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허약선별도구 타당도 평가
Validation of Instruments to Classify the Frailty of the Elderly in Communit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2 no.3, 2011년, pp.302 - 314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박영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이순희 (충주대학교 간호학과)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instruments to classify the frailty of Korean elderly people in community. Methods: For this study, 632 elders were selected from community-based elderly houses and home visiting registries, and data on frailty were collected using three instruments during Nov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팀에서는 허약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여 허약도구(이 하 ‘한국 허약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새로이 개발된 한국 허약도구와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 중인 ‘Edmonton 허약도 구’와 ‘일본 허약도구’ 등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함으로써 국내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다양한 허약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허약 스크리닝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연구팀이 개발한 ‘한국 허약도구’와, 기존에 개 발된 ‘Edmonton 허약도구’와 일본 허약도구의 신뢰도 (내적 일관도)와 준거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사업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 연구팀에서 개발한 허약도구와 기존에 개발되어 활용중인 ‘Edmonton 허약도구’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현재 사용 중인 일본 허약도구에 대한 내적일관도와 타당도를 함께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원래의 ‘25점 일본 허약도구’ 외에 2가지 변형에 대한 타당도를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약노인에 관해 설명하시오. 허약노인은 미국노화연방위원회(Federal Council on Aging)에서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노인은 모두 동일한 요구를 가진 집단이 아님을 강조하면서 ‘신체적 장애, 정서적 손상이 있거나 부적절한 물리 ‧ 사회적 환경을 가진 노인집단’을 구분할 목적으로 사용하였다(Attard, 1983). 아직 허약에 대한 공식적으로 합의된 정의는 없으며, 흔히 허약을 복합유병(comorbidity)이나 장애(disability)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Stone, Cafferata, & Sangl, 1987), 하나의 구별된 개념으로 보는 시각이 증가하고 있다.
허약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허약 스크리닝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한 연구에서 몇 가지 제한점은 무엇인가? 첫째, 본 연구가 단면연구로 진행됨에 따라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해 노인의 입원이나 사망의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부정적인 건강의 변화를 각 도구가 얼마나 잘 예측하는 지를 조사하지 못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등급’을 이용한 것은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이용한 전향적 연구를 통해 준거타당도를 좀 더 정확히 평가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조사당시 전국 노인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65~74세 64.9%, 75~84세 28.8%, 85세 이상 6.3%인데(KNSO, 2006) 비해 이번연구에서는 65~74세 인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75~84세 연령층이 많은 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허약수준이 높게 평가되었을 수 있으므로, 전국 노인인구의 대표성있는 표본을 통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료수집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담당하는 방문간호사가 담당하였으며, 충분한 사전교육을 통해 일관된 자료수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5개 지역의 62명이 자료수집에 참여함에 따라 이들 간에 서로 불일치된 부분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들 간의 일치도를 확인하기 위해 급내상관계수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 노인허약은 무엇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는가? 즉, 허약은 질병이 없는 건강상태는 아니며 다양한 증상과 증후를 초래할 수 있는 병리적 상태로 장애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주요한 경로라고 할 수 있다(Fried, Ferrucci, Darer, Williamson, & Anderson, 2004). 기존 연구에서 노인허약은 사망, 시설입소, 낙상, 병원입원 등 부정적 건강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Morley, Haren, Rolland, & Kim, 2006)이 보고되고 있어, 무엇보다 먼저 노인의 허약수준을 파악하고 허약단계 노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부정적인 건강결과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ttard, A. (1983). The federal council on aging: New priorities. Gerontologist, 23, 117-119. 

  2. Choi, K., & Lee, I. (2008). The concept of frail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1, 67-73. 

  3. Fried, L. P., Tangen, C. M., Walston, J., Newman, A. 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2001).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6, M146-M156. 

  4. Fried, L., Ferrucci, L., Darer, J., Williamson, J., & Anderson, G. (2004).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argeted care. The Journal 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9, M255-M263. 

  5. Greiner, M., Pfeiffer, D., & Smith, R. D. (2000).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45, 23-41. 

  6. Ina, K., Hayashi, T., Nomura, H., Ishitsuka, A., Hirai, H., & Iguchi, A. (2011). Depression, quality of life (QoL) and will to live of community-dwelling postmenopausal women in three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3, 8-12. 

  7. Kim, H. Y. (2008). Physical functio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go-integrity of the frail and non-frail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November). Estimated Korean population data. Seoul: Author. 

  9. Levers, M. J., Estabrooks, C. A., & Ross Kerr, J. C. (2006). Factors contributing to frailty: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 282-291. 

  10. McDowell, I. (200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3r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1.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Author. 

  12. Morley, J. E., Haren, M. T., Rolland, Y., & Kim, M. J. (2006). Frailt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0, 837-847. 

  1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January 20). Long term care insurance.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aaa1378207c761ebab1c2a606170101c/ 

  14. Nunnally, J., & Bernstein, I.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Humanities/Social Sciences/Languages. 

  15. Park, M. H., Ha, J. C., Shin, I. H., Kim, H. G., Lee, S. Y., Cho, J. H., et al. (2009). 2008 Survey for the elderly-national living profil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s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yemyung University. 

  16. Podsiadlo, D., & Richardson, S. (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2), 142-148. 

  17. Rockwood, K., Stadnyk, K., MacKnight, C., McDowell, I., Hebert, R., & Hogan, D. B. (1999). Brief clinical instrument to classify frailty in elderly people. Lancet, 353, 205-206. 

  18. Rolfson, D. B., Majumdar, S. R., Tsuyuki, R. T., Tahir, A., & Rockwood, K. (200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dmonton frail scale. Age and Ageing, 35, 526-528. 

  19.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L.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ew York, NY: The Haworth Press. 

  20. Song, S. W. (2009).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to measur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841-842. 

  21. Stone, R., Cafferata, G. L., & Sangl, J. (1987). Caregivers of the frail elderly: A national profile. Gerontologist, 27, 616-626. 

  22. Sunwoo, D., Lee, S. H., Kim, H. R., Bae, S. S., Cho, Y. H., Kim, J. B., et al. (2008). Demonstration project of Hub-health center's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elderly people.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3. Sunwoo, D., Oh, Y. H., Lee, S. H., Oh, J. S., & Lee, S. G. (2009). The future policy issues for health of the elderly: Construction of functional independence promotion system of everyday living activit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4.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J., Yoon, J. L.,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6, 107-120. 

  25. Yang, D., Cho, B., Chey, J., Kim, S., & Kim, B. (200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KDSQ).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2),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