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기반 물량산출 완성도 측정을 위한 지수 개발
An Index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mpleteness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 no.6, 2011년, pp.79 - 92  

이창희 (대우건설 기술연구소) ,  김성아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진상윤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프로젝트에서 물량 산출은 공사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확성과 신뢰성이 요구된다. BIM 데이터로부터 물량정보의 추출은 물량산출을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이다. 하지만, BIM을 어떻게 구축하였는가에 따라 그 물량산출 결과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설계정보가 점점 더 구체화되기 때문에 BIM 모델의 완성도와 물량산출의 정확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단계별로 공사비를 예측할 때 현 단계에서의 BIM data를 기반으로 한 물량산출의 정확도가 얼마 정도인지 평가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 결과물을 신뢰하기 어렵고 기존방식의 견적에 다시 의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물량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BIM기반 물량산출 결과물의 완성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는 방법과 체계를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측정체계와 지수는 약 6개의 파일럿 프로젝트 적용을 통해 그 측정결과의 일관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ntity take-off is one of the critical tasks that determine the cost of a construction project, and its result should be accurate and reliable. BIM-based quantity take-off is a very attractive process for practitioners since the quantity take-off can be done automatically in a fast and accurate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BIM을 적용한 건설 프로젝트의 물량산출성과물의 완성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수 (BIM based Quantity take-off Index, 이하 BQI) 체계를 개발하여 BIM 모델의 완성도 수준을 평가하고 해당 모델을 통한 물량산출의 완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활용하여 발주자와 작업자 간의 업무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그러나 모델링 작업은 LOD에 따라서 부재를 표현하는 방식도 달라지기 때문에 명확한 근거가 존재하지는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 모델의 LOD를 복합부재 사용 여부의 판단 근거로 설정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물량산출의 완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BIM 모델 데이터 관련 요인을 주요 인자로 활용하여 BQI를 도출할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 1) BIM 모델의 LOD는 건축물의 디자인과 적용 공법에 따라서 다양한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어 LOD 설정을 위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OD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부재별로 공종별 대표 자재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모델링 여부를 통해서 LOD를 평가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부재의 타입을 Wall/Beam, Slab, Column의 3가지로 분류하여 5점 척도를 활용하여 LOD 정도를 표 6과 같이 정의하였다.
  • BIM기반 물량산출은 결국 BIM 모델을 통해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BIM 모델의 완성도가 가장 직접적이고 정량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물량산출 데이터와 물량산출 계획 관련 요인은 결국 BIM 모델 생성과 내역작성을 위한 관련 정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이고 정성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향도의 작성은 BIM기반 물량산출 완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BIM 모델 데이터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 본 단계에서는 선행단계에 설정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토대로 BQI를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대상은 6개의 BIM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대상 모델에 대한 개요는 다음의 표 10과 같다.
  • 본 단계에서는 선행단계에서 도출된 영향도를 기반으로 각각의 요인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영향도를 작성하였다. BIM기반 물량산출은 결국 BIM 모델을 통해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BIM 모델의 완성도가 가장 직접적이고 정량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물량산출 데이터와 물량산출 계획 관련 요인은 결국 BIM 모델 생성과 내역작성을 위한 관련 정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이고 정성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BIM기반 물량산출 완성도 측정을 위한 지수 (BQI)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존 2D 기반 견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BIM 관련 문헌고찰 및 Pilot Test를 통해 BIM기반 물량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기반으로 BQI Matrix를 설계하여 BIM 모델의 완성도를 평가하고 해당 모델을 통한 물량산출의 완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BIM기반 견적은 주어진 모델로부터 수량을 자동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그 모델을 다시 검토하고 수정하는 등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절차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BIM기반 견적 프로세스에 있어서 주어진 BIM 모델은 어느 정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BIM기반 견적프로세스를 통한 나온 결과물은 어느 정도의 정확성과 신뢰성(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를 묶어 완성도로 표현하겠다.)을 가지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주어진 BIM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결과물의 완성도를 측정할 수 있고, 발주자가 계약자에게 요구하는 BIM의 수준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BIM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자신들의 서비스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결과물에 대한 차이를 정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대가 산정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또한, 각각의 요인은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bqi 점수도 5점 만점의 체계를 따르게 하기 위해 각각의 요인에 대한 평균 점수를 계산하도록 식을 구성하였다. 보다 정확한 bqi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세부 평가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해야하나 본 연구에서는 가중치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도출된 계산식은 다음의 식(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개념과 특징은 무엇인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은 건설 산업의 전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를 관리하는 모든 과정을 뜻하는 개념으로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정보의 재사용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Eastman 2008) BIM은 건설 산업의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으로 특히 BIM기반 견적에서는 3D 모델의 속성정보를 통해서 물량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 예측의 정확성 향상과 견적자의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BIM을 기반으로 한 물량산출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미흡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 BIM을 기반으로 한 물량산출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미흡하다. 첫째, 설계자들이 모델링할 때 물량산출을 고려하기 보다는 디자인 정보를 표현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슬라브와 기둥이 교차되는 부분, 기둥과 보가 교차되는 부분, 마감재의 소요면적 또는 길이 등이 모델에 정확하게 표현되기 어렵다. 둘째, BIM기반 견적시 수량 산출 근거식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BIM tool로부터 산출된 물량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어진 건축 BIM을 다시 수정하거나 검토하여야 한다. 셋째, 부재간 교차되는 부분이 BIM tool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될 만큼 tool이 지능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BIM기반 견적은 주어진 모델로부터 수량을 자동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그 모델을 다시 검토하고 수정하는 등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절차들이 필요하다.
건설 프로젝트에서 물량 산출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건설 프로젝트에서 물량 산출은 공사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확성과 신뢰성이 요구된다. BIM 데이터로부터 물량정보의 추출은 물량산출을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호영(2010)," 거꾸로본BIM", The BIM, 10월호, 빌딩스마트협회, pp. 27-29 

