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 폴리아스팔트산계 생분해성 고흡수성 젤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Biodegradable Superabsorbent Gels Based on Poly(aspartic acid)s with Amino Acid Pendant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6, 2011년, pp.558 - 564  

손창모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고분자기술연구소) ,  전영실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고분자기술연구소) ,  김지흥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고분자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체적합하고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아미노산의 하나인 폴리아스팔트산은 팹타이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합성고분자로서 의료용 소재 및 다양한 응용분야의 연구가 흥미있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산인 GABA(${\gamma}$-aminobutylic acid)와 ${\beta}$-alanine을 곁사슬에 도입한 폴리아스팔트산 유도체 고분자를 제조하고, 이들을 서로 다른 함량의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EGDE)를 사용하여 가교시켜 고흡수성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각 하이드로젤에 대해 증류수와 PBS 용액에서 기본적인 팽윤물성, 젤의 가수분해 거동과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제조한 하이드로젤은 수용액에서 pH와 염(salt) 농도에 의존하는 민감성 팽윤거동을 보였으며, 또한 비교적 빠른 가수분해 거동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of poly(amino acid) make them ideal candidates for many bio-related applications. Poly(aspartic acid), PASP, is one of synthetic water-soluble polymers with proteinlike structure, and has been extensively explored for the potential industrial and biomedical ...

주제어

참고문헌 (23)

  1. A. J. Domb, J. Kost, and D. M. Wiseman, Handbook of Biodegradable Polymer, Hardwood Academic, Amsterdam, 1997. 

  2. S. Dumitriu, Polymeric Biomaterials, CRC Press, New York, 2001. 

  3. S. B. Jang, News Inf. Chem. Eng., 32, 414 (2000). 

  4. B. D. Rafner, A. S. Hoffman, F. J. Schoen, and J. S. Lamons, Biomaterials Science, Academic Press, Elsevier, London, 2004. 

  5. L. Nair and C. T. Laurencin, Prog. Polym. Sci., 32, 762 (2007). 

  6. K. Y. Lee and D. J. Mooney, Chem. Rev., 101, 1869 (2001). 

  7. A. S. Hoffman, Adv. Drug Deliv. Rev., 43, 3 (2002). 

  8. R. Langer and N. A. Peppas, AICHE J., 49, 2990 (2003). 

  9. J. M. Fosiak, J. Control. Release, 31, 9 (1994). 

  10. E. S. Gil and S. M. Hudson, Prog. Polym. Sci., 29, 1173 (2004). 

  11. C. H. Alarcon, S. Pemadam, and C. Alexander, Chem. Soc. Rev., 34, 276 (2005). 

  12. S, K. Wolk, G. Swift, Y. H. Paik, K. M. Yocom, R. L. Smith, and E. S. Simon, Macromolecules, 27, 7613 (1994). 

  13. T. Nakato, A. Kusuno, and A. Kakucho,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8, 117 (2000). 

  14. A. P. Wheeler and L. P. Kosan, Mat. Res. Soc. Symp. Proc., 292, 279 (1994). 

  15. P. Neri, G. Antani, F. Benvenuti, F. Colola, and G. Gazzei, J. Med. Chem., 16, 893 (1972). 

  16. J. Mosig, C. H. Gooding, and A. P. Wheeler, Ind. Eng. Chem. Res., 36, 2163 (1997). 

  17. H. D. Park, J.-H. Kim, S. H. Kim, and Y. H. Kim, Polymer (Korea), 23, 247 (1997). 

  18. J.-H. Kim, J. H. Lee, and S. W. Yoon, J. Ind. Eng. Chem., 8, 138 (2002). 

  19. J. Lei, Y. S. Jeon, and J.-H. Kim, Macromol. Res., 16, 45 (2008). 

  20. S. K. Min, S. H. Kim, and J.-H. Kim, J. Ind. Eng. Chem., 6, 276 (2000). 

  21. S. I. Kim, S. K. Min, and J.-H. Kim, Bull. Korean Chem. Soc., 29, 1887 (2008). 

  22. S. I. Kim, C. M. Son, Y. S. Jeon, and J.-H. Kim, Bull. Korean Chem. Soc., 30, 3025 (2009). 

  23. J.-H. Kim, C. M. Son, Y. S. Jeon, and W. S. Choe, J. Polym. Res., 18, 88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