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건설기업 경영성과의 핵심성과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
The Management Evaluati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Korean Construction Firm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1 no.1 = no.45, 2011년, pp.35 - 44  

이동훈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  김선형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  권기덕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  김만기 (Dong-Bu Corporation) ,  김선국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업 활동에 있어 성과측정은 경영성과의 평가, 인적 자원의 관리 및 전략이행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기업의 경영성과 측정은 당기 순이익, 투자수익률, 자기자본 이익률과 같이 단순히 재무적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으나 기업의 내부프로세스나 정보화와 같은 재무외적 성과를 측정할 수 없어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시공능력순위 30위 이내의 건설기업에 적용 가능한 핵심 성과지표(KPI: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와 기업 전문가의 설문을 반영하여 보다 현실적인 기업의 경영을 반영하며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siness performance measurement is used as an important tool to evaluate management performance, control human resources, and implement strategies. It can be measured simply in terms of finance including net profit, return on investment, and return on equity, but this is not sufficient becaus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형 건설기업의 KPI 도출을 위하여 본 연구는 figure 1과 같이 문헌고찰을 통하여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KPI를 분석하고 건설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영성과 측정지표를 조사하여 중복 항목과 불필요한 항목을 제거하고 유사항목을 통합하여 1차로 KPI를 선별한다.
  •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과지표 역시 평가 요소간 계층구조의 순위역전현상과 중복 그리고 프로젝트 단위 평가요소가 혼재하는 등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건설기업의 실정을 반영하며 지표간 균형을 맞춘 핵심성과지표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기업에서 적용하는 성과지표를 기초로 기업 경영자와 경영 실무자의 반복적인 설문과 수정 과정을 거쳐 국내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적용 기업의 특성과 전략에 따라 다소 수정될 수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성과지표라 할 수 있다.
  • [1]은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nstruction Companies’에서 건설기업 BSC를 바탕으로 table 2와 같이 핵심성과 지표를 도출하고 AHP기법을 통해 성과 영역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건설기업의 BSC를 기초로 12개의 성과영역에서 16개의 KPI를 도출하였다. 건설기업의 비전과 목표를 분석하여 BSC의 세부항목으로 12개의 성과영역을 제시하였으며 성과영역 하부에 포함되는 여러 후보지표들 중 지표의 타당성, 측정가능성, 비교가능성을 만족시키는 KPI를 제시하였다[1].
  • 선별된 1차 KPI항목을 기초로 하여 국내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실무자와 경영자를 대상으로 1차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 및 종합하여 2차 선별 및 정리를 실시한다. 이후 선별된 KPI항목의 적정성, 균형 그리고 추가가 필요한 항목에 대한 2차 설문을 실시하여 실질적인 국내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 경영 성과율은 경영자의 시간, 노력과 같은 조직 내 주요 자원투입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즉 경영자와 종업원들이 회사 전략의 실행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자기자본수익률, 총자산 수익률과 같은 지표에 대한 경영 성과율은 Equation (1)과 같이 분자가 크고 분모가 작으면 그 수치가 커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기업이 경영성과 측정지표로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가? 대부분의 기업이 경영성과 측정지표로 당기 순이익, 투자수익률, 자기자본 이익률 등의 재무적 측정치들을 사용하고 있다[4]. 특히, 매출액이나 외형중시의 확대성장전략을 구사하는 경우에는 매출액이나 이익목표가 주된 성과평가의 항목으로 규정되는 등양적인 재무적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졌다[5].
기업의 자산은 크게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기업의 자산은 크게 유형자산(tangible assets)과 무형자산 (intangible assets)으로 나눌 수 있다. 무형자산은 재무제표에 인식되지 않으면서 기업 내에 존재하는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기업이미지, 브랜드파워 등이 대표적인 무형자산이다.
건설기업의 무형자산 가치가 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는 연구는? 무형자산은 재무제표에 인식되지 않으면서 기업 내에 존재하는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기업이미지, 브랜드파워 등이 대표적인 무형자산이다. 국내 건설기업의 경우 시장가치 대비 무형자산(시장가치-순자산)의 비율이 1단위 증가할 때 건설기업의 순이익은 약 75억원 증가하며, 매출액은 약 850억원 증가한다는 연구[6]가 있다. 이것은 건설기업의 무형자산 가치가 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u IH, Kim KR, Jung YS, Chin SY.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nstruction Companies,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6;7(4):154-163. 

  2. Kaplan RS, Norton DP.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1992. 

  3. Niven PR,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2. 

  4. Ittner CD, Larcker DF. Innovations in performance measurement: Trends and research implications.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998;10:205-238. 

  5. Lee KH, Pyo JH. strategic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21th Books, 1996. 

  6. Hyun JS. Cause of Success or failure of Construction Management after IMF,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2002;1-84. 

  7. Cha HS, Kim TK. Developing Measurement System for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8;9(4):120-130. 

  8. Yu IH, Kim KR, Jung YS, Chin SY, Kim YS. A Framework of the Comparable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4;5(5):172-182. 

  9. Yu IH, Kim KR, Jung YS, Chin SY.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Developing Construction Performance Index,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2005;21(2):139-150. 

  10. Jung WJ, Yu IH, Kim KR, Shin DW. Analysis of the Weights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according to the Size of Construction Compani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21(8):121-128. 

  11. Oh IJ, Lee JH, Lee CC. BSC Perspective of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CSF/KPI Pool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2006;5(1):35-46. 

  12. Son M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hights of Balanced Scorecard Performance Measures According to Corporate life Cycle,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2003;28(1):79-96. 

  13. Shenhar A, Levy O, Dvir D. Mapping the dimensions of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997;28(2):5-13. 

  14. Ryu SW, Ahn BJ, Ryu MW. Deductions of KPIs for BSC and Process KPIs for BPM in Railway Construction, Koeran society for railway, 2006;9(4):388-393. 

  15. Kim DK, Kim HJ, Park YW.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PI in the Super Deluxe Hotel Business in Seoul Korea Using BSC,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009;18(3):133-151. 

  16. Park MS, Kwon KH, Kwon JH. Courier company's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 Determinant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04;1-29. 

  17. Lee DH, Kim SK, Shin D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hange of Managerial Environment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Domestic Construction Firms,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9(1):111-121. 

  18. Lee DH. An Evaluation Technique of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Using Project Information, 2010. 

  19. Cha WC, Lee JS, Kwon W, Lee JS, Chun JY. Assessment Model of a Construction Company's Management Performan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8;28(1):661-664. 

  20. Robert JW, Thomas JP, Julien RP. Structure is not organization, Business Horizons, 1980;23(3):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