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막절개를 제거통한 아래 눈꺼풀 부위의 미세자가지방이식편의
Removal of Microfat Graft in Lower Eyelid with Transconjunctival Approach 원문보기

大韓成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8 no.1, 2011년, pp.48 - 52  

신종인 (조앤신 성형외과) ,  장정우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  김창연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  김연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icrofat graft is a common procedure for correcting tear trough deformity and dark circle. Because the tissue in this area is very thin, the grafted fat, sometimes, induces palpable lumps and uneven skin contour. When it happens, the surgical removal of the grafted fat is often need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 부위의 조직은 매우 얇고 눈꺼풀 근육이 계속해서 수축을 일으키고 움직이는 부위이기 때문에 이식된 지방이 덩어리져서 만져지거나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1 이렇게 이식된 미세지방이식편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저자들은 피부쪽 절개로 인한 흉터를 방지하고 빠른 회복을 얻기 위해서 결막절개를 통해서 미세지방이식편을 제거하였고 동시에 눈밑지방재배치를 시행하여 눈밑지방의 불룩함까지도 교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아래눈꺼풀 부위에 미세지방이식 후에 생긴 덩어리짐과 불규칙한 모양을 해결하기 위해 결막절개를 통한 접근을 하였고 미세지방이식편의 제거와 동시에 눈밑지방재배치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자가지방이식의 적용 부위가 다양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Coleman이 구조적지방이식의 기법을 보고한 이래 미세자가지방이식은 지방이식의 기준으로 자리잡았다. 미세자가지방이식은 이전의 진피지방이식 등에 비하여 지방의 생착률이 높고 이식편이 작고 부드러워서 이물감이 적으며 절개가 없으므로 적용 부위가 매우 다양하다. 눈주변은 노화현상으로 인한 인상의 변화가 나타나기 쉬운 부위로서 눈물고랑의 개선, 다크써클의 교정 등을 위해서 미세지방이식이 많이 시행되는 부위이다.
결막절개를 통해서 미세자빙이식편을 제거할 경우 얻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하지만 이 부위의 조직은 매우 얇고 눈꺼풀 근육이 계속해서 수축을 일으키고 움직이는 부위이기 때문에 이식된 지방이 덩어리져서 만져지거나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1 이렇게 이식된 미세지방이식 편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저자들은 피부쪽 절개로 인한 흉터를 방지하고 빠른 회복을 얻기 위해서 결막절개를 통해서 미세지방이식편을 제거하였고 동시에 눈밑지방재배치를 시행하여 눈밑지방의 불룩함까지도 교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눈주변 부위에 미세지방이식이 적용될경우 발생하는 부작용은 무엇입니까? 눈주변은 노화현상으로 인한 인상의 변화가 나타나기 쉬운 부위로서 눈물고랑의 개선, 다크써클의 교정 등을 위해서 미세지방이식이 많이 시행되는 부위이다. 하지만 이 부위의 조직은 매우 얇고 눈꺼풀 근육이 계속해서 수축을 일으키고 움직이는 부위이기 때문에 이식된 지방이 덩어리져서 만져지거나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1 이렇게 이식된 미세지방이식 편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저자들은 피부쪽 절개로 인한 흉터를 방지하고 빠른 회복을 얻기 위해서 결막절개를 통해서 미세지방이식편을 제거하였고 동시에 눈밑지방재배치를 시행하여 눈밑지방의 불룩함까지도 교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henaq SM, Kim JYS: Repair and grafting of peripheral nerve. In Mathes SJ, Hentz VR (eds): Plastic Surgery,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2006, p 719 

  2. Lee YH: Facelift. In Lee YH (ed): Aesthetic Plastic Surgery. 1st ed, Seoul, Kunja Publishing Inc., 1998, p 260 

  3. Coleman SR: Structural fat grafting. 1st ed, St. Louis, Quality Medical Publishing Inc., 2004, p 313 

  4. Haddock NT, Saadeh PB, Boutros S, Thorne CH: The tear trough and lid/cheek junction: anatomy and implications for surgical correction. Plast Reconstr Surg 123: 1332, 2009 

  5. Coleman SR: Structural fat grafting. 1st ed, St. Louis, Quality Medical Publishing Inc., 2004, p 83 

  6. Boehm KA, Hester TR Jr., Codner MA: Fat grafting in the periorbital region. In McCord CD Jr., Codner MA (eds): Eyelid and Periorbital Surgery. 1st ed, St. Louis, Quality Medical Publishing Inc., 2008, p 393 

  7. Yousif NJ, Sonderman P, Dzwierzynski WW, Larson DL: Anatomic considerations in transconjunctival blepharoplasty. Plast Reconstr Surg 96: 1271, 1995 

  8. Kawamoto HK, Bradley JP: The tear "trough" procedure: transconjunctival repositioning of orbital unipedicled fat. Plast Reconstr Surg 112: 1903, 2003 

  9. Goldberg RA: Transconjunctival orbital fat repositioning: transposition of orbital fat pedicles into a subperiosteal pocket. Plast Reconstr Surg 105: 74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