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rt Ladies' tasks and Costume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10, 2011년, pp.55 - 71  

김소현 (배화여자대학교 전통의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urt ladies' task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First, if there is a royal family event, such as the royal family's wedding or feast, they followed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work division that was defined in "Gyeonggukdaejeon". Secondly, during normal days, they were divided into Jimil (至密),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결과, 궁녀의 위계는 어떻게 구분했는가? 궁녀는 입궁한 햇수에 따라 소녀나인, 나인, 상궁으로 위계를 달리했다. 소녀 나인이 입궁한지 15년이 되면 관례를 올리고 나인이 되며, 그로부터 다시 10~20년이 지나서 상궁교지를 받아 상궁이 되었다. 상궁교지를 받는데 지밀나인은 관례 후 10년, 도청나 인이나 처소나인은 20년이 소요되었다. 궁녀를 선발할 때부터 소속부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복식과 처우 면에서도 차이를 두었다. 지밀과 도청의 소녀나 인은 생각시, 처소나인은 각시, 나인은 항아님, 상궁은 마마님으로 불렸다.
예외사항도 있지만, 원칙적으로 궁녀는 어떤 사람 중에서 선발했는가? 원칙적으로 궁녀는 관아의 여자종, 또는 내수사의 여자종 중에서 선발했다. 양인은 선발하지 못하도록했으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궁녀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궁녀의 업무는 왕실 행사와 평상시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궁녀의 업무는 이원화되어 있었다. 왕실의 가례, 잔치 등 왕실행사에는 『경국대전』에서 규정한 호칭과 업무분장을 따랐으며 평상시에는 지밀(至密), 침방(針房), 수방(繡房), 세수간(洗手間), 생과방(生果房), 내소주방(內燒廚房), 외소주방(外燒廚房)으로 나뉘어 시중, 음식, 빨래, 바느질, 자수, 청소, 양육 등 궁궐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공을 담당했다. 이들 조직은 크게 지밀, 침방·수방의 도청, 세수간·생과방·내소주방·외소주방의 처소로 구분되었으며 대전, 대비전, 중궁전, 세자궁 등 각 전이나 궁 별로 운영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권, 내명부, pp. 571-573. 

  2. 여관제도연혁(女官制度沿革) 1870 - 1935 間寫장서각도서 K2-2032.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4), 고문서집성 十三, 경기도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487, p. 491, p. 493, p. 495, p. 507, p. 518, p. 521, p. 522, p. 613, p. 615, p. 631, p. 660, p. 670, p. 672, p. 691, p. 729, p. 748, p. 759.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4), 고문서집성 十三, 경기도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206, p. 207, p. 209, p. 213, p. 215, p. 220, p. 224, p. 244, p. 430, p. 724, p. 739, p. 759. 

  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6.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7.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8. 세종실록 39권, 10년(1428) 3월 8일(경인). 

  9. 여관제도연혁, p. 12. 

  10.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29. 

  1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37. 

  12.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1. 

  13. 김명길(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22, pp. 47-49. 

  14.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5. 

  1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94. 

  16. 여관제도연혁, p. 5. 

  17. 여관제도연혁, pp. 5-12. 

  18.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20. 

  19. 여관제도연혁, p. 6. 

  20. 김명길(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163, 

  21. 김용숙(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21. 

  22. 여관제도연혁, pp. 6-7. 

  23. 김명길(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137-138. 

  24. 여관제도연혁, pp. 7-11. 

  25. 여관제도연혁 p. 8. 

  26.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13. 

  27. 여관제도연혁, p. 9. 

  28.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97. 

  29. 곤도 시로스케, 李王宮秘史, 이연숙 역 (2007), 대한제국황실비사, 서울: 이마고, p. 60. 

  30.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102. 

  3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19. 

  32.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01. 

  33. 여관제도연혁, p. 11. 

  34. 여관제도연혁, p. 10. 

  3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148. 

  36.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p. 165-169. 

  37. 대전회통 형전(刑典) 궐내각차비. 

  38. 고종실록 32권, 31년(1894) 7월 22일(병신). 

  39. 성종실록 3권, 1년(1470) 2월 6일(을묘). 

  40. 인조실록 33권, 14년(1470) 8월 6일(임신). 

  41.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 95. 

  42. 성종실록 3권, 1년(1470) 2월 6일(을묘). 

  43.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p. 149-151. 

  44. 속대전 형전(刑典) 공천(公賤). 

  45.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 105. 

  46. 여관제도연혁. 

  47.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p. 125-127. 

  48.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p. 108-121. 

  49.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6. 

  50.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 167. 

  51.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권3 

  52. 서인화.박정혜.주디반자일 편저(2000), 한국음악학자료총서, 35, 서울: 국립국악원, p. 81. 

  53. 이재숙 외 (1998),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연구총서, 1,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도판 2 

  54. 김소현 (2010),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연구, 복식, 60(5), pp. 65-66 

  5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42. 

  56. 헌종13년 (1847), 헌종경빈김씨순화궁가례시절차, 규장각 소장 奎27008 

  5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문서집성 十二, pp. 627-628. 

  58. 병와집(甁窩集) 卷5 답윤진사효언(答尹進士孝彦). 

  59. 김소현 (2009),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복식, 59(3), p. 106. 

  60. 국립민속박물관.배화여자대학.(사)국립민속박물관회 (2007),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가례복식, p. 68. 

  61. 김용숙 (1989), 한국여속사, 서울: 민음사. p. 233. 

  62.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24. 

  63.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1, 

  64.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15. 

  65. L.H 언더우드, 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or life in Korea, 신복룡, 최수근 역 (1999), 상투의 나라, 서울: 집문당, p. 34. 

  66.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5. 

  67. 김소현 (2010),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연구, 복식, 60(5), p. 62. 

  68.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08. 

  69.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7. 

  70.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47. 

  7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34, p. 49, 

  72.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48. 

  73. 박정혜 (2000),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서울: 일지사, p. 364. 

  74.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속) 생활과 풍속, 서울: 서문당, 1987, p. 84. 

  75.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p. 49-51. 

  76.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74. 

  77. 대전회통 병전(兵典) 경아전(京衙前). 

  78. 정조실록 26권 12년 10월 3일(신묘). 

  79.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62. 

  80.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