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화의 빠른 진전과 더불어 정보화의 역기능 역시 비례하여 확산되고 있으며 그 피해는 막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의 피해규모에 대한 연구와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국가적 피해규모를 계량화하는 작업에 많은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만약 피해액의 규모를 제대로 산출하여 보안정책 수립에 참고한다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미치는 사고 영향의 심각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출사고 대응에 필요한 기업 그리고 정부의 노력과 비용의 크기~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경제적 피해규모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필요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네트워크 보안협회 등 해외 유수 연구들의 방법론과 새로운 접근법들을 참고하여,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피해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과 이의 정량적 분석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비교적 데이터가 부족한 국내의 환경에서도 정책적 지표로서 의미 있는 피해액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막기 위한 다양한 정책기획의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 caused by private information breach causes serious problems and huge social losses. In order to make a better policy that prevents society from suffering from the damage, we have to know about the actual size of damage. So it is needed to develop a quantitative model of private information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록 유출사고를 포함하지 않고 침해사고에 한정된 연구라는 한계가 있지만 향후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시 그 피해를 정량화하여 경제적 손실을 측정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보안사고의 피해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착안점을 찾고, 보안사고 위기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틀을 확보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민간 기업의 실질적 손실비용과 이를 복구하기 위한 비용을 측정하는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고객의 손실과 사회적 파급 효과 등의 경제적 피해규모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시 그 피해를 정량화하여 경제적 손실을 측정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수립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모형이란 유출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시스템 복구 및 업무 정상화와 법적 보상에 이르기까지 사태의 흐름을 현실에 입각해 재현함으로써,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손실을 다면 적으로 파악 · 산출하는 구조를 말한다.
  • 본 연구를 수행하는 도중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보다 정확한 모델을 확립하고, 국내 적용 가능성을 생각해 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상당수의 유출사고에 대하여 유출 내용과 유출 건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침해사고 중 개인정보 유출과 누출로 인한 피해를 기업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해까지도 고려해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국 포 네몬 연구소와 일본 JNSA의 방식을 참고했지만 이를 국내 여건에 맞게 수정하고 나아가 트래픽 분석과 설문 조사 결과, 다양한 지표를 이용한 간접비교 등의 방식을 추가적으로 시도했다.
  •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그대로 가져다 피해액을 산출하는 것만으로는 정확도가 떨어질 위험이 있기에 이를 검증하고자 각 항목마다 다양한 방식의 산출 대안을 마련한 후 이를 설문 결과와 비교 · 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도록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직접 산출이 가능한 직접 비용을 중심으로 개인정보유출 피해액을 산출하고자 한다. 또한 명시적 직접 비용만을 다룬 기존의 연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산출이 어려운 간접비용과 잠재적 비용을 고려하였다.
  • 즉, 모형의 구축은 유출사고의 발생, 사고의 영향, 사고에의 대응 및 복구, 법적 보상 그리고 사회적 파급 효과 등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피해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유출사고의 피해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착안점을 찾고, 유출사고 위기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틀을 확보하고자 한다.
  • 가까운 일본의 경우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일어나면, 이를 미디어를 통해 공표하는 것이 법제화되어 있어 실제 어떤 정보가 유출되었는지 매우 세세한 부분까지 JNSA가 데이터화하여 보유하고 있음에 비해, 국내의 경우 피해액 산출에 이용할 데이터를 찾기가 매우 어려운데다 실제 일어난 사건들이 알려지지 않고 간과되는 일이 빈번하게 현재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과성으로의 이번 추정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데이터를 모으고, 유출사고에 관한 정보와 그 심각성을 보다 많은 사람에게 알림으로써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모두의 인식을 개선해야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수준의 적극적 실행을 위한 보안정책 상의 관련 내용 제정의 필요성도 제기한다.
  • 추가적으로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관련 사업 파급효과와 기업의 법적 비용 · 벌금 및 보상 받지 못한 고객의 손실까지 산출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산출액을 도출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정보의 이용 증가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개인정보의 이용 증가는 과금, 서비스 제공 목적 달성 등 순기능을 활성화하는 양의 효과를 가지는 반면, 제 3자에 의한 정보 시스템 침해를 통한 개인정보의 유출과 이의 부정적 용도로의 사용이나 정보 소유 기업 자체에 의한 정보 소유권의 남용으로 인해 심각한 부의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예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예를 들어, 2008년 중국 해커에 의해 발생한 옥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약 1,800만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었으며, 2010년에는 신세계를 비롯한 25개 사이트의 약 2,500만 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등 엄청난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유출된 정보는 스팸, 보이스 피싱, 텔레마케팅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많은 소비자들이 피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정보 유출의 피해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경제적 피해규모를 파악하는 일이 필요한 관제로 판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의 피해규모에 대한 연구와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국가적 피해규모를 계량화하는 작업에 많은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만약 피해액의 규모를 제대로 산출하여 보안정책 수립에 참고한다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미치는 사고 영향의 심각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출사고 대응에 필요한 기업 그리고 정부의 노력과 비용의 크기~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경제적 피해규모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필요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네트워크 보안협회 등 해외 유수 연구들의 방법론과 새로운 접근법들을 참고하여,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피해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과 이의 정량적 분석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달천, 김동환, 오은천, "개인정보분쟁조정사례집", 한국인터넷진흥원?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2010. 

