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경천(紅景天)이 뇌조직내출혈(腦組織內出血) 흰쥐의 뇌부종(腦浮腫)과 Matrix Metalloproteinase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odiola Rosea on Brain Edema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Expressions Following Intracerebral Hemorrhage in the Rat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6 no.4, 2011년, pp.169 - 180  

류사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이준석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신정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김성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손낙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at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Rhodiola rosea on brain edema and expression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related to blood-brain barrier (BBB) disruption. Methods : Brain edema following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was induced by the stereotaxic intrastria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홍경천이 뇌출혈과 뇌부종에 미치는 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뇌 선조체 (striatum) 내에 collagenase를 주입하여 뇌조직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을 유발하고 홍경천 에탄올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뇌부종과 뇌혈관관문 (blood-brain barrier, BBB) 누출 손상, 신경세포의 세포부종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뇌부종과 BBB 손상에 관여하는 주요인자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와 MMP-12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관찰한 바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특히 어댑토겐의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p-tyrosol과 phenolic glycoside rhodioloside가 알려져 있으며26), p-tyrosol은 산화적 손상의 억제효능과 5-lipoxygenase 억제효능이 있고, salidroside의 일종인 rhodioloside와 rhodiolin, rosin, rosavin, rosarin, rosiridin 등의 유효성분들이 항산화 효능14), 항스트레스15), 정신적 작업능력 향상16), 운동능력 향상19), 학습과 기억 증강18) 등의 다양한 효능들과 특히 신경세포손상 보호효능17)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경천의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과 뇌혈관관문 (blood-brain barrier, BBB) 손상에 대한 효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 MMP-12 양성반응 혈관 수를 관찰한 결과 역시 hematoma 주변부에서는 유의하지 못하였고, 대뇌피질에서는 유의성 있는 MMP-12 양성반응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홍경천의 혈관성 부종의 억제효과가 MMP-9와 MMP-12의 과발현을 억제하는 기전에 의한 것을 추측하게 한다. 그리고 hematoma 주변부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손상의 정도가 심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中風 즉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사망의 3대 원인 중 하나일 뿐 아니라 국내에서는 수년간 전체 사망원인 중 악성신생물에 이어 두 번째로 사망율이 높은 질환이다1). 뇌졸중은 뇌출혈 또는 뇌허혈 등으로 인하여 운동기능장애와 인지기능 장애 등을 수반하는 질환으로, 생존하더라도 이들 중 40%는 중등도의 기능장애가 있는 상태로 살아가고, 15-30%는 심각한 장애인으로 살아가게 된다2,3). 中風으로 인한 장애의 정도는 다른 장애유형보다 중증 비율이 더 높고, 심각한 후유장애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의 부담 증가와 개인적인 삶의 질 저하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4).
한의학에서 뇌졸중 치료를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한의학에서 中風은 風, 火熱, 氣血虛, 濕痰, 瘀血 등의 원인으로 발병되며, 祛風通絡, 淸熱, 補氣血, 除濕化痰, 活血祛瘀 등의 치법을 사용한다7,8). 이러한 中風에 대한 한의학의 치법과 한약물의 효능을 관찰한 실험연구에서 허혈성 뇌경색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보고들이 있으나 뇌출혈에 대한 한의학의 치법 또는 한약물의 효능연구 보고는 매우 드물다.
뇌졸중 완치 이후 후유증을 겪는 비율은? 中風 즉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사망의 3대 원인 중 하나일 뿐 아니라 국내에서는 수년간 전체 사망원인 중 악성신생물에 이어 두 번째로 사망율이 높은 질환이다1). 뇌졸중은 뇌출혈 또는 뇌허혈 등으로 인하여 운동기능장애와 인지기능 장애 등을 수반하는 질환으로, 생존하더라도 이들 중 40%는 중등도의 기능장애가 있는 상태로 살아가고, 15-30%는 심각한 장애인으로 살아가게 된다2,3). 中風으로 인한 장애의 정도는 다른 장애유형보다 중증 비율이 더 높고, 심각한 후유장애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의 부담 증가와 개인적인 삶의 질 저하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yung-Chul Lee, Kyung-Ho Yu. Epidemiology of Stroke in Korea. J. Korean Med. Association. 2002 ; 45 : 1415-21. 

