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 화학 통합교육의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
Teaching & Learning of Function Based on the Class Structure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 Chemistr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5 no.3, 2011년, pp.497 - 524  

박조령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고상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과간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요즘 본 연구는 간학문적 통합교육이 가능한 수학의 함수단원과 화학의 분자운동단원을 선택하여 통합적 교수모형을 설계하고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총 5단계의 8차시에 걸친 사례연구를 2010년 2학기말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과학통합교육은 상호 교과의 공통내용을 학습하는데 시너지효과를 주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실생활의 자연적 현상에 대한 예로부터 MBL를 사용하여 기체의 부피, 온도, 압력 등의 측정값을 구하였고 이 측정값으로부터의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속에 함수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두 주제가 공통의 학습목표를 지향하기에 Fogarty의 통합적 교수모형이 적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통해 전체 5단계를 걸쳐 학습하는 동안 함수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어 일반화하는 단계까지 점진적 수학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통합이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tudents' learning about the function of math combined with molecular motions of science using the block scheduling. It was based on the revised Class Structure Model of Lee et al.(2010) where MBL as a tool was used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합교육과정의 유형에서 분절형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첫 번째 분절형(fragmented model)은 중등학교의 교과조직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독립된 개별 교과별로 어떤 내용과 기술을 가르칠 것인가에만 의미를 두는 것으로 개별교과의 순수성이 훼손되지 않은 채 명확하고 독립된 견해를 얻을 수 있어 계열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일반적인 상황으로의 학습전이가 발생하기 어렵다
통합 교육과정의 핵심적 측면은 무엇인가? 통합이란 부분들의 전체성을 의미하며 그 전체성 속에서 부분들이 어떤 방식으로 변환되는가에 주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Beane, 1993). 즉, 학생들이 통합적이고도 지속적인 상호 과정과 사고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제와 관심에 대해 반응하면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것이 통합 교육과정의 핵심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통합교육이 의미하는 바는 Fogarty(1991)의 통합교육(integrated education)와 Drake(1993)의 간학문적통합을 말한다.
수학 교육과 과학 교육의 통합이 매우 유용한 이유는? 따라서 역사적 사건들에서 보았던 것처럼 학생들에게 수학적 개념, 과학적 현상을 학습시킴에 있어 두 교과를 통합하여 수업한다면 그 이상의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수학활동은 관찰 범위를 선정하거나 기록하는 방법들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과학 활동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며, 과학적 주제는 수학적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맥락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수학 교육과 과학 교육의 통합은 매우 유용하다 (Harlan & Rivkin, 2000; Hurley, 2001). 이러한 관점 하에 NCTM은 1995년 Yearbook을 통해 수학적 연결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였으며(cf.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09-41호. 

  2. 김남희 (1997). 변수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및 학습지도 방향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대환 (2009). 팀티칭을 활용한 과학과 수학의 통합 교과형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정 (1996). 수학 교과가 과학 교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5. 김용식 (2002).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6. 김정화 (2008). 수학교과와 과학 교과의 통합 교육을 위한 연구 : 중학교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교식 (1992). 함수 개념 지도의 교수현상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박창균 (2010). 수학과 학문융합, 한국수학사학회지, 23(1), 67-78. 

  9. 신은주 (2005)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4), 419-444. 

  10. 신은주 (2006) 등가속도 운동에서 미적분의 기본 아이디어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수학교육학연구, 16(1), 59-78. 

  11. 서보억?김혜경?김주영?김종재?김현지?채정림 (2008). 수학의 이해가 과학의 학습에 미치는 경향 분석 및 교과연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77-694. 

  12. 안경찬 (2005). 초등학교 6학년 통합교육과정 실행연구.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염규아 (2007). 중학교 수학/과학 통합 교육을 통한 중학교 일차함수 개념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우정호 (1998).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이종희 (1999). 함수 개념의 역사적 발달과 인식론적 장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4(2), 133-150. 

  16. 이종희?김부미 (2003). 교수학적 처방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차함수 오개념의 변화와 그 효과분석, 학교수학, 5(1), 115-133. 

  17. 이혜숙?임혜미?문종은 (2010). 수학과학통합 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9(2), 175-198. 

  18. 정광순 (2010).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1), 381-402. 

  19. Bastia, B., Tomlin, J., Pennington. K., & Pugh. D.(2001). Inquiry-Based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Education. 121(3), 615-624 

  20. Berlin, D. F. (1991). Integrating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bibliography.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 Beane, J. A. (1993). A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rhetric to reality(2nd Ed.). Columbus, OH: National Middle School Association 

  22. Berlin, D. F., & Hyonyong, L. (2003). A Bibliography of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literature(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association topics for teachers series number 7). Columbus OH : ERIC Clearing 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 Drake, S. M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4. Fogarty, R. (1991). The mindful school :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um. Palatine, IL: IRI/Skylight. 

  25. Freudenthal, H. (1983). Dida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6. Harlan, J. D., & Rivkin, M. S. (2000).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An integrated approach. Englewood Cliffs, NJ : Merrill Prentice Hall. 

  27. Howell, R. W., & Bradley, W. J. (2001). Mathematics in a Postmodern Age. Cambridg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8. Huntley, M. A. (1998).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middle grades.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9. Hurley, M. (2001). Reviewing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the search for evidence and definitions from new perspectiv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5), 259-268. 

  30. Michelsen. C. (2006). Functions: a modeling tool in mathematics and science. ZDM, 38(3), 269-280. 

  3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i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5). Connecting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The 1995 Yearbook. Reston, VA: NCTM. 

  33.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4. Pang, J., & Ron, G.(2000). A review of the integration or science and mathematic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2), 73-82. 

  35. Resnick. L. B. (1987). Learning In School and Out. Educational Researcher, 16, 13-20. 

  36. Vars, G. F. (1991). Integrated curriculum in historical perspective. Educational Leadership, 49(2), 14 - 15. 

  37.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14(3), 293-305. 

  38. Vinner, S., & Dreyfus, T. (1989). Image and definitions for the concept of fun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56-366. 

  39. Ziman, J. (1991). Reliable Knowledge: An exploration of the grounds for belief in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