  2. 김기찬, 정관용, 최진, 김희숙, 김성원 (2007), Vensim을 활용한 System Dynamics, 1판, 서울경제경영. 

  3. 김성아, 윤수원, 진상윤, 김태용(2009)," BIM 기반공동주택마감 물량 산출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마감 모델링 자동화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 9호, pp.133-143 

  4. 박문서, 손보식, 안선주, 이현수 (200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건설정책 분석-싱가폴의 생산성 정책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1권 5호, 대한건축학회, pp. 123-134 

  5. 빌딩스마트협회 연구편집위원회 (2009), 빌딩스마트협회 BIM 교육교재 

  6. 안성훈, 박우열(2008)," 건축프로젝트 개산견적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8권 제4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53-59. 

  7. 안용선, 송규열, 허정민(2003),"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 개산견적의 정확성 향상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제11호, 대한건축학회, pp.133-140. 

  8. 이상복, 신동설 (2008), QFD(품질기능전개) 이론과 사례, 이레 테크 

  9. 정준호, 이창희, 김성아, 진상윤, 최철호(2010)," 국내건설산업 에서의 물량산출 특성을 고려한 공법기반 견적자동화 시스템 개발", 전산구조공학회 학술발표대회 

  10. 조달청 시설사업국 (2010), 2009 공공시설물 유형별 공사비 분석, 조달청 

  11. 조달청 (2010), 시설사업 BIM적용 기본 지침서 v1.0, 조달청 

  12. 최철호, 박영진, 한성훈, 진상윤(2006)," 레서피 기반의 견적방법을 이용한 5D CAD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54-160 

  13. Eastman C. and Teicholz P. and Sacks R. and Linston K. (2008), BIM Handbook, John Wiley & Sons, Inc. 

  14. Jan Karlshoj (2010), "Denmark BIM Experience", 외국의 BIM 전문가 세미나, 한국건설관리학회 

  15. John R. Hauser and Don Clausing (1988), "The House of Qu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pp. 63-73 

  16. Kwak S. (1995), "Policy Analysis of Hanford Tank Farm Operations with System Dynamics Approach", Doctoral Thesis,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MIT, Cambridge, MA, pp. 34-36 

  17. Sterman, J. (2000), "Business Dynamics: System Thinking and Modeling for a Complex World", McGraw-Hill Companies, New York, NY, pp. 191-232. 

  18. Steven M. T. and Garold D. O. (2003), "Predicting Accuracy of Early Cost Estimates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9, No. 2, pp.198-204 

  19. Zigang Shen and Raja R.A. Issa (2010),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BIM-Assisted Construction Detailed Cost Estimat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Vol. 15, pp234-2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