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이론을 바탕으로
A Study on Faculty's Adop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IRs) Bas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8 no.4 = no.82, 2011년, pp.141 - 160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관 레포지터리에 셀프 아카이빙하고 있는 미국 연구중심 대학 교수 109명의 데이터를 혁신확산 이론의 주요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들 교수들의 대다수가 기관 레포지터리 담당자의 직접적인 연락이나 발표를 통해 기관 레포지터리를 인식하고 있었다. 혁신의 5가지 특성과 관련하여 디지털 보존과 이용통계 제공이 기관 레포지터리의 상대적 우위성을 강조할 수 있는 서비스 기능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 레포지터리의 기반이 되는 오픈액세스의 가치와 학자들이 지향하는 지식과 학문의 발전이라는 가치 사이에 적합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한 기관 레포지터리의 시험적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관 레포지터리의 수용을 통해 긍정적이고 가시적인 피드백을 얻은 교수들은 기관 레포지터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혁신의 계속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기관 레포지터리의 수용을 지속시킬 수 있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perceptions of 109 professors at doctorate-granting universities in the U.S. who have self-archived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IRs), predicat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The majority of the faculty learned about IRs through the contact from IR staff or their 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규범의 측면에서 기관 레포지터리와 교수들의 학문분야 내 통용되는 기준과의 적합성을 논의하기 위해 셀프 아카이빙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분야의 교수들이 기관 레포지터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한 교수(ID 1984)는 셀프 아카이빙이 본인의 분야에서 매우 일반적임을 언급하면서 이미 개인 웹사이트를 통해 연구저작물을 오픈액세스로 공개하고 있고 다른 사람들이 이를 통해 자신의 저작물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기관 레포지터리를 이용할 필요가 없음을 지적하였다.
  • 기관 레포지터리에 셀프 아카이빙하고 있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기관 레포지터리를 인지하게 되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에 제시되어 있다.
  • 다음 장에서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참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논의한 후 혁신확산이론과 이에 바탕을 둔 기관 레포지터리 관련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분석한 데이터의 수집시기가 2006년 말에서 2007년 초이므로 데이터의 최신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선행연구에서 2007년 이후에 제시된 연구들까지 포함하여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와는 별도로 혁신확산이론을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적용시킨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이 혁신확산이론에 근거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의 수용 촉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 것에 그친 반면 본 연구는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이론에 대한 실증적인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는 특성이 있다.
  • Chan(2003)은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기관 레포지터리인 TSpace에 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수들의 참여가 저조한 원인으로 자신들의 연구저작물을 배포하는 데 있어 현재의 방식을 고수하려 하고 변화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태도에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오픈액세스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도가 낮고 기관 레포지터리에서 지향하는 디지털 보존과 액세스를 대학이 책임지고 완수할 것이라는 데 대한 신뢰가 낮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 재산권에 대한 불확실성도 기관 레포지터리에 대한 교수들의 참여를 저하시키는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 Revell과 Dorner는 대학 도서관 사서들이 변화 주도자로서 기관 레포지터리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기관 레포지터리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5가지 혁신의 특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이 기관 레포지터리에 대한 홍보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홍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면담에 응한 사서들은 기관 레포지터리가 일반적으로 액세스하기 어려운 자료들, 예를 들어 학위 논문이나 보고서 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사서들이 인지하는 기관 레포지터리의 상대적인 우월성이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사회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 온 혁신확산이론(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을 적용하여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 이론체계 내에서 혁신(innovation)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 혹은 실무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관 레포지터리를 하나의 혁신으로 간주하였다.
  • 이와 같이 교수들을 대상으로 기관 레포지터리에서의 셀프 아카이빙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및 영향 요인을 조사한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이론적인 토대를 기반으로 수행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확산이론을 바탕으로 기관 레포지터리를 수용하고 있는 교수들이 그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경로와 기관 레포지터리에 대한 그들의 인식 및 계속적인 수용 의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혁신확산이론의 이론체계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기관 레포지터리를 수용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데이터의 수집시기가 2006년 말에서 2007년 초이므로 데이터의 최신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선행연구에서 2007년 이후에 제시된 연구들까지 포함하여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와는 별도로 혁신확산이론을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적용시킨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 이러한 혁신확산이론의 이론체계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기관 레포지터리를 수용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데이터의 수집시기가 2006년 말에서 2007년 초이므로 데이터의 최신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선행연구에서 2007년 이후에 제시된 연구들까지 포함하여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뿐만 아니라 이들은 혁신결정과정의 다섯 단계 - 지식, 설득, 결정, 수행, 확정 - 을 바탕으로 각 단계별 기관 레포지터리 홍보 전략을 제안하였다. 지식 단계에서는 혁신자 유형에 해당하는 대학 구성원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홍보를 실시하고 설득 단계에서는 기관 레포지터리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조기수용자들을 대상으로 개인 차원의 수용에서 학과 차원의 수용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결정 단계에서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기관 레포지터리를 지원하는 학과들이 이를 수용할 수 있게 하여 수행 단계에서 파일럿 프로젝트에 결과물을 제시하여 다른 학과들에 이를 홍보할 것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기관 레포지터리를 수용하고 있는 교수들은 어떠한 경로로 기관 레포지터리를 인지하게 되는가?
  • 이러한 설득의 단계에서 5가지 혁신의 특성인 상대적 우위, 적합성, 복잡성, 시험 가능성, 관찰 가능성이 교수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Xu는 기관 레포지터리의 상대적 우위성은 연구 저작물의 장기적인 보존과 이를 오픈액세스로 공개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기관 레포지터리의 적합성과 관련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와 주제별 레포지터리의 유사성으로 인해 주제별 레포지터리의 수용자들이 기관 레포지터리를 수용하게 될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가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 레포지터리가 논의되기 시작한 배경은 무엇인가? 기관 레포지터리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혁신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생성되는 학술정보의 질적인 우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쇼케이스(showca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대학의 인지도와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Crow(2002)는 기관 레포지터리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주도한다는 측면에서 기존 학술지 출판 체계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되어온 기능인 등록(registration), 인증(certification), 인지(awareness), 보존(archiving) 기능이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될 것이며 각 기능과 관련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의 역할이 증대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혁신확산이론에서 혁신이란 무슨 의미인가? 본 연구는 사회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 온 혁신확산이론(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을 적용하여 교수들의 기관 레포지터리 수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 이론체계 내에서 혁신(innovation)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 혹은 실무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관 레포지터리를 하나의 혁신으로 간주하였다. 혁신확산이론은 수많은 연구에서 그 설명력을 인정받은 검증된 이론체계이 므로 기관 레포지터리의 수용 요인을 논의하는데 적절한 이론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학술지 출판 체계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되어온 기능이 무엇인가? 기관 레포지터리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혁신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생성되는 학술정보의 질적인 우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쇼케이스(showca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대학의 인지도와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Crow(2002)는 기관 레포지터리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주도한다는 측면에서 기존 학술지 출판 체계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되어온 기능인 등록(registration), 인증(certification), 인지(awareness), 보존(archiving) 기능이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될 것이며 각 기능과 관련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의 역할이 증대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또한 쇼케이스로서의 기관 레포지터리가 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대학 내 교수와 연구자들이 인식과 요구를 이해하고 이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기관 레포지터리 성공의 관건임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len, J. 2005. "Interdisciplinary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deposit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Master's theses,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 

