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속단 주정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7.32{\pm}2.30{\mu}g$/mg, $21.44{\pm}2.52{\mu}g$/mg이고, FRAP 소거활성은 0.26 mmol $Fe^{2+}$/g으로 나타났으며, 속단추출물은 또한 높은 DPPH 소거능 및 gram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속단 주정추출물을 첨가한 양념소스에서도 시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돈육을 속단 주정추출물을 첨가한 양념돈육을 제조하여 $4^{\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속단추출물 첨가 양념돈육은 0.1% BHA 처리구와 유사하게 대조구에 비해 총 세균 수 및 지방 산패도가 감소되었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도 0.5% 속단 주정추출물을 첨가하면 높은 다즙성,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항산화능 및 항균 활성을 가진 속단추출물은 양념돈육에서 저장성 및 품질 특성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hlomis umbrosa Turcz. (PU) ethanol extracts were investigated in vitro.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FRAP values of PU extracts were $57.32{\pm}2.30{\mu}g$/mg, $21.44{\pm}2.52{\mu}g$/mg and 0.26 mmol $Fe^{2+}$/g, re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념 돈육의 저장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한 새로운 소재로 활용하고자, 먼저 속단 주정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검토한 다음 속단 주정추출물을 양념돈육의 제조에 첨가하여 21일간 냉장보관하면서 저장중의 돈육의 저장성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보았다.

가설 설정

  • 2)No inhibitory zone was form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념육에 사용되는 양념류의 역할은 무엇인가? 국내의관련법규에 의하면 양념육은 식육에 식염, 조미료, 향신료등으로 양념하고 냉장 또는 냉동한 것으로 육 함량 60% 이상의 것을 말한다(3). 이때 사용되는 양념류는 고기 냄새의제거 및 연육작용으로 소화 흡수를 도와주고(4), 풍미의 향상, 육의 보수성 및 조직감의 부여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있다(5).
육제품의 지질산화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그러나 육제품은 조리가공 및 저장 중에 지방산화가 쉽게 일어나며 육제품의 지질산화는 라디칼 반응에 의한 자동산화의 결과 발생되며, 온도, 빛, 방사선, 과산화물, lipoxidase, 유기 금속화합물, 미량금속촉매 등에 의해 촉진된다(1). 지방산화로 형성된 과산화물이나 각종 라디칼과 carbonyl 등의 2차 산화물에 의해 육제품의 이취, 불포화지방산, 지용성 비타민, 색소의 손실과 함께 품질저하와 소비자의 기호성 저하가 초래되며 노화,발암, 동맥경화 등이 유발된다(2). 특히 미리 가열 조리된 육제품은 지방 산화가 더 쉽게 일어날 수 있다.
국내의 관련 법규에 의하면 양념육이란 무엇인가? 양념육은 불고기라 불리며, 우리나라 전통식품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대표적인 식품이다. 국내의관련법규에 의하면 양념육은 식육에 식염, 조미료, 향신료등으로 양념하고 냉장 또는 냉동한 것으로 육 함량 60% 이상의 것을 말한다(3). 이때 사용되는 양념류는 고기 냄새의제거 및 연육작용으로 소화 흡수를 도와주고(4), 풍미의 향상, 육의 보수성 및 조직감의 부여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Park JG, Her JH, Li SY, Cho SH, Youn SK, Choi JS, Park 

  2. El-Alim SA, Lugasi A, Hovari J, Dworschak E. 1999. 

  3. Choi WS, Lee KT. 2002. Quality changes and shelf-life of seasoned pork with soy sauce or Kochujang during chilled 

  4. Moon JH, Ryu HS, Lee KH. 1991. Effect of garlic on the digestion of beef protei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5. Oh DH. 1986. Studies on the quality of cured meat in the processing.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6. Lee CH, Chung KY, Lim SC, Choi DY, Kim CJ, Choi BK. 

  7. Na GM, Han HS, Ye SH, Kim HK.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8. Kim HK, Na K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9. Han GJ, Shin DS, Kim JS, Cho YS, Jeong KS. 2006. Effects of propoli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oriental 

  10. Cho SH, Park BY, Yoo YM, Chae HS, Wyi JJ, Ahn CN, 

  11. Lee SH, Kang KM, Park HJ, Baek LM. 200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use as functional 

  12. Lee SH, Jeong EJ, Jung TS, Park L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quality 

  13. Kim IS, Jin SK, Kang SN, Hur IC, Choi SY. 2009. Effect of olive-oil prepared tomato power and refining lycopen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raw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14. Kim JY, Lee JA, Yoon WJ, Oh DJ, Jung YH, Lee WJ, Park 

  15. Hsu HY, Chen YP, Shen SJ, Hsu CS, Chen CC, Chang HC. 

  16. Kouno I, Tsuboi A, Nanri M, Kawano N. 1990. Acylated triterpene glycoside from roots of Dipsacus asper. Phytochemistry 

  17. Zhang YW, Xue Z. 1991.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Dipsacus asper Wall. Acta Pharmaceutica Sinica 26: 676-681. 

  18. Zhang YW, Xue Z. 1991. New triterpenoid glycosides from Dipsacus asper Wall. Acta Pharmaceutica Sinica 26: 911-917. 

  19. Zhang YW, Xue Z. 1992. Structure determination of saponine IX and X from Dipsacus asper Wall. Acta Pharmaceutica Sinica 27: 912-917. 

  20. Jung KY, Do JC, Son KH. 1993.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Dipsacus asper. J Nat Prod 56: 1912-1916. 

  21. Tomita H, Mouri Y. 1996. An iridoid glucoside from Dipsacus asperoides. Phytochemistry 42: 239-240. 

  22. Kim DK. 1998. Cytotoxic constituents of Rumex japonicus. 

  23. Chang SW, Kim IH, Han TJ. 1999. Anthraquinone productivity by the cultures of adventitious roots and hairy 

  24. Hwang SW, Ha TJ, Lee JR, Lee J, Nam SH, Park KH, Yang 

  25.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o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6. Nieva M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7.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J 239: 70-76. 

  2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2. 

  29. Park YO, Lim HS.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bamboo (Sasa borealis)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40-1648. 

  30. Yang SA, Im NK, Lee IS. 2007.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31. Sun J, Yao J, Huang S, Long X, Wang J, Garcia-Garcia 

  32. Lee SE, Seong NS, Bang JK, Park CG, Sung JS, Song J. 

  33. Yeo SG, Ahn CW, Kim IS, Park YH, Kim SB.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34. kigai H, Nakae T, Hara Y, Shimamura T. 1993. Bactericidal catechins damage the lipid bilayer. Biochem Biophy Acta 

  35. Kong YJ, Hong GP, Kwon HJ, Hong JK, Park BK, Oh DH. 

  36. Kim HJ, Hwang EY, Im NK, Park SK, Lee IS. 2010. 

  37. Park KJ, Jung SW, Park BI, Kim Y, Jeong JW. 1996. Initial control of microorganism in kimchi by the modified preparation method of seasoning mixture and the pretreatment 

  38. Newton KG, Rigg WJ. 1979. The effect of film permeability on the storage life and microbiology of vacuum packed meat. J Appl Bacteriol 47: 333-441. 

  39. Korean Food Code. 199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40. Turner EW, Paynter WD, Mountie Ej, Bessert MW, Struc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