  2. Badjatia N, Rosand J. Intracerebral hemorrhage. Neurologist. 2005 ; 11(6) : 311-24. 

  3. Xi G, Keep RF, Hoff JT. Mechanisms of brain injury after intracerebral haemorrhage. Lancet Neurol. 2006 ; 5(1) : 53-63. 

  4. Grant JS, Elliott TR, Weaver M, Glandon GL, Raper JL, Giger JN. Social support, social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djustment of family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6 ; 87(3) : 343-50. 

  5. Lo YK, Yiu CH, Hu HH, Su MS, Laeuchli SC.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seizures in Chinese acute stroke. Acta Neurol Scand. 1994 ; 90(2) : 83-5. 

  6.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Intracerebral hemorrhage versus infarction : stroke severity, risk factors, and prognosis. Ann Neurol. 1995 ; 38(1) : 45-50. 

  7. Joon Heo. Dongeuibogam. Seoul : Namsandang. 1998 : 509-19. 

  8. Young-Suk Kim. Pathogenesis and Pathology of Stroke. J. Oriental Chronic Dis. 1995 ; 1(1) : 113-40. 

  9. Kelly GS. Rhodiola rosea : a possible plant adaptogen. Altern Med Rev. 2001 ; 6(3) : 293-302. 

  10. Ming DS, Hillhouse BJ, Guns ES, Eberding A, Xie S, Vimalanathan S, Towers GH. Bioactive compounds from Rhodiola rosea (Crassulaceae). Phytother Res. 2005 ; 19(9) : 740-3. 

  11. Chinese Pharmacopoeia Commission.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eijing : Press of Chemistry and Industry. 2000 : 27. 

  12. Editors of The State Administration of Chinese Materia Medica(中華本草). Chinese Materia Medica (中華本草). Shanghai : Shanghai P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9 : 763. 

  13. Rong-han Zhou. Resource Science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Beijing : Press of Chinese Medicine and Technology. 1987 : 83-5. 

  14. Kanupriya, Prasad D, Sai Ram M, Kumar R, Sawhney RC, Sharma SK, Ilavazhagan G, Kumar D, Banerjee PK. Cy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odiola imbricata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induced oxidative injury in U-937 human macrophages. Mol Cell Biochem. 2005 ; 275(1-2) : 1-6. 

  15. Darbinyan V, Kteyan A, Panossian A, Gabrielian E, Wikman G, Wagner H. Rhodiola rosea in stress induced fatigue-a double blind cross-over study of a standardized extract SHR-5 with a repeated low-dose regimen on the mental performance of healthy physicians during night duty. Phytomedicine. 2000 ; 7(5) : 365-71. 

  16. Shevtsov VA, Zholus BI, Shervarly VI, Vol'skij VB, Korovin YP, Khristich MP, Roslyakova NA, Wikman G. A randomized trial of two different doses of a SHR-5 Rhodiola rosea extract versus placebo and control of capacity for mental work. Phytomedicine. 2003 ; 10(2-3) : 95-105. 

  17. Mook-Jung I, Kim H, Fan W, Tezuka Y, Kadota S, Nishijo H, Jung MW. Neuroprotective effects of constituents of the oriental crude drugs, Rhodiola sacra, R. sachalinensis and Tokaku-joki-to, against beta-amyloid toxicity,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Biol Pharm Bull. 2002 ; 25(8) : 1101-4. 

  18. Petkov VD, Yonkov D, Mosharoff A, Kambourova T, Alova L, Petkov VV, Todorov I. Effects of alcohol aqueous extract from Rhodiola rosea L. roots on learning and memory. Acta Physiol Pharmacol Bulg. 1986 ; 12(1) : 3-16. 

  19. Abidov M, Crendal F, Grachev S, Seifulla R, Ziegenfuss T. Effect of extracts from Rhodiola rosea and Rhodiola crenulata (Crassulaceae) roots on ATP content in mitochondria of skeletal muscles. Bull Exp Biol Med. 2003 ; 136(6) : 585-7. 

