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ouble-Income Couples'Gender Role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8, 2011년, pp.25 - 35  

김명원 (푸르니서초어린이집) ,  강민주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in double-income couples. Participants included 102 double-income couples who had children enrolled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findings showed that those husbands or wiv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부부에게 주어진 과제이면서도 확대 가족과의 긴밀한 유대 속에서 수행되기 때문이다(이은해,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을 맞벌이 부부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배우자와 배우자 외의 친척 및 주변 타인으로부터 제공되는 긍정적 자원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평가로 정의하고자 한다. 자녀 양육에서 배우자의 도움과 주위의 도움을 포함한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를 보면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여 개인의 심리적 안정을 돕는 완충효과 역할을 하고, 부모로서의 자신과 자녀에 대해 더 긍정적인 관점을 증가시키고(Brooks, 1996), 부모 역할 수행을 수월하게 지각할 뿐만 아니라 자녀에게 더 민감하게 행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Berk, 1997)
  •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 사회적 지원,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 맞벌이 부부가 가지고 있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차이와 자녀 양육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를 가지지 못한 경우라면 자녀 양육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될 수 있기 때문에(김기원 외, 2010; 최정혜, 2006) 부부의 나이, 직업, 학력, 월수입, 자녀의 월령, 자녀의 성별 등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부부가 인식하는 배우자의 협력과 주위의 도움을 포함한 사회적 지원은 여러 연구를 통해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이 증명되어 왔으나(김기원, 도현심, 김상원, 이선희, 2010; 김송이, 최혜영, 2007) 성역할태도와 동시에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 사회적 지원,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 맞벌이 부부가 가지고 있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차이와 자녀 양육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를 가지지 못한 경우라면 자녀 양육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될 수 있기 때문에(김기원 외, 2010; 최정혜, 2006) 부부의 나이, 직업, 학력, 월수입, 자녀의 월령, 자녀의 성별 등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한편,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는 아기의 탄생으로 새로이 가족 구성원이 첨가되고, 스스로 부모역할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지극히 제한되어 있어 부모역할을 수행 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자녀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키우고 있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가 가지고 있는 성역할태도, 사회적 지원을 측정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도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 있지만, 대부분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거나 아버지의 양육참여나 지원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을 묻는 것은 있어도(김기원 외, 2010; 김기현, 조복희, 2000; 김리진, 윤종희, 2000; 김송이, 최혜영, 2007) 부부를 쌍으로 하여 남편과 아내가 각 상대방의 협력에 대해 지각하는 것과 성역할에 대해 갖는 태도가 각자가 느끼게 되는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맞벌이 부부가 지각하는 성역할태도, 사회적 지원, 양육스트레스는 부부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육 스트레스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한편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이 부모의 심리적 적응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김송이, 최혜영, 2007). Bonds, Gondoli, Sturge-Apple과 Salem(2002)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원의 형태를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양육과 관련된 사회적 지원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들의 성역할태도의 연구 결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기혼 남녀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한지숙과 유계숙(2007)의 연구에서 근로자들의 성역할태도는 전반적으로 양성 평등적이고,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해서는 허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지만, 자녀 양육은 여성의 몫이며 일과 가정생활에서 갈등이 유발되면 여성의 직무를 제한해야 한다는 모순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 가정생활을 양립하고자 하는 여성은 과중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아내의 양육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 성역할태도가 부부간에 서로의 역할을 가정 내 가사 및 양육담당자라고 규정짓는 것이라면, 현실적으로 자신의 책임이나 배우자에 대한 기대에 비해 가사와 양육을 해내지 못하는데서 스트레스가 유발될 수 있다.
15세 이상의 기혼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0년 기준 몇 퍼센트인가? 현재 한국 사회는 급속한 경제체제의 변화와 핵가족화로 인해 자녀 양육은 부부공동의 참여 및 책임이 요구되고 있어 부모에게 자녀 양육의 문제는 공동의 관심사가 되었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15세 이상의 기혼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 현재 50.5%에 이르며, 전체 여성 취업자 중 기혼 여성의 비율은 74.6%(주재선, 2007)로 이제는 ‘남성은 직장, 여성은 가정’ 이라는 고정관념을 벗어나 맞벌이 가족이 보편화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기연(2001).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9), 137-152. 

  2. 강기정, 박수선(2007). 국내 맞벌이 부모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부모교육연구, 4(2), 123-143. 

  3. 강희경, 조복희(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 41-55. 

  4. 김기원, 도현심, 김상원, 이선희(2010). 어머니의 취업여부, 취업관련 특성, 배우자의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5), 101-113. 

  5. 김기현, 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6. 김리진, 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7. 김소영, 옥선화(2000). 기혼 남성의 아버지역할과 직업역할몰입 유형화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25-137. 

  8. 김송이, 최혜영(2007).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대한가정학회지, 45(8), 1-11. 

  9.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서혜영(1991).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신숙재, 정문자(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2. 유우영, 최진아, 이숙(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51-61. 

  13. 이은해(1997).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자녀양육에 대한 난이도 지각과 아동의 발달. 대한가정학회지, 35(3), 31-45. 

  14. 이정신, 최영희(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1), 19-32. 

  15. 이학식, 임지훈(2009). SPSS 12.0 매뉴얼. 경기: 법문사. 

  16. 주재선(2007). 2007여성통계연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7. 차성란(1998).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및 노동공평성 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적 영향력. 대한가정학회지, 36(9), 139-152. 

  18. 최정혜(2006). 맞벌이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대한가정학회지, 44(6), 47-58. 

  19. 한지숙,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 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 166. 

  20. Abidin, R. R.(1988).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Unpublished Scale, University of Virginia. 

  21.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 Pediatric Psychology Press. 

  22.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23. Berk, L. E.(1997). Child Develovpment. Needham Height, MA: Allyn & Bacon. 

  24. Bonds, D. D., Gondoli, D. M., Sturge-Apple, M. L., & Salem, L. N.(2002). Parenting stres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upport and optimal parent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2(4), 409-435. 

  25. Brooks, J. B.(1996). The process of parenting. Mountain View: CA: Mayfield. 

  26. DeMaris, A., & Longmore, M. A.(1996). Ideology, power, and equity: Testing competing explanations for the perception of fairness in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4(3), 1043-1071. 

  27. Goldberg, W. A.(1990). Marital quality, parental personality, and spousal agreement about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for children. Merrill-Parlmer Quarterly, 36, 531-556. 

  28. Kulik, L.(1999). Marital power relations, resources and gender role ideology: A multivariate model for assessing effect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0(2), 189-207. 

  29. Maume, D. J.(2006). Gender differences in restricting work efforts because of family responsibilitie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8, 859-869. 

  30. Peterson, G. W., & Hennon, C. B.(2005). Conceptualizing parental stress with family stress theory In P. C. McKenry, & S. J. Price (Eds.), Family and change: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transitions (3rd ed.). CA: Sage Publications. 

  31. Silver, E. J., Heneghan, A. M., Bauman, L. J., & Stein, R. K.(2006).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to parent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in inner-city mothers of young children. Maternal & Child Health Journal, 10(1), 105-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