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아니 베르사체의 패션디자인 발상 연구
A Study on Gianni Versace's Idea Source for Fashion Desig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8, 2011년, pp.18 - 31  

오윤정 (수원대학교 의류학과) ,  김지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anni Versace was a designer who established his unique fashion world by thinking creatively and using rich design 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esigners a methodology for creative and characteristic design development by searching Gianni Versace's idea source for fashion de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식적, 관능적 요소를 중요시한 것은 베르사체 디자인 발상의 중요한 특징이다. 그는 디자인할 때 평범한 것을 거부하여 그의 의상이 눈에 띄고 돋보이기를 원했으며 성적 매력의 발산을 인간 본연의 욕구로 여기며 이를 자유롭게 표현하고자 했다. 신체(body)와 성(sex & gender)의 이슈는 현대패션의 문화적 맥락 안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중요한 문제였는데71) 베르사체는 그의 디자인에서 성적 본능에 대하여 정직하고 육체의 힘을 자유롭게 발현시켰다.
  • 이는 그의 전반적인 디자인 경향을 다루거나 눈에 띄는 일부 특성에 대한 연구들로서 다양하고 폭넓은 분야를 디자인 소스로 하여 그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전개한 패션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아니 베르사체가 아이디어를 얻었던 여러 분야의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디자인 세계를 구축한 베르사체의 디자인 발상의 특징들을 도출해냄으로써 차세대 디자이너들에게 풍부한 디자인 소스를 활용한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패션 디자이너 지아니 베르사체는 무엇으로 유명한가? 따라서 과거 어느 때보다도 디자이너의 창의적 사고와 발상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풍부한 디자인 소스를 활용하고 창의적인 사고와 혁신으로 성공한 디자이너의 패션디자인 발상에 중점을 둔 연구가 필요하다.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패션 디자이너 지아니 베르사체(Gianni Versace, 1946-1997)는 고대 그리스 로마의 전통미를 현대화시켰고 공존하기 어려운 우아함과 관능미를 조화롭게 표현하였으며 현란한 색채와 예술적인 상상력이 풍부한 프린트 디자인, 고급스러운 수공예적 이미지를 더하는 자수 기법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는 평범한 것을 거부하고 이질적인 소재 및 스타일의 조화, 역사적․문화적․예술적으로 폭넓은 분야로부터 풍부한 디자인 소스의 활용 및 요소들 간의 믹스 앤 매치(mix and match), 의외성의 구현 등 기발하고 혁신적인 발상의 패션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완성하였다.
디자인 발상이란 무엇인가? 디자인 발상이란 작품의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19) 지아니 베르사체는 다양하고 폭넓은 분야로부터 풍부한 디자인 소스를 얻어 활용하였으며 기발하고 창의적인 발상으로 각 요소들을 자유롭고 독특하게 혼합, 변형, 재구성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패션 스타일을 완성하였다.
지아니 베르사체의 패션디자인 발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베르사체의 패션디자인 발상의 특징은 다양한 시대, 장르, 이질적인 소재 등을 절묘하게 혼합, 접목하여 새로운 조화를 창조하였고 의상의 장식적이며 관능적인 요소를 강조하였으며 발상의 전환으로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거나 과장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추구했던 지아니 베르사체의 패션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는 21세기 패션이 디자이너들에게 요구하는 새로움과 개성을 찾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이봉덕, 양숙희 (2002), 21세기로의 전환기에 표현된 패션의 미학적 특성(제 1보): 정성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11), p. 1654. 

  2. 오윤정 (2011), 푸치의 프린트 디자인 특징 연구, 한복문화, 14(1), p. 122. 

  3.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주명희 (1991), 지아니 베르사체의 의상에 나타난 프리미티비즘에 관한 연구, 복식, 17, pp. 197-207. 

  6. 김수영, 김혜수, 이연희 (2009),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색채특성 -2000년-2006년 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9(2), pp. 31-46. 

  7. 채선미 (2004), 베르사체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문양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0), pp. 173-188. 

  8.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9.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0.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1. 김수영, 김혜수, 이연희 (2009),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색채특성 -2000년-2006년 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9(2), p. 33. 

  12. Martin, Richard (1997a), Versace-Universe of Fashion,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I -Versace, 부산: 도서출판 노라노, p. 73. 

  13.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14.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15.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1. 

  16. 나현신 (2004), 이탈리아 패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베르사체와 아르마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 54(6), p. 17. 

