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산 참다래의 품종 및 숙도에 따른 화학성분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3, 2011년, pp.343 - 349  

오현정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전시범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강혜영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양영준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김성철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임상빈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에서 육성한 후 재배된 참다래에 대하여 기능성식품 소재 및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품종별, 숙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으로 수분은 미숙과의 경우 87.06~90.78%, 완숙과는 83.40~88.27%로 숙도 및 품종별 차이를 보였다. 미숙과의 조단백 함량은 0.26~1.07%, 완숙과는 1.08~1.58%이었고, 조지방은 0.002~0.003%로 조단백, 조지방, pH는 품종 및 숙도별 차이가 없었다. 조회분은 미숙과는 0.43~0.64%, 완숙과는 0.51~0.77%로 미숙과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참다래 품종 중에서 제시스위트 품종이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및 당도가 높았다. 참다래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미숙과에서보다 완숙과에서 총당 함량이 17~44배 증가하였으며 품종마다 차이가 있었다. 제주산 참다래 품종의 주요 유기산lact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이었으며, oxalic acid와 tartaric acid는 완숙과에서는 검출이 되지 않았으나, 미숙과에서는 소량 검출되었다. 참다래 과실의 무기성분은 칼륨이 117.7~189.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C 함량은 미숙과는 0.21~0.59 mg/g, 완숙과는 0.12~0.81 mg/g로 숙기와 품종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는데, 미숙과에 비해 완숙과의 비타민 C 함량이 높았다. 총 페놀 함량은 미숙과는 26.81~56.10 ${\mu}g/g$, 완숙과는 8.64~26.45 ${\mu}g/g$로 미숙과의 총 페놀 함량이 높았다. 과실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500 mg/L에서, 미숙과는 84.47~89.37%로 화북94>제시골드>한라골드>제시스위트 순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완숙과는 43.94~76.96%로 화북94>한라골드>제시골드>제시스위트 순이었다. 미숙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은 미숙과가 완숙과에 비하여 총 페놀 함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항산화 활성은 품종 및 숙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varieties in Jeju, such as Jecy Gold (Actinidia chinensis var. 'Jecy Gold'), Halla Gold (A. chinensis var. 'Halla Gold'), Jecy Sweet (A. deliciosa var. 'Jecy Sweet') and Hwabuk 94 (A. deliciosa var. 'Hwabuk 94') were investigat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는 제주산 참다래 신품종의 품종별 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식품소재 및 건강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제주에서 육성한 후 재배된 참다래에 대하여 기능성식품 소재 및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품종별, 숙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으로 수분은 미숙과의 경우 8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다래 함유 성분 중 항산화 작용을 하는 생리활성물질은? 참다래의 과육 중에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actinidin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촉진 작용이 있고, 비타민 C는 오렌지, 딸기, 레몬, 자몽 등의 과실류보다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외에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은 활성유리기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식이섬유는 소장으로의 흡수 저해를 통한 변비개선 효과를, 미네랄은 세포막으로의 이온 흡수를 조절함으로써 암의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또한 참다래에는 구연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 존재하여 특유의 풍미를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5-14)
참다래란? 참다래는 다래나무과(Ac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에 속하는 다년생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로서, 전 세계적으로 64종이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는 다래(A. arguta), 쥐다래(A.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참다래 종류는? 참다래는 다래나무과(Ac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에 속하는 다년생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로서, 전 세계적으로 64종이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는 다래(A. arguta), 쥐다래(A. kolomikita), 개다래(A. polygama), 섬다래(A. rufa) 등 4종이 분포하고 있다. 다래나무속 중 경제성이 있는 품종으로서 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Ferguson AR. 1999. Kiwifruit cultivars: Breeding and selection. Acta Hort 498: 43-51. 

  2. Kim CH, Kim DS, Song CH, Kim WC. 1999. Selection of a large fruit line “Hwabuk 94”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Kor J Hort Sci Technol 17: 668. 

  3. Kim CH, Kim SC, Jang KC, Song EY, Kim MS, Moon DY,Seong KC, Lee JS, Suh HD, Song KJ. 2007. A new kiwifruit cultivar, "Jecy Gold" with yellow flesh. Kor J Breed Sci39: 258-259. 

  4. Kim SC, Jang KC, Song EY, Ro NY, Kim M, Moon DY.2008. New kiwifruit cultivar, ‘Halla Gold’ early harvesting with yellow flesh. Kor J Hort Sci Technol 26: 72. 

  5. Kim CH, Kim SC, Song EY, Ro NY, Kim MS. 2008. A new mini kiwifruit cultivar, "Green King". Kor J Breed Sci 40:461-465. 

