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박새과 조류의 도시림 식생유형별 출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y Vegetation Type of Paridae in Urban Fore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5, 2011년, pp.760 - 766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곽정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한 한국산 박새류 4종(박새 Parus major minor, 쇠박새 P. palustris hellmayri, 진박새 P. ater amurensis, 곤줄박이 P. varius varius)의 출현위치와 현존식생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절대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림에서의 출현개체가 가장 많았다. 면적에 따른 출현개체의 증가를 보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생유형이 동일면적으로 분포함을 가정하였을 때는 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물오리나무림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소나무림-상수리나무림-밤나무림의 순서이었다. 도시림에서의 박새류 출현은 숲의 자생성 보다는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nalyzed between actual vegetation type and 4 Paridaes of Korea (Great tit Parus major minor, Marsh tit P. palustris hellmayri, Coal tit P. ater amurensis, Varied tit P. varius varius) in the urban forests in Seoul. The population size of total Paridaes was highest in Robinia pseudo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박새류 4종을 대상으로 이들 종들이 선호하는 수종이 차이가 있다는 기존 연구를 발전시켜 우점종 군락에 따라 박새류 종별로 선호하는 우점 식생 군락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도시림의 식생 유형별 박새류 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 야생동물은 이동이 가능하다는 특성으로 소규모 면적으로 분포하는 식생유형의 경우 전체적인 출현패턴을 대표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존식생유형의 면적비율이 1%미만으로 대상지 내에서 소규모로 분포하는 식생유형을 제외하고 각 종별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면적비율 1%미만인 15개 유형에서 나타난 박새류를 제외한 결과 총 1,556개체이었으며 종별 집단의 크기 순서는 변화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하게 출현하는 식생유형에 따른 블록은 다양하게 나뉘므로 단순한 출현개체만으로 식생유형과 박새류 출현빈도를 비교하는 것은 어려워 무엇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가? 연구대상지 내 다양하게 출현하는 식생유형에 따른 블록은 다양하게 나뉘므로 단순한 출현개체만으로 식생유형과 박새류 출현빈도를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면적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블록면적과 박새류의 출현 특성 관계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이에 동일 유형으로 나뉜 식생블록의 면적과 박새류 출현개체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회귀분석을 통해 면적 증가에 따른 개체수 증가경향을 분석하였다.
조류연구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그러나 도시지역 야생조류 연구에 있어서는 종합적인 서식처에 대한 연구로의 발전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조류연구는 조류 자체의 유전적․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류다양성에 관한 연구와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류와 생태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인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가 종합적인 서식처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조류영향인자에 관한 연구는 식생의 층위구조(MacArthur and MarArthur, 1961; Austin 1970; Moss, 1978)나 수종의 다양성(Robinson and Holmes 1982, Holmes and Schultz, 1986)을 조류다양성과 연관하여 설명하려는 노력이 중심을 이룬다.
박새과 조류가 조류군집에 대한 연구의 대상으로 용이한 이유는? 박새과 조류는 비교적 소형이며 개체수가 풍부하여 조류군집에 대한 연구의 대상으로 용이한데(Alatalo, 1982) 이들을 대상으로 한 먹이자원의 유형(Alatalo, 1980), 이용 층위의 차이(Eguchi et al., 1993; Park, 2001) 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atalo, R.V.(1980) Seasonal dynamics of resource partitioning among foliage-gleaning passerines in northern Finland. Oecologia 45: 190-196. 

  2. Alatalo, R.V.(1982) Multidimensional foraging niche organization of foliage-gleaning birds in northern Finland. Ornis Scand. 13: 56-71. 

  3. Austin, G.T.(1970) Breeding birds of desert riparian habitat in southern Nevada. Condor 72: 431-436. 

  4. Bennett, G.(1991) Toward a European ecological network. Institute for European Environmental Policy, Arnhem, Netherlands, 80pp. 

  5. Cates, R.G.(1981) Host plant predictability and the feeding patterns of monophagous, oligophagous and polyphagous insect herbivores. Oecologia 48: 319-326. 

  6. Colin J.B., Burgess, N.D. and Hill, D.A.(1992) Territory Mapping Methods in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Inc., London, 302pp. 

  7. Eguchi, K., S. Yamagishi and V. Randrianasolo(1993) The composition and foraging behavior of mixed-species flocks of forest-living birds in madagascar. Ibis 135: 91-96. 

  8. Holmes, R.T. and J.C. Schultz(1986) Food availability for forest birds: effect of prey distribution and abundance on bird foraging. Canadian Journal of Zoology 66: 720-728. 

  9. Kim, J.S.(1999)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s wildbirds' habitats in apartment complex. Master thesis, Univ. of Seoul, 11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wak, J.I.(2007) Improvement plan of the landuse structure and the green structure for establishment of the wildbirds' habitation base in urban area: a case study of Gangdong-gu in Seoul. Master thesis, Univ. of Seoul, 16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W.S., T.H. Goo, J.Y. Park and T. Taniguchi(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320pp. (in Korean) 

  12. MacArthur, R.H. and J.W. MarArthur(1961) On bird species diversity. Ecology 42: 594-598. 

  13. Moss, D.(1978) Diversity of woodland song-bird populations. Journal of Animal Ecology 47: 521-527. 

  14. Park, C.Y.(2001) Interaction networks among tits, insects and plants during the breeding season.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5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Riddington, R. and A.G. Gosler(1995) Differences in reproductive success and parental qualities between habitat in the Great Tit Parus major. Ibis 137: 371-378. 

  16. Robinson, S.K. and R.T. Holmes(1982) Foraging behavior of forest birds: the relationships among search tactics, diet and habitat structure. Ecology 63(6): 1918-1931. 

  17. Won, P.O.(1981)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5 Avifauna. Ministry of Education, 1126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