  17. Breward, Christopher (2003), Fashion-Oxford History of Ar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211. 

  18.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19.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19. 

  20. Fogg, Marnie (2006), Print in Fashion-Design and Development in Textile Fashion-, London: Batsford, p. 11. 

  21.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1. 

  22. 김지영 (2010), 빅터 앤 롤프의 디자인 발상과 작품 특성, 복식, 60(10), p. 48. 

  23.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3. 

  24.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3. 

  25. Versace, Gianni (1994), Vanitas Designs, New York, London, Paris: Abbeville Press, p. 11. 

  26.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2. 

  27. Versace, Gianni, Calabrese, Omar (1993), Versace Signatures, Kyoto: Kyoto Shoin, p. 109. 

  28.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9-51. 

  29.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5. 

  30.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8. 

  31.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5. 

  32. Buxbaum, Gerda ed. (1999), Icons of Fashion-the 20th Century-, Munich, Berlin, London, New York: Prestel Verlag, p. 142. 

  33. 신상옥 (2005), 서양복식사 (제 2 개정판), 서울: 수학사, pp. 90-98. 

  34.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5. 

  35.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1. 

  36. 신상옥 (2005), 서양복식사 (제 2 개정판), 서울: 수학사, p. 99. 

  37.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5. 

  38. 신상옥 (2005), 서양복식사 (제 2 개정판), 서울: 수학사, p. 168. 

  39. Martin, Richard (1997a), Versace-Universe of Fashion,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I -Versace, 부산: 도서출판 노라노, p. 37. 

  40.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65. 

  41.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2. 

  42. Versace, Gianni (1994), Vanitas Designs, New York, London, Paris: Abbeville Press, p. 179. 

  43. Steele, Valerie (2003), Fashion, Italian Style, New Have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 71. 

  44.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p. 63-66. 

  45. 김의경 (2005),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패션디자인 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3. 

  46.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71. 

  47. Martin, Richard (1997a), Versace-Universe of Fashion,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I -Versace, 부산: 도서출판 노라노, p. 8. 

  48. Casadio, Mariuccia (1998), Versace, London: Thames and Hudson Ltd., p. 11. 

  49.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3. 

  50. 김의경 (2005),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패션디자인 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22-223. 

  51. 김의경 (2005),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패션디자인 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52.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172. 

  53. Martin, Richard (1997b), Gianni Versace,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169. 

  54.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4. 

  55. Bruzzi, Stella, Church Gibson, Pamela ed. (2000), Fashion Cultures-Theories, Explorations and Analysi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 264. 

  56.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9. 

  57. Versace, Gianni (1998), The Naked & The Dressed, New York: Random House, p. 27. 

  58. 나현신 (2004), 이탈리아 패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베르사체와 아르마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 54(6), p. 17. 

  59. Casadio, Mariuccia (1998), Versace, London: Thames and Hudson Ltd., p. 11. 

  60.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4. 

  61. Martin, Richard (1997a), Versace-Universe of Fashion,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I -Versace, 부산: 도서출판 노라노, p. 11. 

  62. 박기천 (2004), 지아니 베르사체 디자인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적 이미지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63. Buxbaum, Gerda ed. (1999), Icons of Fashion-the 20th Century-, Munich, Berlin, London, New York: Prestel Verlag, p. 97. 

  64.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65. Casadio, Mariuccia (1998), Versace, London: Thames and Hudson Ltd., p. 46. 

  66. 이선화 (1992), 20세기 전반기의 회화를 활용한 현대의상,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1. 

  67.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0. 

  68. Casadio, Mariuccia (1998), Versace, London: Thames and Hudson Ltd., p. 5. 

  69. 김의경 (2005),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패션디자인 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24-225. 

  70.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71.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72. Versace, Gianni, Calabrese, Omar (1993), Versace Signatures, Kyoto: Kyoto Shoin, p. 27. 

  73. Mulragh, Jane (1988),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New York: Vicking Penguin, p. 349. 

  74. Steele, Valerie (1997), Fifty Years of Fashion-New Look to Now-,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 154. 

  75. 조규화, 이희승 (2004), 패션미학, 서울: 수학사, p. 239. 

  76. Steele, Valerie (2003), Fashion, Italian Style, New Have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 71. 

  77. The Fashion Book (2001), New York: Phaidon, p. 481. 

  78. 곽보윤 (1999), 지아니 베르사체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79. 김의경 (2005),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패션디자인 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80. 김의경 (2005),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패션디자인 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