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 탐사선의 데이터 고속 전송을 위한 DSP 프로토타입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SP Prototype for High Data Rate Transmission of Lunar Orbiter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9 no.1, 2011년, pp.63 - 68  

장연수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  김상구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  조경국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  윤동원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 각국은 달 탐사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성공적인 달 탐사 임무 수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개발은 달 탐사 프로젝트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개발을 위한 기본 연구로써 달 탐사 통신 링크에 대한 요구조건 분석을 바탕으로 DSP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설계하고 심우주 통신을 위한 국제 표준을 고려하여 각 핵심 모듈을 구현한다. DSP 프로토타입의 비트 오류 확률 값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doing lunar exploration projects. Korea has also been doing basic research on lunar explorati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ystems for lunar exploration projec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performing a successful lunar mission. I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지상국과 달 탐사선 사이의 통신 환경 요소에 따른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CCSDS(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에서 고려하고 있는 채널 부호화 및 변조 기법을 적용하여 달 탐사 통신 시스템의 기저대역 프로토타입을 설계한다. 설계의 유연성과 심우주 통신 플랫폼에 따른 시스템의 가변 운용을 고려하여 DSP 기반의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달 탐사 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해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이제까지 국내에서 지구 궤도 위성에 대한 통신 시스템 개발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달 탐사 및 심우주 통신 시스템 개발은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달 탐사 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목표 통신링크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지구 궤도 위성에 대한 통신링크뿐만 아니라 지상국과 달 탐사선 사이의 통신링크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2].
달 탐사선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 고려되는 송신 주파수대역은? 달 탐사선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 송신 주파수는 X, Ku, Ka 대역의 사용을 고려하며 송신 안테나 크기 및 송신전력은 탑재체 설계의 제약으로 인해 작은 수치로 제한된다. 달 탐사선의 기준 모델을 표 1에 나타내었다[4]-[6].
비트 오류 확률 도출과정을 설명하시오. 비트 오류 확률 도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임의의 데이터 비트를 생성한 후 부호화와 변조 기법을 적용하여 송신하고 Eb/N0값에 따라 잡음을 더한다. 그리고 수신기에서 복원되는 신호를 데이터 비트와 비교하여 비트 오류 확률을 계산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DSP는 내부 연산 처리 과정 및 하드웨어적 요인으로 인해 비트 오류 확률에서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둘의 결과가 비슷한 곡선을 그리며 동일 지점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이상률, “우리나라 달 탐사의 기술 개발 방향”, KSAS 매거진 3권 1호, 한국항공우주학회, pp. 51-57, 2009년. 

  2. 이우주, 현광민, 조경국, 윤동원,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ownlink in Space Communications System for Lunar Exploration", 한국우주과학회지 27권 1호, pp. 51-57, 2010년. 

  3. R. Chassa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4. S. D. Slobin, "34-m BWG Stations 

  5. D. Roddy, "Satellite Communications" , 

  6. W. S. Tai, "Deep Space Network Services 

  7. B. Sklar, "Digital Communications", 

  8. R. D. Gaudenzi, "Turbo-coded APSK 

  9. Thomas Schmidt, "CRC Generating and 

  10. "Report Concerning Space Data System 

  11.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pa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