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영상 오류 분석과 예비교사들의 반응
Error Analysis of Satellite Imagery for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7, 2011년, pp.809 - 831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원문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면온도는 급변하는 기후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해양 변수 중의 하나이므로 과학 교과서에는 정확하고 오류없는 해수면온도 영상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해수면온도 영상들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 많은 오류들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24종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I, 지구과학 II 교과서의 36개의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영상을 17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해수면온도 영상 처리 과정에서 생긴 구름 제거, 육지 마스킹, 색상표, 위치 정보, 시간 표시와 관련된 오류와 인공위성에 대한 기본적인 표현 오류를 조사하였다. 예비교사 25명에게 문제가 있는 대표적인 인공위성 영상들을 제시하고 설문을 실시하고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해수면온도 영상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해빙, 강수 유입, 한류와 같은 실제 해양현상과 연관지어 해수면온도를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교과서 해수면온도 영상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부 항목들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to understand rapidly-changing climate, so that accurate and error-free SST images should be presented in school science textbooks. However, satelliteobserved SST images in the high-school textbooks presented some errors 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수면온도 자료에서 인성위성 자료의 장점과 인공위성 자료를 사용하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또한 인공위성자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해수면온도 자료는 여러 가지 해양 관측 기기와 인공위성 센서(sensor)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인공위성 자료는 넓은 해역을 동시에 그리고 반복적으로 관측할 수 있고, 관측된 자료들 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거의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활용하면 해양의 장단기 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고, 기후 및 기상변화와 관련된 해양-대기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발생 빈도는 낮지만 막대한 피해를 주어왔던 악기상들을 예측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 자료는 먼 우주 공간에서 관측한 자료이므로 대기 보정을 하여야 하며 해양의 현장 관측 자료를 수집하여 지속적으로 비교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해수면온도는 어떤 변수 중 하나인가요? 해수면온도는 최근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환경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이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는 1901년부터 2000년까지의 지구온도는 0.
해수면온도 자료는 무엇을 통해 획득 할 수 있나요? 해수면온도 자료는 여러 가지 해양 관측 기기와 인공위성 센서(sensor)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인공위성 자료는 넓은 해역을 동시에 그리고 반복적으로 관측할 수 있고, 관측된 자료들 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거의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권숙일, 이민호, 박수인, 윤용, 이강석, 이태욱, 정규호, 양영주, 2001, 고등학교과학. 교학사, 서울, 387 p. 

  2. 경재복, 윤일회,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2, 지구과학 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267 p. 

  3. 경재복, 윤일회,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2, 지구과학 I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p. 

  4. 교육부, 2000, 고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과학). 교육부, bbs7_1-62-2000-12-18-1, 244 p. 

  5. 김문수, 정영란, 1997, 확산과 삼투 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의 원인으로서의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191-200. 

  6. 김찬종, 서만석, 김희백, 심재호, 현종오, 한인옥, 권성기, 박성식, 2001, 고등학교 과학. 도서출판 디딤돌, 서울, 359 p. 

  7. 김희수, 정남식, 신동원, 박정웅,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2, 지구과학 I. 천재교육, 서울, 247 p. 

  8. 김희수, 정남식, 신동원, 박정웅,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2, 지구과학 II. 천재교육, 서울, 367 p. 

  9. 박경애, 최지영, 2009,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사용된 염분 단위분석 및 단위 개정을 위한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0, 513-526. 

  10. 성민웅, 김봉곤, 조성동, 강대훈, 강충호, 구자옥, 노일환, 이용철, 임태훈, 최범선, 한은택, 2001, 고등학교 과학. 문원각, 서울, 415 p. 

  11. 송호봉, 정용순, 유병선, 이윤상, 김여상, 정태연, 이하원, 윤덕열, 2001, 고등학교 과학. 홍진 P&M, 서울, 396 p. 

  12. 우규환, 이춘우, 오두환, 김영유, 경재복, 이경훈, 박태윤, 이영직, 백수관, 김병인, 김봉래, 이기영, 2001, 고등학교 과학.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99 p. 

  13.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2, 지구과학 I. 교학사, 서울, 221 p. 

  14.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2, 지구과학 II. 교학사, 서울, 303 p. 

  15.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2, 지구과학 I. 미래엔 컬처그룹, 서울, 247 p. 

  16.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2, 지구과학 II. 미래엔 컬처그룹, 서울, 351 p. 

  17. 이규석, 조희영, 박봉상, 박문수,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이창진, 이용준, 2001, 고등학교 과학. 대한교과서, 서울, 391 p. 

  18. 이기영, 2007,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811-824. 

  19. 이면우, 장병기, 고재덕, 윤상학, 이진승, 여상인, 김홍석, 임채성, 배진호, 백승용, 이성진, 최변각, 2001, 고등학교 과학. 지학사, 서울, 359 p. 

