값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적정 격자해상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다양한 유량에 대해서 검증하고 유량에 대한 수위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정류 흐름으로 모의하였다. 모의기간은 각각 2006년 7월 9일부터 12일이며 초기 수위는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분포한다고 가정하였고 각 격자에 적용한 초기 수위는 그림 5와 같다. 조도 및 조고 값은 격자해상도가 가장 높은 Case 4를 선택하여 시산법을 통해 관측값과 오차가 가장 작은 값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 m), g는 중력가속도, ρ는 물의 밀도(1,000 kg/m3), h는 격자 수심, fcor는 코리올리 계수, τxx, τxy, τyx, τyy는 각각 수심 적분된 레이놀즈 응력, 그리고 τbx, τby는 하상 그리고 흐름에 따른 전단 응력이다. 수면에서의 전단응력 항들은 미소하기 때문에 바람으로 인한 전단효과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QMESH는 무엇을 위해 최적화된 프로그램인가? QMESH는 하도의 격자작성을 위해 최적화된 프로그램이다. QMESH는 절점에서의 직교성에 대해 편미분방정식을 유한차분형태로 이산화 하여 최적의 직교 상태를 구하는 형태이며 불규칙한 경계면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직교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계선상에서 생성된 절점의 자유로운 이동조건, 수치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단계별 분할기법 및 내부경계조건이 적용되어 있다.
EFDC 모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모형에 사용되는 격자체계는 수평적으로 직교(Cartesian) 또는 곡면(Curvilinear) 좌표계를 사용하고 수직적으로 σ -좌표계를 사용한다. EFDC모형은 질량보존기법을 이용하여 천해역에서 조간대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져 있어 조간대가 넓게 분포하는 우리나라 연안이나 하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EFDC모형은 이론적인 면과 수치 해석적인 면에서 Blumberg and Mellor(1987)의 모형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며, 연속방정식과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EFDC 모형에 사용되는 격자체계는 무엇인가? EFDC(Hamrick, 1996) 모형은 유동 및 물질수송을 모의하는 다변수 유한차분 수치모형으로서 VIMS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에서 개발하였으며,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공인모형이다. 모형에 사용되는 격자체계는 수평적으로 직교(Cartesian) 또는 곡면(Curvilinear) 좌표계를 사용하고 수직적으로 σ -좌표계를 사용한다. EFDC모형은 질량보존기법을 이용하여 천해역에서 조간대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져 있어 조간대가 넓게 분포하는 우리나라 연안이나 하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형식, 장재호, 안종호, 김익재, 2011,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7호, pp.577-590. 

  2. 국토해양부, 2010, 낙동강 하천정비기본계획. 

  3. 김연수, 장창래, 이기하, 정관수. 2010,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급만곡부의 흐름특성을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10권, 5호, pp.125-133. 

  4. 이지완, 이미선, 정인균, 박근애, 김성준, 2011, 안성천 중소하천의 하천분류 및 2차원 수리특성-하상변동모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4권, 4호, pp.77-91. 

  5. 정인주, 이정민, 김상용, 이종출, 2002, DEM에 의한 지형인자 주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0권, 2호, pp.67-75. 

  6. 지운, 김권한, 여운광, 2011, 하구둑에서의 하폭축소 방법을 이용한 퇴사저감 효과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1호, pp.31-40. 

  7. 지운, 여운광, 한승원, 2010, 낙동강 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서의 유사량 공식 및 유사 이송형태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6호, pp.543-557. 

  8. 최용준, 김주철, 2011, 공간해상도에 따른 배수경로길이 및 특성유속의 변화,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9권, 3호, pp.107-114. 

  9. 허영택, 박진혁, 2009, EFDC 모형의 낙동강 하류부 수리해석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4호, pp.309-317. 

  10. 허영택, 류경식, 차기욱, 2010, 이동경계조건을 고려한 직교곡선격자 생성 기법 소개,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2654. 

  11. Blumberg, A. F., Mellor, G. L.,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Models, Coastal and Estuarine Scienc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4, pp.1-19. 

  12. Hamrick, J.M., 1996, A User's Manual for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EFDC),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Special Report 331, p.234 

  13. Jeong Sangman, Yeon Kyusung, Hur Youngteck, Oh Kukryul, 2010, Salinity Intrusion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EFDC model in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Vol.22, No.6, pp.934-939. 

  14. Jia, Y.F. and Wang, S.S.Y., 2001, CCHE2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for Unsteady Open Channel Flow Over Loose Bed, NCCHE Technical Report, NCCHE-TR-2001-01. 

  15. Nassar, M.A., 2010, Multi-parametric sensitivity analysis of CCHE2D for channel flow simulations in Nile River,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Vol.1. pp.1-9. 

  16. Smagorinsky, J,. ,1963, General circulation experiments with the primitive equation, I. The basic experiment, Monthly Weather Review, Vol.91, pp.99-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