  6. Jeong CH, Lee WJ, Bae SH, Choi SG. 2007. Chemical components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7. Montefiori M, McGhie TK, Costa G, Ferguson AR. 2005.Pigments in the fruit of red-fleshed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and A. deliciosa). J Agric Food Chem 53: 9526-9530. 

  8. Motohashi N, Shirataki Y, Kawase M, Tani S, SakagamiH, Satoh K, Kurihara T, Nakashima H, Musci I, Varga A,Molnar J. 2002. Cancer prevention and therapy with kiwifruit in Chinese folklore medicine: a study of kiwifruit extracts. J Ethnopharmacol 81: 357-364. 

  9. Manolopoulou H, Papadopoulou P. 1998. A study of respiratory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four kiwifruit cultivars during cool storage. Food Chem 63: 529-534. 

  10. Rho JH, Kim YB, Kil BI. 2002. The effect of bulking agent on quality of kiwifruit powder in the process of domestic kiwifruit tenderiz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05-810. 

  11. Rush EC, Patel M, Plank LD, Ferguson LR. 2002. Kiwifruit promotes laxation in the elderly. Asia Pac J Clin Nutr 11: 164-168. 

  12. Park YS, Jung ST, Kang SG, Drzewiecki J, Namiesnik J,Haruenkit R, Barasch D, Trakhtenberg S, Gorinstein S.2006. In vitro studies polyphenols, antioxidant and other dietary indices i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Int J Food Sci Nutr 57: 107-122. 

  13. Sugiyama S, Ohtsuki K, Sato K, Kawabata M. 1997.Enzymatic properties, substrate specificities and pH-activity profiles of two kiwifruits protease. J Nutr Sci Vitaminol43: 581-589. 

  14. Tavarini S, Deglinnocenti E, Renorini D, Massai R, GuidaL. 2008. Antioxidant capacity, ascorbic acid, total phenols and carotenoids changes during harvest and after storage of Hayward kiwifruit. Food Chem 107: 282-288. 

  15. Food Code. 2008.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01-316. 

  16. Yang YT, Kim MS, Hyun KH, Kim YC, Koh JS. 2008.Chemical constituents and flavonoids in citrus pressed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 94-98. 

  17. Food Code. 2008.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701. 

  18. Rizzolo A, Formi E, Polesello A. 1984. HPLC assay of ascorbic acid in fresh and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Food Chem 14: 189-199. 

  19. Albrecht JA, Schaffer HW, Zottola EA. 1990. Relationship of total sulphur to initial and retained ascorbic acid in selected cruciferous and non-cruciferous vegetables. J Food Sci 55: 181-183. 

  20.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21. 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3. Lee SE, Kim DM, Kim KH, Rhee C. 1989. Sever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depend on cultivars and ripening stages.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63-868. 

  24. Esti M, Messia MC, Bertocchi P, Sinesio F, Moneta E,Nicotra A, Fantechi P, Palleschi G. 1998. Chemical compounds and sensory assessment of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var. chinensis): electrochemical and multivariate analyses. Food Chem 61: 293-300. 

  25. Gil MI, Aguayo E, Kader AA. 2006. Quality changes and nutrient retention in fresh-cut versus whole fruits during storage. J Agric Food Chem 54: 4284-4296. 

  26. Matsumoto S, Obara T, Luh BS. 1983. Changes in chemical constituents of kiwifruit during post-harvest ripening. J Food Sci 48: 607-611. 

  27. Kim JM, Ko YS. 1997. Comparative studies on the aroma and taste components of Korean and imported kiwifruits.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26-629. 

  28. Samadi-Maybodi A, Shariat MR. 2003. Characterization of elemental composition in kiwifruit grown in Northen Iran.J Agric Food Chem 51: 3108-3110. 

  29. Kalt W. 2005.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s. J Food Sci 70:R11-R19. 

  30. Connor AM, Luby JJ, Hancock JF, Berkheimer S, HansonEJ. 2002. Changes in fruit antioxidant activity among blueberry cultivars during cold-temperature storage. J Agric Food Chem 50: 893-398. 

  31. Dawes HM, Keene JB. 1999. Phenolic composition of kiwifruit juice. J Agric Food Chem 47: 2398-2403. 

  32. Guo A, Yang J, Wei J, Li Y, Xu J, Jaing Y.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peel, pulp and seed fractions of common fruit as determined by FRAP assay. Nutr Res 23: 1719-1726. 

  33. Wang H, Cao G, Prior RL. 1996.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J Agric Food Chem 44: 701-7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