  2.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정보보호의 경제적 동향분석에 관한 연구", 국가보안기술연구소, 2006. 

  3. 김본미, "개인정보피해구제 및 배상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2004. 

  4. 민경식, 송혜인, "정보보호의 경제적 분석 연구 동향", 정보보호 이슈보고서 2008-8호, 2008. 

  5. 유진호, 지상호, 송혜인, 정경호, 임종인, "인터넷 침해사고에 의한 피해손실 측정", 정보화정책, 제15권, 제1호, 2008. 

  6. 정보통신부, "정보통신망 침해사고 조사결과", 2003. 

  7. 정연수, 김동우, 이재종, "2005년 민간부문 개인정보보호 관리현황 및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5. 

  8. 주덕규, 강달천, 정연수, "개인정보 침해와 대처방안", 정보통신윤리, 통권39호, 2002. 

  9. 채승완, "개인정보보호의 경제적 효과", 소비자문제연구, 제33호, 2008. 

  10.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 영향평가 방법론과 구축사례", 2009. 

  11.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전략기획팀,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 분석 고찰", 정보보호 Issue Report, 2007. 

  12.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컴퓨터 해킹, 바이러스 피해액 산출방법 연구", 2002. 

  13.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 침해사고 피해액 산출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2006. 

  14.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7년 정보보호실태조사", 2007. 

  15.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8년 정보보호실태조사", 2008. 

  16.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9년 정보보호실태조사", 2009. 

  17.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3년도 개인 인터넷 이용자의 정보화 역기능 실태조사 보고서", 2003. 

  18. Anita, D. and Amico, D., "What does a Computer Security Breach Really Cost?," Secure Decision, a division of Applied Visions, Inc., 2000. 

  19. Butler, S. A., " Security Attribute Evaluation Method : A Cost-Benefit Approach," Proceedings of the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ACM, 2002. 

  20. CIC Security Working Group, "Incident Cost Analysis and Modeling Project," 1998. 

  21. CnetNews.com, "Counting the cost of Slammer," (www.news.com/2100-1001-982955.html), 2003. 

  22.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The Economic Impact of Cyber-Attacks," 2004. 

  23. Farahmand, F., Navathe, S. B., Sharp, G. P., and Enslow, P. H., "Assessing Damages of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and Selecting Control Measures, a Case Study Approach," Workshop on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Security, 2005. 

  24. Gordon, L. A. and Loeb, M. P., "Managing Cybersecurity Resources : A Cost-Benifit Analysis," 2006. 

  25. Howard, J. D., "An Analysis of Security Incidents On the Internet 1989-1995," 1997. 

  26. Information Shield Inc., "Privacy Breach Impact caculator," (hhttp://www.informationshield.com/privacybreachcalc.html) 

  27. JNSA, "情報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に?する 調査報告書," 2003. 

  28. JNSA, "情報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に?する 調査報告書," 2010. 

  29. Ponemon Institute, "Fifth Annual US Cost of Data Breach, January 2010," (http://www.ponemon.org/data-security), 2010. 

  30. Smith, D. M., "The Cost of Lost Data," The George L. Graziadio School of Business and Management Report, Pepperdine University, 2003. 

  31. Tech//404, "Data Loss Cost Calculator," http://www.tech-404.com/calculator.html). 

  32. USENIX Association, "Incident Cost Analysis and Modeling Project II,"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