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육성 참다래의 항산화능 및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Capac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Cells of Domestic Bred Kiwifruit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2, 2015년, pp.259 - 267  

이인일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이봉한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엄석현 (경희대학교 피부생명공학센터) ,  오창식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강희 (경희대학교 동서의과학과) ,  조윤섭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 ,  김대옥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참다래항산화능을 측정하고, 참다래 과육 추출물의 PC-12 세포주에 대한 보호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참다래의 총페놀 함량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를 측정하였다. 국내에서 육성 재배 중인 참다래인 해향(Actinidia chinensis cv. Haehyang), 해금(A. chinensis cv. Haegeum), 비단(A. eriantha cv. Bidan), 만수(A. arguta ${\times}$ A. deliciosa cv. Mansoo), 치악(A. arguta cv. Chiak) 등 5품종과 뉴질랜드 유래 헤이워드(A. deliciosa cv. Hayward), 중국 유래 041AE(A. linguiensis accession number 041AE) 포함 총 7품종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참다래의 껍질 추출물은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이 과육 추출물보다 더 높았다. 7품종 중에서 비단 품종 과육이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이 가장 높았지만,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장 낮았다. 참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양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해향, 해금, 헤이워드 품종은 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PC-12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본 연구는 해금, 해향, 비단 등 국내 개발 육성 참다래가 외래 도입종에 비해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국내 육성 참다래가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제공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atively evaluate antioxidant capacity (AC) of seven cultivars of kiwifruit (Actinidia spp.)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cell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TP) and total flavonoids (TF) of kiwifruits were also examined. Five cultivars of kiw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되어 재배되는 5가지 참다래 품종(해향, 해금, 비단, 만수, 치악)과 외래 2품종(뉴질랜드 헤이워드, 중국 041AE) 등 총 7가지 품종 참다래의 과육과 껍질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육성 참다래 품종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기능성이 우수한 과일 및 식품 소재로서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국내에서 육성된 새로운 참다래 품종들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되어 재배되는 5가지 참다래 품종(해향, 해금, 비단, 만수, 치악)과 외래 2품종(뉴질랜드 헤이워드, 중국 041AE) 등 총 7가지 품종 참다래의 과육과 껍질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육성 참다래 품종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기능성이 우수한 과일 및 식품 소재로서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채류에 있는 항산화물질은? , 1993; Apel and Hirt, 2004). 과채류에는 비타민 A, C, E, 페놀성 화합물(phenolic phytochemicals)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이 풍부하고, 과채류의 섭취가 심혈관질환,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줄인다(Liu et al., 2000; Arts and Hollman, 2005).
활성산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일중항산소(1O2), 과산화수소(H2O2), 슈퍼옥사이드(O2・-), 하이드록실 라디칼(・OH) 같은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는 산소 대사과정 중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으로 발생한다(Apel and Hirt, 2004). 활성산소는 생체 내 항산화제 또는 항산화효소 등의 방어 기작에 의해 대부분 소거된다.
Actinidia속 식물 중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 2010). Actinidia속에는 60여 종 이상이 존재하며, 뉴질랜드에서 경작되는 그린키위(green kiwi)인 헤이워드(A. deliciosa cv. Hayward)와 골드키위(gold kiwi)인 Hort16A(A. chinensis cv. Hort16A)가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Fiorentino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es, B.N., M.K. Shigenaga and T.M. Hagen.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7915-7922. 

  2. Apel, K. and H. Hirt. 2004. Reactive oxygen species: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signal transduction. Annu. Rev. Plant Biol. 55:373-399. 

  3. Arts, I.C. and P.C. Hollman. 2005. Polyphenols and disease risk in epidemiologic studies. Am. J. Clin. Nutr. 81:317S-325S. 

  4. Brand-Williams, W., M.E.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25-30. 

  5. Deutsch, J.C. 1998. Ascorbic acid oxidation by hydrogen peroxide. Anal. Biochem. 255:1-7. 

  6. Drewnowski, A. and C. Gomez-Carneros. 2000. Bitter taste, phytonutrients, and the consumer: A review. Am. J. Clin. Nutr. 72:1424-1435. 

  7. Du, G., M. Li, F. Ma and D. Liang. 2009. Antioxidant capac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polyphenol and vitamin C in Actinidia fruits. Food Chem. 113:557-562. 

  8. Fiorentino, A., B. D'brosca, S. Pacifico, C. Mastellone, M. Scognamiglio and P. Monaco. 2009.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antioxidant capacity of phytochemicals from kiwi fruits. J. Agric. Food Chem. 57:4148-4155. 

  9. Girard-Lalancette, K., A. Pichette and J. Legault. 2009. Sensitive cell-based assay using DCFH ox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ro-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pounds and mixtures: Analysis of fruit and vegetable juices. Food Chem. 115:720-726. 

  10. Guan, S., Y.-M. Bao, B. Jiang and L.-J. An. 2006. Protective effect of protocatechuic acid from Alpinia oxyphylla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PC12 cell death. Eur. J. Pharmacol. 538:73-79. 

  11. Harker, F., B. Carr, M. Lenjo, E. MacRae, W. Wismer, K. Marsh, M. Williams, A. White, C. Lund and S. Walker. 2009. Consumer liking for kiwifruit flavour: A meta-analysis of five studies on fruit quality. Food Qual. Prefer. 20:30-41. 

  12. Heo, H.-J., H.-Y. Cho, B. Hong, H.-K. Kim, E.-K. Kim, B.-G. Kim and D.-H. Shin. 2001. Protective effect of 4',5-dihydroxy-3',6,7-tri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siatica against A ${\beta}$ -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Amyloid-J. Protein Fold. Disord. 8:194-201. 

