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국산 산사자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Crataegus Fructus Extract from Chinese Cultivatio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11 = no.139, 2011년, pp.1586 - 1591  

갈상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최영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조수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산사자(Crataegus fructus)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세포와 고지방식이(high fat 45% cal)로 비만이 유도된 ICR mouse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 중국산 산사자 메탄올 추출물을 0-2,000 ug/ml의 농도범위로 처리하였을 때 200 ug/ml과 400 ug/ml의 농도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600-2,000 ug/ml의 농도범위에서는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이 10-25% 감소하였다(p<0.05). 실험동물인 3주령의 수컷 ICR mice (n=24)는 실험구별로 6마리씩 4군(T0: 정상식이, T1: 고지방식이, T2: 고지방식이와 산사자추출물 50 ug, T3: 고지방식이와 산사자추출물 100 ug)으로 나누어 5주 동안 시험하였으며 고지방식이군인 T1군의 증체량(3.9${\pm}$0.24 g)은 정상식이군인 T0군(2.56${\pm}$0.14 g)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지방식이군과 중국산 산사자 메탄올 추출물을 함께 급여한 T2군(3.02${\pm}$0.25 g)과 T3군(2.58${\pm}$0.16 g)의 증체량은 고지방식이만 급여한 T1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의 간 무게는 T0군보다 T1군과 T2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T3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T1과 T2의 신장 무게는 T0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T3군의 신장 무게는 T0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고지방식이와 중국산 산사자메탄올 추출물을 급여한 T2군과 T3군의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지방 함량도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T1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Crataegus fructus in 3T3-L1 adipocytes and mice fed a high fat diet (high fat 45% cal). The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Crataegus fructus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as quantified using Oil red O stai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자원 중 산사자를 메탄올에 추출하여 3T3-L1 지방세포에 대한 산사자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산사자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 산사자 추출물을 급여하여 체중변화와 혈청내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사자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무엇인가? 비만은 지방세포(adipocyte) 내 중성지방 크기가 증대하거나 지방세포 수가 증가한 것이며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크기가 증대하게 되면 운동이나 식이를 통하여 축적된 중성지방을 분해할 수 있지만 지방세포 수가 증가하여 비만이 유발된 경우에는 생성된 지방세포를 파괴해야 하므로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치료를 위해서는 식이, 운동, 행동요법을 통한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이 약물처방이나 외과적 수술요법을 병행하여 비만을 예방, 치료하고 있다[2].
비만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는 무슨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비만치료를 위해서는 식이, 운동, 행동요법을 통한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이 약물처방이나 외과적 수술요법을 병행하여 비만을 예방, 치료하고 있다[2]. 비만 치료제는 여러 작용기전에 따라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 시판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시키거나 지방의 소화를 억제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약물이며 위장장애, 복부팽만, 구갈, 불면증, 두통, 혈압상승 등의 부작용을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11] 일부는 항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합성 의약품 유래 비만 치료제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비만인구의 증가와 함께 비만치료제의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은 무슨 질병을 유발하는가? 비만은 신체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칼로리 섭취가 초과되어 과잉섭취된 에너지가 중성지방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축적된 열량 불균형상태를 말하며[29] 선진국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단의 서구화로 각종 동물성 가공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여 비만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비만은 심혈관계질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담석증 등의 질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1,18,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erson, J. W., D. A. Deakins, T. L. Floore, B. M. Smith, and S. E. Whitis. 1990. Dietary fiber and coronary heart disease. Crit. Rev. Food Sci. Nutr. 29, 95-147. 

  2. Ahn, K. S., M. S. Hahm, E. J. Park, H. K. Lee, and I. H. Kim. 1998. Corosolic acid isolated from the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var. psilosa is a protein kinase C inhibitor as well as a cytotoxic agent. Planta Med. 64, 468-470. 

  3. Ahn, I. S., K. Y. Park, and M. S. Do.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03-513. 

  4. Bae, M. H. and H. H. Kim. 2003. Mechanism of Crataegi fructus extract induced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tion in rabbit carotid artery. Korean J. Herbology 18, 169-180. 

  5. Cha, S. Y., J. Y. Jang, Y. H. Lee, G. Lee, H. J. Lee, K. T. Hwang, Y. Kim, W. Jun, and J. Lee. 2010. Lipoly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Luffa cylindrical in mature 3T3-L1 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13-819. 

  6. Choi, O. K., Y. Kim, G. S. Cho, and C. K. Sung.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 Food. Nutr. 15, 300-306. 

  7. Choi, S. M., M. J. Kim, Y. H. Choi, H. J. Ahn, and Y. P. Yun. 1998. Screening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Yakhak Hoeji 42, 89-94. 

  8. Amani, M. D. EI-Mousallamy. 1998.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constitutive flavonoid glycosides of the leaves of Crataegus sinaica. Natural Prod. Sci. 4, 53-57. 

