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짐바브웨 옥수수 필요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for Corn in Zimbabwe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3 no.1, 2011년, pp.47 - 55  

은코모제피 템바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상옥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피할 수 없으며 다음 세기에도 계속될 것이다. 이는 생태계와 토지와 물과 같은 자연자원의 이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아프리카는 낮은 경제수준과 지역적 다양성으로 인하여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지역 중의 하나이다. 짐바브웨는 한계농지가 황폐화가 되는 등 농업분야가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짐바브웨의 주요 옥수수 재배지역에 대하여 기후변화가 옥수수의 필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미래 기후예측은 HadCM3 전지구 모형 결과에 change factor를 곱하여 추정하였다. 배출가스 시나리오는 A2b 및 B2a를 선정하였고, 시간대는 2020s, 2050s 및 2080s 각각 30년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기준작물 증발산량Penman-Monteith 공식으로, 순관개량은 CROPWAT 모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순관개량의 공간적인 분석은 GIS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지역은 강우량이 감소하고 관개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2080s의 필요수량은 기준년도 (1961-1990)에 비하여 93 내지 115 %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증가는 기온의 증가와 강우량의 감소에 기인한다. 대상 지역에 대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과 영향 저감대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herefore to asses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uture net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WR) under different climate scenarios for an intensive corn producing area covering three administrative provinces in the Northern part of Zimbabwe. Climate projections were derived from the HadCM3 (Gordo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S. R., M. J. Park, G. A. Park and S. J. Kim, 2009.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1): 33-50 (in Korean). 

  2. Chung, S. -O., 2009a. Climate change impacts on paddy water irrigation requireme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3): 35-41 (in Korean). 

  3. Chung, S. -O., 2009b. Prediction of paddy irrigation demand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outpu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4): 7-13 (in Korean). 

  4. Chung, S. -O., J. A. Rodriguez-Diaz, E. K. Weatherhead and J. W Knox, 2010.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for irrigating paddy rice in South Korea. Irrigation and drainage doi: 10.1002/ird.559 

  5. Diaz-Nieto, J., and R. L. Wilby, 2005. A Comparison of statistical downscaling and Climate change factor methods: Impacts on Low flows in the river Thames, United Kingdom. Climate change 69:245-268. 

  6. Doll, P., 2002.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on Irrigation Requirements: A Global Perspective Climate Change 54: 269-293. 

  7. Gerten, D., and S. Rost, 2010.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water stress and impact mitigation potential. World Development Report.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PIK), Germany.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FAO), 2005. AQUASTAT country profile Zimbabwe http://www.fao. 

  9. Gordon, C., C. Cooper, C. A. Senior, H. T. Banks, J. M. Gregory, T. C. Johns, J. F. B. Mitchell and R. A. Wood, 2000. The simulation of SST, sea ice extents and ocean heat transports in a version of the Hadley Centre coupled model without flux adjustments. Climate Dynamics 16: 147-168. 

  10. IPCC-TGICA, 2007. General Guidelines on the Use of Scenario Data for Climate Impact and Adaptation Assessment. Version 2. Prepared by T.R. Carter on behalf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Task Group on Data and Scenario Support for Impact and Climate Assessment, 66. 

  11. Moyo, A. and J. Hagmann, 1994. Growth-Effective Rainfall in Maize Production under Different Tillage Systems in Semi-Arid Conditions and Shallow Granitic Sands of Southern Zimbabwe. 

  12. Muller, C., 2009. Climate Change Impact on Sub-Saharan Africa. An overview and analysis of scenarios and models Discussion Paper / Deutsches Institut fur Entwicklungspolitik ISBN 978-3-88985-451-3. 

  13. Musara, M., M. Chikuvire and M. Moyo, 2010. Determinants of micro irrigation adoption for maize production in smallholder irrigation schemes: case of Hama Mavhaire irrigation scheme, Zimbabwe. African Journal of Food Agriculture and Nutrition Development 10. No.1 Nairobi, Kenya. 

  14. New, M., D. Lister, M. Hulme and I. Makin, 2002. A high resolution data set of surface climate over global land areas. Climate Research 21: 1?25. 

  15. Savvy, A. and K. Frenken, 2002. Crop water requirements and irrigation scheduling. Irrigation manual 4 Fontline Electronic Publishing, Harare, Zimbabwe 42-48. 

  16. Unganai, L., 1996. Historic and Future Climatic Change in Zimbabwe Climate Research 6: 137-145. 

  17. Zhakata, B., 2004.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of Maize Production to Climate Change in Zimbabwe. Government Publication - Zimbabw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