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2 no.3, 2011년, pp.272 - 280  

전미숙 (이서초등학교) ,  김현옥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19 students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ollabuk-do Province, Korea. The methods included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61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우울 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정신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간호중재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정신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간호중재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학령기 아동의 우울 정도를 알아보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를 돕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우울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우울 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우울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더 많은 지역과 대상 아동을 포함하는 연구와 우울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현대사회의 어떤 변화로 인해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이 심각하게 위협받는가? 최근 현대사회의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로 인해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우리나라 19세 미만 아동 및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는 5세 미만이 3.
우울은 어떤 정서이며, 무엇이 동반되는 질환인가? 우울은 정신적 감기라 불릴 정도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심리적 경험이며 불안과 더불어 적응문제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부적 정서이고 그 정도가 심하면 인지, 행동, 신체의 장애가 동반되는 심각한 질환이다. 또한 우울은 성인기에서 뿐만 아니라 아동과 청소년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이며 성인과는 달리 아동우울은 주로 공격적인 행동, 신체증상, 짜증, 분노로 표현되는 행동상의 문제를 나타내는 가면우울의 형태로 성인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슬픔과는 대조적이어서 발견하고 진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Kim, M.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2009). Children's well-being on their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 Asarnow, J. R., & Carlson, G. A. (1985). Depression self-rating scale: Utility with child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4), 491-499. 

  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5. Cervone, D., Kopp, D. A., Schauman, L., & Scott, W. D. (1994). Mood,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standards: Lower moods induced higher standards for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499-512. 

  6. Cho, E. S.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health behavior of school-ag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7. Cho, S. C., & Lee, Y. S.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e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4), 943-956. 

  8. Cho, Y. J. (2003). A study of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9.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10. Dubow, E. F., & U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11. Han, M. H., & Yoo, A. J. (1996).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7(1), 173-188. 

  12. Hazell, P. (2002). Depression in children. British Medical Journal, 325, 229-231. 

  13. Jeong, Y. S. (2000). The influence of self-percept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4. Jung, H. S. (2006). Perfectionism and self-confidence as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K. A. (2005).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pression,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school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6. Kim, K. H. (2008).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fter school activities and social support on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7. Kim, M .Y. (2008).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education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errors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inju. 

  18. Kovacs, M. (1983).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selfrated depression scale for school-aged youngster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ittsburgh. 

  19. Lee, E. O. (2008).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children'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cheon. 

  20. Lee, Y. M., & Min, H. Y. (2004). Th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pression of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4), 1-10. 

  21. Lee, Y. M., Schwarzer, R., & Jerusalem, M. (1994).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Retrieved September 2, 2009, from http://userpage.fu-berlin.de/-health/korean.htm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Author. 

  23. Moo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kjisa. 

  24. Mun, S. W. (2008).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ocialsupport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of middle-school students: Seoul, Cheon nam reg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5. Oh, J. S. (2007). Th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of family systems and dysfunctional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as perceived by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6. Park, J. A. (2001). The rela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adolescent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Park, J. R. (2009). The effect of bibliotherapy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self-respect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8. Park, S. K. (2003).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on the aliena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children's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29. Schwarzer, R., & Jerusalem, M. (1993). Generalized perceived self-efficacy scale. Retrieved September 2, 2009, from http://web.fuberlin.de/gesund/skalen/Language_Selection/Turkish/General_Perceived_Self-Efficac/hauptteil_general_perceived_self-efficac.htm 

  30. Yoo, Y. D. (2010). Influence of study-motivations by family strengths and self-efficacy from the view point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