  2. Chan, L. 2004. "Supporting and enhancing scholarship in the digital age: the role of Open-Access institutional repositories." Canad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9: 277-300. 

  3. Covey, D. T. 2009. "Self-archiving journal articles: A case study of faculty practice and missed opportunity."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9(2): 223-251. 

  4. Crow, R. 2002. The case for institutional repositories: A SPARC position paper. [online]. [cited 2011.12.11]. . 

  5. Culled, R. and B. Chawner. 2010. "Institutional repositories: Assessing their value to the academic community."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11(2): 131-147. 

  6. Davis, P. M. and M. J. L. Connolly. 2007. "Institutional repositories: Evaluating the reasons for non-use of Cornell University's installation of DSpace." D-Lib Magazine, 13(3/4). [online]. [cited 2011.12.11]. . 

  7. Foster, N. F. and S. Gibbons. 2005. "Understanding faculty to improve content recruitment for institutional repositories." D-Lib Magazine, 11(1). [online]. [cited 2011.12.11]. . 

  8. Jantz, R. C. and M. C. Wilson. 2008. "Institutional repositories: Faculty deposits, marketing, and the reform of scholarly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4(3): 186-195. 

  9. Jones, R., T. Andrew, and J. MacColl. 2006. "Advocacy." I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Oxford, UK: Chandos Publishing. 

  10. Kim, J. 2011. "Motivations of faculty selfarchiving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7(3): 246-254. 

  11. Kingsley, D. 2008. "Those who don't look don't find: Disciplinary considerations in repository advocacy." OCLC Systems & Services, 24(4): 204-218. 

  12. Revell, J. and D. Dorner. 2009. "Subject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as an information source. Presented in World Library and Information Congress: 75th IFLA General Conference and Council(Milan, Italy). 

  13.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New York: Free Press. 

  14. Russell, R. and Michael Day. 2010. "Institutional repository interaction with research users: A review of current practice."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16(1): 116-131. 

  15. Shearer, K. 2003. "Institutional repositories: Toward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7(3): 89-108. 

  16. Seaman, D. 2011. "Discovering the information needs of humanists when planning an institutional repository." D-Lib Magazine 17(3/4). [online]. [cited 2011.12.11]. . 

  17. Watson, S. 2007. "Authors' attitudes to, and awareness and use of, a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 Serials, 20(3): 225-230. 

  18. Xia, J. 2007. "Assessment of self-archiving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Across discipline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3(6): 647-654. 

  19. Xu, H. 2008. "The theory analysis of faculty participation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CALA Occasional Paper Series, 1: 2-15. [online]. [cited 2011.12.11].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