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학 성취도의 요인 분석으로 본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Students' Cognition of Chemistry in Science High School by Factor Analysis of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4 no.2, 2020년, pp.119 - 129  

신동선 (경상대학교 화학교육과 대학원) ,  최호준 (경상대학교 화학교육과) ,  김봉곤 (경상대학교 화학교육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 고등학교에서 다양한 재능을 지닌 학생들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다양한 재능과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자연세계의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과정에서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학 성취도의 교과 간 상관 및 요인 분석으로 과학고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데 있다. 아울러 R&E 학급에 따른 화학 교과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입학 전형과 교육과정의 개편 시기에 따른 G과학고 3개년 입학생(296명)이 주 연구 대상자이고, 경남·울산 지역 2개 과학고를 포함하였다. 성취도의 상관 및 요인 분석은 SPSS 25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과학 성취도 간의 상관분석에서 화학의 Pearson 상관계수는 다른 교과목들에 비해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수학·과학 성취도의 요인 분석에서 요인 지표는 수리-논리(수학, 물리)와 자연 이해(생명과학, 지구과학)의 2개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요인 분석에서 화학 교과는 수리-논리와 자연 이해 능력이 모두 요구되는 교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R&E 학급에 따라서 화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R&E 화학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 달리 화학 교과를 수리-논리가 요구되는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iverse talents in science high school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iv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natural world, depending on the students' various talents and subject cha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입학 전형과 교육 과정의 변화가 있었던 2009, 2013, 2018학년도 입학생들의 수학과 과학 4 과목 간의 성취도 상관 및 요인 분석 등의 방법으로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 특성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화학 교과의 교수-학습 및 교육 과정의 재구성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가진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학 · 과학 교과 성취도 요인 분석을 통해 화학 교과의 위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과학고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제7차 교육 과정 이후(07, 09 및 15개정 교육과정) 적용된 3개년 G 과학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 과학 교과 성취도의 요인 분석을 통해서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또한 R&E 활동 영역과 학업 성취도는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 및 R&E 활동 영역에 따른 인식 차이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과학고 학생들의 수학과 과학 교과 간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과학고의 환경 변화에 따른 학생 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 변화에 있으며, 환경 변화를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입학 전형의 변화이다. 과학고 입학 전형은 2010학년도 입학생 이전에는 심층 면접 형태의 과학 창의성 전형에 의해서 선발하였으나, 2010학년도 이후부터 연차적으로 자기주도 학습 전형으로 선발하여 2013년 입학생들은 100% 자기주도 학습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 학급에 따른 화학 교과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는? 본 연구의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과학 성취도 간의 상관분석에서 화학의 Pearson 상관계수는 다른 교과목들에 비해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수학·과학 성취도의 요인 분석에서 요인 지표는 수리-논리(수학, 물리)와 자연 이해(생명과학, 지구과학)의 2개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요인 분석에서 화학 교과는 수리-논리와 자연 이해 능력이 모두 요구되는 교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R&E 학급에 따라서 화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R&E 화학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 달리 화학 교과를 수리-논리가 요구되는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과학고의 학생 선발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과학고의 학생 선발은 1996년 이후부터 2010학년도 이전까지 특별 전형과 일반 전형 형태로 실시되었다. G 과학고에서는 2009학년도에 각종 수학과학경시대회 수상자 중 교과 성적이 3~5% 이내이거나 학교장이 추천한 학생 중 19.
R&E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R&E는 ‘연구를 통한 교육’, ‘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 하며, PBL(Project-Based Learning)의 한 형태로써 과학영재 학생들의 연구 체험 활동을 통한 경험 학습 중심 영재 교육 프로그램으로 사사교육에 기초한다. 과학 영재들을 위해 개발된 R&E 프로그램은 한국과학영재학교 및 전국의 과학고등학교에서 주로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exander, L.; J. Simmons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No. 201 (mimeo). 1975. 

  2. Alexander; McDil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76, 41, 963. 

  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 Project 2061. Washington DC: AAAS. 1989. 

  4. Brophy, J. E.; Good, T. 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70, 60, 365. 

  5. Byun, T. J.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7, 17, 1. 

  6. Choe, H. S.; Kang, H. G.; Seo, H. A.; Park, I. Y.; Lee, H. W.; Lee, J. H.; Park, K. H.; Park, J. H.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2003. 

  7. Chun, M. S.; Park, J. K. Contemporary Educational Research 2018, 30, 169. 

  8. Coleman, J. S.; Campbell, E. Q.; Hobson, C. J.; McPartland, F.; Mood, A. M.; Weinfeld, F. D.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9. Gardner, H.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Basic Books: New York, 1999. 

  10. Jencks, C.; Smith, M.; Acland, H.; Bane, M. S.; Cohen, D.; Gintis, H. Inequality: A Reassessment of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ing in America New York: Basic Books 1972. 

  11. Johnstone, A. H.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991, 7, 75. 

  12. Jung, H. C.; Chae, Y. J.; Ryu. C. R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12, 22, 597. 

  13. Kim J. D.; Shim, J. Y.; Kim. Y. J.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2005, 30, 151. 

  14.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KOFAC) 2017 Science Creative Annual Statistics KOSIS 2017, 46. 

  15. Lee, H. 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34, 1. 

  16. Lee, M. K. PISA 2003 Results Analysis Study 2004. 

  17. McDill; Nariello. Sociology of Education 1986, 59, 18. 

  1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ies of Science High School, 2009.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Washington DC. 1996. 

  21. Park, J. H.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0. 

  22. Park, K. J.; Ryu. C. 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7, 37, 625. 

  23. Robinson, L. 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1973. 

  24. Rosenthal, R.; Jacobson, L. Psychological Reports 1966, 19, 115. 

  25. Seo, H. A.; Jung, H. C.; Son, J. W.; Kwak, Y. S.; Kim, J. H.; Koo, O. C.; Park, J. E. Reform Direction for Science High School.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6. 

  26. Shim, K. C.; So, K. H.; Kim, H. S.; Chang, N. 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1, 21, 135. 

  27. Shin, D. S.; Kim, B. 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2019, 11, 199. 

  28. Yeo, S. I.; Heo, J. S.; Choi, S. Y.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2010, 4, 1. 

  29. Yoon, M. S.; Kim, S. I.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004, 20, 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