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veillance System and the Location of Fortress of the Sil-la Dynasty by a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9 no.3, 2011년, pp.12 - 21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이재용 (밀라노 공과대학교 건축조경학과)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호가시성 분석을 통해 신라산성의 입지와 감시체계를 해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Arcview 3.2에서 $10{\times}10m$ 그리드의 지형표고모형이 제작되고, 명활산성, 남산신성, 서형산성 등의 위치가 표시되었다. 4개의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신라 왕도(538개 조망점)의 누적가시도(cumulative visibility, 累積可視度)에서 왕도에 면한 산성구간이 높은 피시빈도(被視頻度)를 보였다. 이는 산성이 왕도에 대한 가시를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3개 산성별 누적가시도에서 산성의 내부지역은 전시에 지휘가 유리하고, 외부지역은 산성간 상호감시체계가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3개 산성 합산 누적가시도에서 산성이 없는 왕도 북쪽에서 높은 피시빈도가 나타났다. 왕도 북쪽은 명활과 서형산성에서 적군의 감시와 지원이 용이한 4km 내외에 포함된다. 신라 왕도는 산성으로 인해 견고한 감시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효율적인 감시와 방어를 위해 산성이 왕도에서 봉우리로 상승하며 입지되었음을 추론하였다. 이는 7~8부 능선 입지설을 대체할 수 있는 실용적 산성 입지설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누적가시도 분석기법은 추후 경관고고학적 입지 분석에 실증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loc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of fortress using inter-visibility analysis between fortress and the capital of the Silla Dynasty. The digital terrain model(DTM) was generated with $10{\times}10m$ grid in Arcview 3.2. Then three fortresses lines(Myeonghwal-sanseong,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누적가시도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신라 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왕도에서 선정된 538개 조망점에서 누적가시도를 분석한 결과, 첫째 3개 산성 모두 왕도로의 가시성이 확보되어 있는 지점에서 높은 피시 빈도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Willey는 단일 유적 내의 유물이나 구조물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발굴 방법을 배제하였다. 오히려 유적군에 초점을 두고 지역 전체에 대한 패턴과 물리적 환경을 비교하여 고대의 사회정치적 조직을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는 기존 고고학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항공사진, 건축적인 관측, 지역적인 지도 등이 사용되게 된다.
  • 따라서 이러한 관계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낼 수 있다면 추후 산성의 기능과 조성목적을 보다 사실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산성의 입지나 성벽구간을 확증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경관고고학에서 사용하는 누적가시도의 방법을 이용하여 신라시대 산성 중 제2기에 축성된 산성을 대상으로 그 입지적 특성을 밝히고 궁극적으로는 성문과 장대지, 망루 등의 감시시설을 통하여 감시체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산성이 군사적인 전략과 지리적 특성에 의해 산에서의 위치 결정을 하는데 있어 왕도의 감시와 보호 산성 간의 상호 가시성의 확보에 중점을 두었다는 가설에서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