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형 하천 복원공사 이후 식생관리에 의한 초본 식물상과 천이 - 서울시 양재천 사례 연구 -
Herbal Flora and Succession of Stream Under Management Conditions After its Restoration - Case Study of Yangjaecheon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1 no.1, 2011년, pp.49 - 70  

이용호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강병화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나채선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양금열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  민태기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  홍선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재천에서 관리방법이 상이한 3개의 지방자치구역(강남구, 서초구, 과천시)이 속해있는 8.7km 구역을 매월 1~2회 2005년에 22회, 2010년에 11회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2005년과 2010년에 조사된 전체초본식물은 85과 534 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005년에는 81과 478분류군, 2010년에는 73과 424분류군으로 2005년에 비하여 2010년에 54분류군이 감소하였다. 아종 10품종 총 424분류군으로 2005년에 비하여 2010년에 54분류군이 감소하였다. 그중 2005년에 발생한 식물분류군 중 자생식물이 74과 429분류군(90%), 재식식물이 24과 49분류군(10%)이었던 반면 2010년에 발생한 식물 분류군은 자생식물이 56과 318분류군(75%), 재식식물이 42과 106분류군(25%)으로 2005년에 비하여 2010년에 자생초본이 감소하고 재식식물 분류군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2005년에 비하여 2010년에는 전체 발생 분류군중 벼과의 발생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상위 10과의 전체식물 분류군중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소발생종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광발생종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적은 면적의 관상식물 재식과 나머지 자연식생에서의 위해식물, 덩굴식물 제거를 하고 있는 생태적 식생관리구간(강남구)에서만 발생하는 식물 수가 식물재배구간(서초구), 무관리구간(관악구)에만 발생하는 분류군수의 2배 이상에 달하여 종다양성 측면에서 하류(강남구)가 월등함을 확인 할 수 있다. 2005년에 소발생이거나 미발생종 중에 2010년에 다발생종으로 급격하게 발생량이 증가된 분류군 중 외래식물과 덩굴식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of flora and plant species diversity between 2005 and 2010 in Yangjaecheon (stream) which was divided among three different types of vegetation management method; ecological vegetation management (weeding vines and invasive plants; EVM), plant cultiv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양재천이 경유하는 3개의 지방자치구역은 각 자치단체에 따라 독립적인 관리를 하고 있어 관리방법에 따른 상이한 하천변 경관을 지니고 있는 특징이 있다(김 등 2004).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과 2010년의 양재천의 식물상을 조사 비교하여 자연형 하천 공사 이 후 관리방법에 따른 생태계천이와 식생의 건강성을 평가하여 향후 하천변의 공원화, 생태적 복원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의 생태적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하천의 생태적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와 먹이를 제공하는 식생이다(이와 김 2005). 자연형 하천복원의 식생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박과 마 2003; 박 등 2009; 신 등 2003).
양재천은 언제 복원을 시작했는가? 6km이다. 1995년에 복원을 시작한 양재천은 자연형 하천 복원의 효시이자 모범사례로 평가되고 있다(이2005). 또한 양재천이 경유하는 3개의 지방자치구역은 각 자치단체에 따라 독립적인 관리를 하고 있어 관리방법에 따른 상이한 하천변 경관을 지니고 있는 특징이 있다(김 등 2004).
하천법이 재정된 이래 시행된 하천정비 방법은 결과적으로 어떠한 결과를 낳았는가? 시행된 하천정비 방법은 주로 제방의 축조 복단면화와 하도의 직강화, 제방 및 호안을 콘크리트로 축조하는 것 이었다(김 1996). 이는 치수, 이수 기능, 하천토지의 효율적 이용에는 일조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하천생태계를 심각하게 교란,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1990년도 중반부터 대도시 하천을 중심으로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이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병화. 1999. 우리나라 농경지와 생활주변에서 발생된 잡초와 외래잡초의 현황. 한국잡초학회지 19(1):34-69. 

  2. 강병화. 2008.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 지오북, 서울. 

  3.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 목록. 국립수목원, 경기도. pp. 1-401. 

  4. 김귀곤. 1996. 생태복원측면에서의 하천환경복구의 필요성과 조경에서의 접근방법. 환경과 조경 100:73-78. 

  5. 김선근, 김고은, 이지은, 신동훈, 이규석. 2004. 도시 자연형하천 공사 후의 경관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5):66-74. 

  6. 문병철, 박태선, 조정래, 오세문, 이인용, 강충길, 국용인. 2007. 가시박 출현 및 초기 생육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7(1):36-40. 

  7. 문병철, 오세문, 이인용, 김창석, 조정래, 김석철. 2008. 가시박 군락지의 잡초발생특성 및 분포. 한국잡초학회지 28(2):117-125. 

  8. 박수현. 2009.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서울. pp. 2-559. 

  9. 박인환, 장갑수, 조광진, 나정화. 2009. 지방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물상 및 식생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153-163. 

  10. 박진원, 마호섭. 2003. 양재천의 식생현황과 하천자연도 평가. 농업생명과학연구 37(2):57-70. 

  11. 배정희, 이경재, 한봉호. 2008.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268-279. 

  12. 신동훈, 노태성, 오휘영, 이규석. 2003. 자연형 하천공사 후 도시하천의 식물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1:67-73. 

  13. 이삼희. 2005. 친자연 하천복원의 효시 "양재천 환경 정비"에 이르기까지. 자연과 문명의 조화 53(4): 92-94. 

  14. 이영노. 2006. 새로운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5. 이율경, 김종원. 2005.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대구. pp. 13-23. 

  16. 이인용, 오세문, 문병철, 김창석, 소재성, 박재읍, 박남일, 오진보, 권오석, 이용기. 2007. 외래잡초 가시박 및 가시비름에 대한 약제방제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7(3):195-201. 

  17.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8. 정진아, 김혜주, 이은희. 2004. 직강하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의 식물상 및 출현빈도 비교. 한국생태학회지 18:61-74. 

  19. 환경부. 2002, 하천복원 가이드 라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기도. pp. 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