  20. Rosenberg GA, Mun-Bryce S, Wesley M, Kornfeld M. Collagenase 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Stroke. 1990 ; 21 : 801-7. 

  21. Alexander JJ, Jacob A, Cunningham P, Hensley L, Quigg RJ. TNF is a key mediator of septic encephalopathy acting through its receptor, TNF receptor-1. Neurochem Int. 2008 ; 52(3) : 447-56. 

  22. Provalova NV, Skurikhin EG, Pershina OV, Suslov NI, Minakova MY, Dygai AM, Goldberg ED. Mechanisms underling the effects of adaptogens on erythropoiesis during paradoxical sleep deprivation. Bull Exp Biol Med. 2002 ; 133(5) : 428-32. 

  23. Brekhman II, Dardymov IV.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Ann Rev Pharmacol. 1969 ; 9 : 419-30. 

  24. Ganzera M, Yayla Y, Khan IA. Analysis of the marker compounds of Rhodiola rosea L. (golden root) by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em Pharm Bull. 2001 ; 49(4) : 465-7. 

  25. Tolonen A, Pakonen M, Hohtola A, Jalonen J. Phenylpropanoid glycosides from Rhodiola rosea. Chem Pharm Bull. 2003 ; 51(4) : 467-70. 

  26. Linh PT, Kim YH, Hong SP, Jian JJ, Kang JS.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alidroside and tyrosol from the underground part of Rhodiola rose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Res. 2000 ; 23(4) : 349-52. 

  27. Begley DJ, Brightman MW.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blood-brain barrier. Prog Drug Res. 2003 ; 61 : 39-78. 

  28. Abbott NJ, Ronnback L, Hansson E. Astrocyte-endothelial interactions at the blood-brain barrier. Nat Rev Neurosci. 2006 ; 7(1) : 41-53. 

  29. Feuerstein GZ, Wang X, Barone FC. The role of cytokines in the neuropathology of stroke and neurotrauma. Neuroimmunomodulation. 1998 ; 5(3-4) : 143-59. 

  30. Unterberg AW, Stover J, Kress B, Kiening KL. Edema and brain trauma. Neuroscience. 2004 ; 129(4) : 1021-9. 

  31. Tran ND, Correale J, Schrieber SS, Fisher M.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mediates astrocyte specific regulation of brain endothelial anticoagulant factors. Stroke. 1999 ; 30 : 1671-7. 

  32. Lo EH, Dalkara T, Moskowitz MA. Mechanism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troke. Nature Rev Neurosci. 2003 ; 4 : 399-415. 

  33. Xi G, Keep RF, Hoff JT. Pathophysiology of brain edema formation. Neurosurg Clin N Am. 2002 ; 13 : 371-83. 

  34. Mun-Bryce S, Rosenberg GA.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cerebrovascular disease. J Cereb Blood Flow Metab. 1998 ; 18 : 1163-72. 

  35. Lapchak PA, Chapman DF, Zivin JA. Metalloproteinase inhibition reduces thrombolytic (tissue plasminogen activator)-induced hemorrhage after thromboembolic stroke. Stroke. 2000 ; 31 : 3034-40. 

  36. Seeds NW, Siconolfi LB, Haffke SP. Neuronal extracellular proteases facilitate cell migration, axonal growth, and pathfinding. Cell Tissue Res. 1997 ; 290 : 367-70. 

  37. Rosenberg GA.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neuroinflammation. Glia. 2002 ; 39 : 279-91. 

  38. Yong VW, Power C, Forsyth P, Edwards DR. Metalloproteinases in biology and pathology of the nervous system. Nat Rev Neurosci. 2001 ; 2 : 502-11. 

  39. Power C, Henry S, Del Bigio MR, Larsen PH, Corbett D, Imai Y, Yong VW, Peeling J. Intracerebral hemorrhage induces macrophage activ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Ann Neurol. 2003 ; 53 : 731-42. 

  40. Liu K, Mori S, Takahashi HK, Tomono Y, Wake H, Kanke T, Sato Y, Hiraga N, Adachi N, Yoshino T, Nishibori M. Anti-high mobility group box 1 monoclonal antibody ameliorates brain infarction induced by transient ischemia in rats. FASEB J. 2007 ; 21(14) : 390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