  20.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2, 지구과학 I. 금성출판사, 서울, 283 p. 

  21.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2, 지구과학 II. 금성출판사, 서울, 391 p. 

  22. 이문원, 전성용, 최병수, 권석민, 노태희, 허성일, 김출배, 강석진, 박희송, 김경호, 김규상, 채광표, 김진만, 정대영, 2001, 고등학교 과학. 금성출판사, 서울, 415 p. 

  23. 이연우, 강석본, 김인석, 김성진, 이진우, 안종제, 배미정, 전화영, 2001, 고등학교 과학. 이젠미디어, 서울, 383 p. 

  24. 정완호, 권재술, 김대수, 김범기, 신영준, 우종옥, 이길재, 정진우, 최병순, 황원기, 2001,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서울, 350 p. 

  25. 차동우, 김희수, 이명석, 이현주, 최종한, 이복영, 옥준석, 윤세진, 이원경, 정남식, 신동원, 2001,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서울, 355 p. 

  26. 채동현, 2010, 지구과학 I 교과서의 단열변화 정의, 삽화, 실험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1, 762-771. 

  27. 최승일, 조희형, 1987, 고등학교 생물1의 세포분열, 생식, 수정개념에 대한 오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 19-31. 

  28. 허창회, 박병훈, 정성표, 김병국, 2002, 지구과학 I. 지학사, 서울, 255 p. 

  29. 허창회, 박병훈, 정성표, 김병국, 2002, 지구과학 II. 지학사, 서울, 335 p. 

  30. 현종오, 이진승, 이응신, 이경호, 조광희, 한인옥, 정대홍, 최원호, 이태원, 김희백, 이상인, 김찬종, 박정웅, 서만석, 이태형, 이인선, 2007, 고등학교 과학. 한국과학문화재단, 서울, 580 p. 

  31. Abraham, M.R., Grzybowski, E.B., Renner, J.W., and Marek, E.A., 1992, Unde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eights graders of five chemistry concepts found in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105-120. 

  32. Ball, D.L. and Feiman-Nemser, S., 1988, Using textbooks and curriculum guides: A dilemma for beginning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Inquiry, 18, 401-422. 

  33. Chian-Soong, B. and Yager, R.E., 1993, The inclusion of STS material in the most frequently use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in the U.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 339-349. 

  34. Comiso, J.C., Parkinson, C.L., Gersten, R., and Stock, L., 2008, Accelerated decline in the Arctic sea ice cove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 L01703, doi:10.1029/ 2007GL031972. 

  3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IPCC, 52 p. 

  36. Kim, K. and Legeckis, R., 1986, Branching of the Tsushima Current in 1981-1983. Progress in Oceanography, 17, 265-276. 

  37. McClain, E.P., Pichel, W.G., and Walton, C.C., 1985, Comparative performance of avhrr-based multichannel sea 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90, 11587-11601. 

  38. McMillin, L.M., 1975, Estim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s from two infrared window measurements with different absorp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80, 5113-5117. 

  39. Park, K.A. and Kim, K.R., 2010, Unprecedented coastal upwelling in the East/Japan Sea and linkage to longterm large-scale vari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7, L09603, doi:10.1029/2009GL042231. 

  40. Park, K.A., Chung, J.Y., Kim, K., and Cornillon, P.C., 2005, Wind bathymetric forcing of the annual sea surface temperature signal in the East (Japan) Se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2, L05610, doi:10.1029/ 2004GL022197. 

  41. Park, K.A., Ullman, D.S., Kim, K., Chung, J.Y., and Kim, K.R., 2007,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atelliteobserved subpolar front in the East/Japan Sea. Elsevier, 54, 453-470. 

  42. Pozzer, L.L. and Roth, W.-M., 2003, Toward a pedagogy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89-114. 

  43. Prabhakara, C., Dalu, G., and Kunde, V.G., 1974, Estim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remote sensing in the 11- to 13-μm window reg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79, 5039-5044. 

  44. Tobin, K.,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In pursuit of better questions and answers to impro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 403-418. 

  45. Vialard, J., Menkes, C., Boulanger, J.-P., Delecluse, P., and Guilyardi, E., 2001, A model study of oceanic mechanisms affecting equatiorial Pacific sea surface temperature during the 1997-98 El Nino.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31, 1649-1675. 

  46. Walton, C.C., 1988, Nonlinear multichannel algorithms for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with AVHRR satellite dat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7, 115-124. 

  47. Yashayaev, I.M. and Zveryaev, I.I., 2001, Climate of the seasonal cycle in the North Pacific and the North Atlantic ocea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1, 401-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