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7세기 왕자녀 가례 절차 및 복식 연구
A Study on Procedure and Costume for a Royal Wedding Ceremony of Princes and Princesses in the 17th Centur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3, 2016년, pp.162 - 179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17th century wedding ceremonies of princes and princesses recorded in the "Garyedeungrok(嘉禮謄錄)". The Joseon dynasty royal weddings were held outside the palace, so it could have influenced wedding ceremonies of commoners. Royal weddings for princes and princesses were consi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란 이후 조선 사회에서 예학(禮學)의 발달은 어떤 수단이 되었는가? 임진 병자 양란 이후 17세기의 사회는 전쟁으로 인한 후유증을 극복하고, 무너진 질서와 제반 체제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예학(禮學)의 발달은 당시 어지러운 사회 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그리고 현실에서 의례를 행하는 그 실천적 중심에는 왕실 전례(典禮)가 있었다.
인평대군은 누구인가? 인평대군(麟坪大君) 이요(李㴭, 1622-1658)는 인조(仁祖)와 인렬왕후(仁烈王后) 사이의 3남으로, 인조 7년(1629) 12월에 인평대군에 봉해졌다. 병자호란 후 소현세자, 봉림대군(효종)과 함께 청나라에 인질로 다녀왔으며, 인조 12년(1634)에 오단(吳端)의 딸과 혼인하였다. 『가례등록』에 나타난 인평대군 가례 관련 기사는 주로 가례 이후 출합할 때 생활 물목에 관한 것이어서 가례의 전 과정을 파악하는데 매우 어려움이 있다.
왜 의례의 실천적 중심에는 왕실 전례가 있었는가? 그리고 현실에서 의례를 행하는 그 실천적 중심에는 왕실 전례(典禮)가 있었다. 왕실에서 스스로 모범을 보이는 것이야말로, 예학에서 규정한 행위 규범을 사회적으로 널리 수용시킬 수 있는 공적 명분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H. M. (2015). The production and supply system of wedding costumes of Prince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ste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82913 

  2. Chang, B. (2010). The transition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after the middle Choseon period.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55, 81-125. 

  3. Gao. C. M. (2001). Masterpieces of Chinese Costumes [中國服飾名物考]. Shanghai, China: Shanghai Culture Publishing House. 

  4. Garyedeungrok [가례등록] (1634-1662). 

  5. Gukhonjeongrye [국혼정례] (1749). 

  6. Gukjo-orye-ui [국조오례의] (1474). 

  7. Gyeong-gukdaejeon [경국대전] (1484). 

  8.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08). Masterpieces from the excavated costumes of the Gyeonggi provincial museum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Yong-in, Republic of Korea: Kyeonggi Provincial Museum. 

  9. Hwasunongju-garyedeungrok [화순옹주가례등록] (1732). 

  10. Kim, A. & Choi, Y. (2014). Materialization of a Chinyoung procession illustration of Princess Bok-on's wedding based on historical dress research-Focusing on women participant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64(7), 11-28. DOI: 10.7233/jksc.2014.64.7.011 

  11. Kim, G. & Choi, Y. (2014). Wedding costumes worn by prince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Focusing on Jeongrye and Garyedeungn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7(4), 55-69. DOI:10.16885/jktc.2014.12.17.4.55 

  12. Kim, J. (2015a). Procedures and items for royal wedding ceremonies of princesses on Hwasunongju-garyedeungrok( 和順翁主嘉禮謄錄).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3), 131-150. DOI:10.7233/jksc.2015.65.3.131 

  13. Kim, J. (2015b). Study on royal wedding items on Garyedeungrok of princess in the 18th century -Focused on Dongro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2), 161-174. 

  14. Lee, E. (2012). Wedding costumes of Princess on Deok-on-gongjugaryedeungrok. Korean Costumes, 30, 68-117. 

  15. Lee, E. (2015). A Study on costumes for a reenactment of Princess DeokOhn's wedding ceremony in 1837-Based on the Myeonguinaechul rit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2), 125-138. DOI:10.16885/jktc.2015.6.18.2.125 

  16. Lee, H. (2006). A study on the charateristic design of AekJureum in Joseon dynasty (Maste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236 

  17. Lee, J. M. (2009). Procedures and garments for wedding ceremonies of prince on Yeoning-gungaryedeungrok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04 

  18. National Museum of Korea (ed.) (2011). The secret of the Joseon portraits [초상화의 비밀].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19. Park, M. (2015). Study of royal wedding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kore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832 

  20. Sangbangjeongrye [상방정례] (1750-1751). 

  21. Shim, S. (2007). A progress and characteristic of the royal family wedding ceremony in Joseon dynasty.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41, 79-139. 

  22. Ryu, S. (1998). History of korean costumes [韓國服飾史]. Seoul, Republic of Korea: Suhaksa. 

  23. Yeonryeosilgisul [연려실기술] (19th Century). 

  24. Yu, O. (2011). Study of the 'Wine-drinking Image' in Joseon Painting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