  9. Folch, J., M. Lees, and G. H. Sloane Stanley. 1957. A simple method fo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10. Gao, C. L., J. G. Zhu, Y. P. Zhao, X. H. Chen, C. B. Ji, C. M. Zhang, C. Zhu, Z. K. Xia, Y. Z. Peng, and X. R. Guo. 2010. Mitochondrial dysfunction is induced by the overexpression of UCP4 in 3T3-L1 adipocytes. Int. J. Mol. Med. 25, 71-80. 

  11. George, A. B. and A. T. Louis. 2000.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 672-677. 

  12. Hong, S. S., J. S. Hwang, S. A. Lee, X. H. Han, J. S. Ro, and K. S. Lee. 2002.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Korean J. Pharmacogn. 33, 285-290. 

  13. Jeong, T. S., E. I. Hwang, H. B. Lee, E. S. Lee, Y. K. Kim, B. S. Min, K. H. Bae, S. H. Bok, and S. U. Kim. 1999. Chitin synthase II inhibitory activity of ursolic acid, isolated from Crataegus pinnatifida. Planta Med. 65, 261-263. 

  14. Kang, I. H., J. H. Cha, S. W. Lee, H. J. Kim, S. H. Kwon, I. H. Han, B. S. Hwang, and W. K. Whang. 2005.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r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Korean J. Parmacogn. 36, 121-128. 

  15. Kim, J. S., G. D. Lee, J. H. Kwon, and H. S. Yeon. 1993.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ther extract in Crataegus pinnadifida Bunge and Terminalia chebula Rets. J. Korean Agric. Chem. Soc. 36, 203-207. 

  16. Kim, J. Y., J. E. Jeong, S. H. Moon, and K. Y. Park. 2010. Antiobesity effect of the Bacillus subtilis KC-3 fermented soymilk in 3T3-L1 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26-1131. 

  17. Kim, J. S., G. D. Lee, J. H. Kwon, and H. S. Yeon. 1993. Identification of phenolic antioxidative components in Crataegus pinnadifida bunge. J. Korean Agric. Chem. Soc. 36, 154-157. 

  18. Kopelman, P. 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19. Lee, H. J. and M. S. Choi. 1999. Measurement of inhibitory activities on 3- 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n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by various plant extract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58-962. 

  20. Min, B. S., H. J. Jung, J. S. Lee, Y. H. Kim, S. H. Bok, C. M. Ma, N, Nakamura, M. Hattori, and K. Bae. 1999. Inhibitory effect of triterpenes from Crataegus pinatifida on HIV-I protease. Planta Med. 65, 374-375. 

  21. Min, B. S., Y. H. Kim, S. M. Lee, and K. Bae. 2000. Cytotoxic triterpenes from Crataegus pinnadifida. Arch. Pharm. Res. 23, 155-158. 

  22. Nasa, Y., H. Hashizume, A. N. Hoque, and Y. Abiko. 1993. Protective effect of crataegus extract on the cardiac mechanical dysfunction in isolated perfused working rat heart. Arzneimittelforschung 43, 945-949. 

  23. Park, S. W., C. S. Yook, and H. K. Lee. 1994. Chemical components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difida var psilosa. Kor. J. Pharmacogn. 25, 328-335. 

  24. Rhee, S. J., K. R. Kim, H. T. Kim, and J. H. Hong. 2007. Eeffects of catechin on lipid composition and adipose tissue in obese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40-547. 

  25. Kim, J. C. and S. A. Kang. 2001.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 concentration in rats. Korean J. Nutr. 34, 123-131. 

  26. Seo, B. I. 2005. Preven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on Crataegi frutus on hyperlipiderma and liver damage induced by alcohol. Korean J. Herbology 20, 35-43. 

  27. Shin, H. M., D. H. Shin, and G. W. Kim. 1994. Antioxidant effects and roles of endogenous sulfhydryls in the gastric mucous protection of Crataegus cuneata. J. Korean Oriental Medical Physiology 15, 127-135. 

  28. Shon, M. Y.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 mushroom. Food Indus. Nutr. 12, 51-57. 

  29. Spiegelman, B. M. and S. Flier. 1996.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Cell 87, 377-389. 

  30. Sun, J. Y., S. B. Yang, H. X. Xie, G. H. Li, and H. X. Qiu. Studies in chemical constituents from fruit of Crataegus pinnadifida. Chinese Traditional and Herbal Drugs 33, 483-486. 

  31. Visscher, T. L. 2001.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 Health 22, 355-375. 

  32. Zhang, P. C. and S. X. Xu. 2001. Flavonoid ketohexosefuranosides from the leaves of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 major N. E. Br. Phytochemistry 57, 1249-1253. 

  33. Zhang, P. C. and S. X. Xu. 2002. Two new C-glucoside flavonoids from leaves of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 major N. E. Br. Chinese Chem. Lett. 57, 1249-1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