  13. Huang, D., B. Ou, M. Hampsch-Woodill, J.A. Flanagan and R.L. Prior.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4437-4444. 

  14. Jia, Z., M. Tang and J. Wu.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15. Jung, K.-A., T.-C. Song, D. Han, I.-H. Kim, Y.-E. Kim and C.-H. Lee. 2005. Cardiovascular protective properties of kiwifruit extracts in vitro. Biol. Pharm. Bull. 28:1782-1785. 

  16. Kahkonen, M.P., A.I. Hopia, H.J. Vuorela, J.-P. Rauha, K. Pihlaja, T.S. Kujala and M. Heinonen.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3954-3962. 

  17. Keston, A.S. and R. Brandt. 1965. The fluorometric analysis of ultramicro quantities of hydrogen peroxide. Anal. Biochem. 11:1-5. 

  18. Kim, D.-O. and C.Y. Lee. Extraction and isolation of polyphenolics. pp I1.2.1-I1.2.12. In: V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Wrolstad RE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2002) 

  19. Kim, D.-O. and C.Y. Lee. 2004. Comprehensive study on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various polyphenolics in scavenging a free radical and its structural relationship. Crit. Rev. Food Sci. Nutr. 44:253-273. 

  20. Kim, J.G., K. Beppu and I. Kataoka. 2009. Varietal differences in phenolic content and astringency in skin and flesh of hardy kiwifruit resources in Japan. Sci. Hortic. 120:551-554. 

  21. Kim, J.H., H. Yang, H.J. Hong, W.Y. Kang, D.G. Kim, S.C. Kim, K.J. Song, D. King, C.H. Han and Y.J. Lee. 2010. Neuroprotective effects of Korean kiwifruit against t-BHPinduced cell damage in PC12 cells. Korean J. Plant Res. 23:165-171. 

  22. Latocha, P., T. Krupa, R. Wolosiak, E. Worobiej and J. Wilczak.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chemical difference in fruit of different Actinidia sp. Int. J. Food Sci. Nutr. 61:381-394. 

  23. Lim, Y.J., C.-S. Oh, Y.-D. Park, D.-O. Kim, U.-J. Kim, Y.-S. Cho and S.H. Eom. 2014. Physiological components of kiwifruits with in vitro antioxidan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ood Sci. Biotechnol. 23:943-949. 

  24. Liu, S., J.E. Manson, I.-M. Lee, S.R. Cole, C.H. Hennekens, W.C. Willett and J.E. Buring. 2000.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Women'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72:922-928. 

  25. Motohashi, N., Y. Shirataki, M. Kawase, S. Tani, H. Sakagami, K. Satoh, T. Kurihara, H. Nakashima, I. Mucsi, A. Varga and J. Molnar. 2002. Cancer prevention and therapy with kiwifruit in Chinese folklore medicine: A study of kiwifruit extracts. J. Ethnopharmacol. 81:357-364. 

  26. Moyer, R.A., K.E. Hummer, C.E. Finn, B. Frei and R.E. Wrolstad. 2002. Anthocyanins,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diverse small fruits: Vaccinium, Rubus, and Ribes. J. Agric. Food Chem. 50:519-525. 

  27. Nishiyama, I., T. Fukuda and T. Oota. 2005. Genotypic differences in chlorophyll, lutein, and ${\beta}$ -carotene contents in the fruits of Actinidia species. J. Agric. Food Chem. 53:6403-6407. 

  28. Nishiyama, I., Y. Yamashita, M. Yamanaka, A. Shimohashi, T. Fukuda and T. Oota. 2004. Varietal difference in vitamin C content in the fruit of kiwifruit and other Actinidia species. J. Agric. Food Chem. 52:5472-5475. 

  29. Pavlica, S. and R. Gebhardt. 2010. Protective effects of flavonoids and two metabolite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PC12 cells. Life Sci. 86:79-86. 

  30. Proteggente, A.R., A.S. Pannala, G. Paganga, L. Van. Buren, E. Wagner, S. Wiseman, F. Van De. Put, C. Dacombe and C.A. Rice-Evans. 200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gularly consumed fruit and vegetables reflects their phenolic and vitamin C composition. Free Radic. Res. 36:217-233. 

  3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New fruit cultivars developed by governmental institutes of Korea. www.nihhs.go.kr. accesed on July 18, 2014. 

  32. Samadi-Maybodi, A. and M.R. Shariat. 2003. Characterization of elemental composition in kiwifruit grown in northern Iran. J. Agric. Food Chem. 51:3108-3110. 

  33. Scalzo, J., A. Politi, N. Pellegrini, B. Mezzetti and M. Battino. 2005. Plant genotype affects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s in fruit. Nutrition 21:207-213. 

  34. Sestili, P., G. Brandi, L. Brambilla, F. Cattabeni and O. Cantoni. 1996. Hydrogen peroxide mediates the killing of U937 tumor cells elicited by pharmacologically attainable concentrations of ascorbic acid: Cell death prevention by extracellular catalase or catalase from cocultured erythrocytes or fibroblasts. J. Pharmacol. Exp. Ther. 277:1719-1725. 

  35. Singleton, V.L. and J.A. Rossi, Jr.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144-158. 

  36. Tavarini, S., E. Degl'nnocenti, D. Remorini, R. Massai and L. Guidi. 2008. Antioxidant capacity, ascorbic acid, total phenols and carotenoids changes during harvest and after storage of Hayward kiwifruit. Food Chem. 107:282-288. 

  37. Wolfe, K.L. and R.H. Liu. 2007.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CAA) assay for assessing antioxidants,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5:8896-8907. 

  38. Zheng, W. and S.Y. Wang. 2001.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selected herbs. J. Agric. Food Chem. 49:5165-51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