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ull-bridge Converter의 새로운 ZVS 스위칭 기법
Novel ZVS Switching Method of Full-bridge Converter 원문보기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16 no.5, 2011년, pp.477 - 483  

김승룡 (고아정공 모터기술연구소) ,  선한걸 (고아정공 모터기술연구소) ,  한만승 (고아정공 모터기술연구소) ,  박성준 (전남대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인 DC/DC 전력변환기의 스위칭 방식은 하드 스위칭 방식과 공진을 이용한 소프트 스위칭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하드 스위칭 방식은 스위치의 턴 온/오프시 스위칭 소자에 생기는 전력손실이 커서 효율 면에서 불리하며, 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방식은 별도의 리액터와 커패시터를 추가함으로서 시스템의 사이즈와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스위칭 방식의 소프트 스위칭 방식의 Full-bridge 전력변환기의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소프트 스위칭 방식은 앞단의 벅 컨버터의 다이오드 전류시 영전압이 되는 구간에서 Full-Bridge 컨버터의 스위치를 교변 함으로써 리액터와 커패시터의 추가없이 소프트 스위칭을 이루어냄으로서 시스템의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안된 절연형 소프트 Full-bridge DC/DC 컨버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Psi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500[W]급 DC/DC 컨버터를 제작하여 DC/DC 컨버터의 효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isting switching system that is one of the ways which are used for DC/DC power converter is classified to hard-switching system and resonant-soft-switching system, generally. Hard-switching system is inefficient because the power loss of the switching element is large when it is been to trun on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하드스위칭과 공진형 컨버터의 스위칭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프트 스위칭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절연형 DC-DC 컨버터 토폴로지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컨버터는 앞단의 Buck-type 컨버터를 이용한 Full-bridge 컨버터의 소프트 스위칭을 구현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Full-bridge는 압전압이 zero영역이 존재하며 이 때 Full-bridge 컨버터의 스위치 전환신호를 발생함으로 Full-bridge컨버터의 Dead-time이 필요하지 않는 잠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제안한 소프트 스위칭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절연형 DC-DC 컨버터 토폴로지의 장점은? 본 논문에서는 하드스위칭과 공진형 컨버터의 스위칭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프트 스위칭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절연형 DC-DC 컨버터 토폴로지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컨버터는 앞단의 Buck-type 컨버터를 이용한 Full-bridge 컨버터의 소프트 스위칭을 구현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Full-bridge는 압전압이 zero영역이 존재하며 이 때 Full-bridge 컨버터의 스위치 전환신호를 발생함으로 Full-bridge컨버터의 Dead-time이 필요하지 않는 잠점이 있다.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지면? 최근 컨버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단위 체적당 전력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지면 단위 체적당 전력 밀도는 높일 수 있으나 스위칭 손실이 증가 및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잡음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효율에 큰영향을 끼친다. 특히 하드 스위칭 방식의 PWM 컨버터는 출력제어 성능은 우수하나, 높은 스위칭 스트레 스와 스위칭 주파수에 비례한 스위칭 Losses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DC/DC 전력변환기의 스위칭 방식은 하드 스위칭 방식과 공진을 이용한 소프트 스위칭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각각의 단점은? 일반적인 DC/DC 전력변환기의 스위칭 방식은 하드 스위칭 방식과 공진을 이용한 소프트 스위칭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하드 스위칭 방식은 스위치의 턴 온/오프시 스위칭 소자에 생기는 전력손실이 커서 효율 면에서 불리하며, 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방식은 별도의 리액터와 커패시터를 추가함으로서 시스템의 사이즈와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스위칭 방식의 소프트 스위칭 방식의 Full-bridge 전력변환기의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소프트 스위칭 방식은 앞단의 벅 컨버터의 다이오드 전류시 영전압이 되는 구간에서 Full-Bridge 컨버터의 스위치를 교변 함으로써 리액터와 커패시터의 추가없이 소프트 스위칭을 이루어냄으로서 시스템의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J.G.Cho, "Zero-voltage and Zero-current-switching full-bridge PWM converter for high power applications", IEEE, Vol. 11, Issue 4, pp. 622-628, 1996, July. 

  2. Xiaolin Gao, Raja Ayyanar, "A High-Performance, Intergrated Magnetics Scheme for Buck-Cascaded Push-Pull Converter", IEEE Power Elect., Vol. 2, No.1, pp. 29-33, 2004, March. 

  3. Jain, M.; Jain, P.K.; Daniele, M, "Analysis of a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topology for low power application", IEEE 1997 Canadian Confrerence on, Vol. 2, pp. 548-551, 1997, May 25-28. 

  4. C. Gerster, "Fast high-power high-power switch using series-connected IGBT's with active gate-controlled voltage-balancing", in Proc. IEEE APEC'94, pp. 469-472, 1994. 

  5. 손경종, 송성근, 최준호, 문채주, 김광헌, 임영철 "영전압영전류 스위칭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시스템",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제11권, 제4호, pp. 385-394, 2006, 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