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중심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탐색: 중학교 1학년 과학 자유탐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s' Percep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Open-Inquiry Progra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5, 2011년, pp.720 - 733  

윤회정 (이화여자대학교) ,  김경원 (이화여자대학교) ,  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전략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 방식과 교육적 효과가 2007 개정 교육 과정에 도입된 자유 탐구의 목적과 부합한다는 측면에서 PBL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한 학기 동안 경기도에 있는 두 개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에너지를 주제로 PBL 문제를 개발하였고, ‘‘문제 이해하기’, ‘탐색하기’, ‘문제 해결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의 4단계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제 해결 계획표 작성하기’, ‘토의하기’, ‘자료 조사하기’, ‘보고서 작성하기’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자유 탐구 수업 시작전에 가설생성능력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수업이 모두 끝난 후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PBL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생의 40.6%가 PBL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특히, 학생들은 ‘문제 해결 계획표 작성’이 유용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학생들은 ‘자료 조사’와 ‘보고서 작성’이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PBL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PBL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PBL 수업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p<.01).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PBL 수업을 자유탐구에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ts educational values coincide with the aim of open-inquiry activity introduced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is aspect we designed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용섭(2009)은 자유탐구 수업에 적용 가능한 수업 방식으로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이용섭(2009)은 자유탐구 수업에 적용 가능한 수업 방식으로 문제 중심 학습(PBL, Problem-based learning), 프로젝트 학습, 소집단 탐구 학습, 독자적 조사 학습(IIM,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 등을 제시하였다. 이 중 PBL의 진행 방식과 교육적 효과는 자유탐구가 추구하는 목표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자유탐구가 도입된 이유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종합적 과학 탐구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자유탐구가 도입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탐구능력의 배양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강조됐지만 이를 저해하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인애, 김선자 (1998). PBL에 의한 수업 설계와 적용: 초등사회과 수업사례. 교육공학연구, 14(3), 1-31. 

  2. 강숙희 (2008).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실시간 PBL 사이버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1), 51-72. 

  3. 교육과학기술부 (2007).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해설. 

  4. 김경희 (2008). 문제 중심 학습(PBL)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1), 269-296. 

  5.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조희형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자유탐구' 에 대한 중등과학교사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8(3), 213-235. 

  6. 박성희, 조규성 (2006). 제 7차 교육과정 10학년 과학교과서 '지구' 영역의 탐구활동 분석. 과학교육논총, 31집, 75-82. 

  7. 박수경 (2004). 환경단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4), 205-213. 

  8. 박은미 (2006). 귀추에 근거한 가설-연역적 수업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서경선 (2002). 웹 활용 문제 중심 학습 모형의 실증적 효과. 교육방법연구, 14(2), 45-68. 

  10. 손영식 (2000). 과학과 교수-학습 개선에 관한 연구. 연구논총 경기도 교육연구정보원, 12(9), 165-191. 

  11.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2). 제 7차 교육과정7학년 과학 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50-559. 

  12.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13. 윤회정 (2009).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의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회정, 우애자 (2009).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17(4),147-169. 

  15. 이용섭 (2009). 초등 예비 교사의 자유탐구 방법에 대한 선호도 및 실행 결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40-449. 

  16. 이진형, 고석범 (2007).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 비교 분석. 과학교육논총, 32집, 91-102. 

  17.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18. 전민지, 전영석 (2009).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지도전략의 고안과 적용.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1), 67-74. 

  19. 조연순, 성진숙, 체제숙, 구성혜 (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07-328. 

  20. 차정호, 이혜인, 김유정, 노태희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5(1), 1-15. 

  21. 최경희, 김경미 (2001). 여학생에게 친근한 과학 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49-159. 

  22. 홍기칠, 김세찬 (2004). 웹기반 문제 중심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9, 537-571. 

  23. Allen, D. E., Duch, B. J., & Groh, S. E. (1996). The power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eaching introductory science course.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68, Winter, 43-52. 

  24.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5. Barrow, H. S. (1992). The tutorial process.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6. Barrows, H. S., & Myers, A. C. (1993).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27. Bude, L., Imbos, T., Wiel, M. W. v. d., Broers, N. J., & Berger, M. P. F. (2009). The effect of directive tutor guidance in problembased learning of statistics on students' perceptions and achievement. Higher Education, 57, 23-36. 

  28. Caplow, J. H., Donaldson, J. F., Kardash, C. A., & Hosokawa, M. (1997). Learning in a problem-based medical curriculum: students' conceptions. Medical Education, 31(6), 440- 447. 

  29.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0. Gallagher, S. A., Stepien, W. J., & Rosenthal, H. (1992).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Gifted Child Quarterly, 36(4), 195-200. 

  31. Hassan, G. (2008).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Australian terti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6(2), 129-147. 

  32. Hung, W., Bailey, J. H., & Jonassen, D. H. (2003). Exploring the tens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Insights from research.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95, Fall, 13-23. 

  33. IMSA (1996). PBL Network: Collaborative Inquiry in Action, Retrieved from . 

  34. Lieux, E. M. (2001). A skeptic's look at PBL. In B. J. Duch, S. E. Groh, & D. E. Allen (Eds.), The power of proble-based learning: A practical 'how to'for teaching undergraduate courses in any discipline.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35. Martin, K. J., Chrispeels, J. H., & D'eidio- Caston, M. (1998). Exploring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for developing collaborative leadership skills.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8, 470-500. 

  36. Neuman, L. H., Pardue, K. T., Grady, J. L., Gray, M. T., Hobbins, B., Edelstein, J., & Herrman, J. W. (2009). What does an innovative teaching assignment strategy mean to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30(3), 159-163. 

  37. Randall, G. J. (1987). Gender differences in pupil-teacher interactions in workshops and laboratories. In G. Weiner & M. Arnot (Eds.) Gender under scrutiny.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38. Savin-Baden, M., & Major, C. H. (2004).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NY: Open University Press. 

  39. Shepherd, N. G. (1998). The probe metho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s a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of fourth and fifth grade social studies studen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9(3-A): 0779. 

  40. Torp, L., & Sage, S. (2002).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41. Vernon, D. T. A., & Blake, R. L. (1993). Does problem-based learning work? A metaanalysis of evaluative research. Academic medicine, 68(7), 550-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