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I, II의 이수와 대학 전공이 예비과학 교사들의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ection of Earth Science I, II in High School and College Major on their Self-perceived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Earth Science Lectur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3, 2017년, pp.239 - 249  

심현진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효녕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 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와 대학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소속의 학생들 중 2012년 2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총 4개 학기 동안 일반지구과학 강의를 수강한 273명의 학생들이다. 현재 전공과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목 이수 여부가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시험 체감 난이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23.0을 활용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교육 전공 학생들과 타 과학교육전공 학생들 사이에는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시험 체감 난이도에 대해서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의 이수 여부는 학생들의 태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 I과 지구과학 II를 모두 이수한 학생은 지구과학 I만 이수한 학생 또는 지구과학을 전혀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일반지구과학 수업 태도가 더 좋았으며 높은 성취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 대학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한 교수학습적 접근이 필요하며, 과학 교사로서 필요한 교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사범 대학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ection of earth science I, II in the high school and their college major on their self-perceived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earth science lecture at university. The particip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 및 대학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강의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목 이수 여부 및 대학 전공 영역이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들 본인이 인식하는 학습 태도와 시험 난이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 이수 여부가 대학교 1학년 개론 수준의 지구과학 강의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범 대학의 지구과학 교사, 공통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전체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아니라 특정한 강의에 초점을 두고 수업 내용, 교수 학습 태도 등을 조절해 가는 탐색적인 연구 결과물이며 일반지구과학의 강의 영역 중천문 분야에 한정하여 수행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 및 대학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강의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목 이수 여부 및 대학 전공 영역이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들 본인이 인식하는 학습 태도와 시험 난이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 이 탐색적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 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 및 대학 에서의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강의에 대한 학습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핵심적인 결과와 이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 본인의 전공 여부와 학업성취도 사이에 무엇이 예외적으로 나타나는가? 둘째, 과학교육학부에서 학생 본인의 전공 여부는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고등학교 과학 선택에서 지구과학 I과 지구과학 II를 이수한 학생은 지구과학 I만 이수한 학생 그리고 미이수 학생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지구과학 I만 이수한 학생도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여 주었다. 즉,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의 이수 여부가 대학의 지구과학 학습의 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범 대학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이러한 과학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인 것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범 대학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사범 대학의 교육과정은 예비 교사의 전문성과 교수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필요한 전공 내용과 교과 교육학, 교직 소양 및 실습 과목 등으로 구성된다(Kim and Lee, 2006; Kim et al., 2006; Kwak, 2009).
과학교육학부에 입학한 학생들 중 지구과학에 대한 교육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첫째, 과학교육학부에 입학한 학생들 중 지구과학 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경우 90% 이상이 지구과학 I을 고등학교에서 이수했고 30% 내외의 학생들은 지구과학 II까지 이수하였다. 반면, 물리, 화학, 생물 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경우 지구과학 I은 70%, 지구 과학 II까지는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liner, D.C., 2001, Learning about and learning from expert teachers. Educational Researcher, 35, 463-482. 

  2. Bransford, J., Brown, A., and Cocking, R., 1999,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 Darling-Hammond, L. and Bransford, J., 2005,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San Francisco: Jossey-Bass. 

  4. Engelmann, C.A., 2014, Investigation of strategies to promote effectiv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s in earth scienc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 Michigan, USA, 189 p. 

  5. Han, J., 2012, Research on the pre-service teachers' life and identity change in a college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75-89. (in Korean) 

  6. Im, Y. and Lee, H., 2014,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ffects of writing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system thinking 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2), 407-427. (in Korean) 

  7. Jo, K., 2013, Pre-service teachers' opinions and needs on the physics education major curriculum in colleg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374-388. (in Korean) 

  8. Kwak, Y.,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in Korean) 

  9. Kim, C.J., Maeng, S.H., Cha, H.J., Park. Y.S., and Oh, P.S., 2006, A case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novice science teacher and an experienced teacher: Priorities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ZP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425-439. (in Korean) 

  10. Kim, J. and Lee, K., 2006, Investigation of the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ir improvement plan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390-400. (in Korean) 

  11. Lan, Y.L., 2012, Development of an attitude scale to assess K-12 teachers'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8), 1189-1210. 

  12. Lee, B. and Chang, S., 2008, The effect of educational backgrounds in high school sciences on the achievement of college scienc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2), 191-210. (in Korean) 

  13. Lee, H., 2011,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rth systems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798-808. (in Korean) 

  14. Lee, K., 2009,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3), 330-343. (in Korean)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1997,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6.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1, Science curriculum [Supplement 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The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ngton DC, USA 

  19.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ngton DC, USA 

  20. Myers, R. and Fouts, J. 1992. A cluster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 environments and attitudes to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9), 929-937. 

  21. Osborne, J. and Simon, S. 1996. Primary science: Past and future direction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6, 99-147. 

  22. Park, S. and Oliver,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in Korean) 

  23. Riley, J.L. and Roberta R.R., 1993, Influence of education on self-perceived attitudes about HIV/AIDS among human services providers. Social Work, 38(4), 396-401. 

  24. Shapiro, J., Hollingshead, J., and Morrison, E., 2009, Selfperceived attitudes and skills of cultural competence: a comparison of family medicine and internal medicine residents. Medical Teacher, 25(3), 327-329. 

  25. She, H. and Fisher, D. 2002.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and its association with students' cognitive and attitudinal outcomes in science in Taiwa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63-78. 

  26. Simpson, R. and Oliver, S. 1990. A summary of major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74(1), 1-18. 

  27. Sung, C. and Chung, Y., 2013, Secondary science teacher, attitude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anxiety,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 281-295. (in Korean) 

  28. Yang, C., Kwak, Y., Han, J., and Noh, T., 2013,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2), 345-35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