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을 8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취하여 크기에 따라 큰 것(9.82~11.66 g)과 작은 것(0.93~2.21 g)으로 분류한 후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로 각각 추출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고혈압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환원력, 그리고 AC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1월에 채취된 큰 주름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환원력은 11월의 작은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ACE 저해능은 물 추출물로만 측정하였는데, 11월에 채취된 큰 주름 미더덕의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주름 미더덕은 채취시기, 크기,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시료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특히 8월 또는 9월에 채취한 큰 주름 미더덕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NA 손상 억제에 있어서 추출 용매별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일부 물 추출물은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끓이기 등의 일상 조리를 통한 주름 미더덕의 유효 성분 섭취를 기대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로 채취시기, 크기, 용매에 따라 항산화, 항유전 독성 및 ACE 저해능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주름 미더덕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yela plicata of large (9.82~11.66 g) and small (0.93~2.21 g) siz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was extracted with 4 different solvents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water).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was the highest in acetone extracts of small ones (38.98% and 1.724, respe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주름 미더덕은 크기에 따라 작은 것은 비교적 상품 가치가 떨어져서 이의 기능성을 규명하여 산업적 활용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름 미더덕의 채취시기인 8~12월 사이의 기간 중 매 1개월마다 채취한 주름 미더덕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4가지(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 용매로 추출한 후 항산화능, 항유전 독성능과 항고혈압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때의 최적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름 미더덕 외피의 표면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더덕과 비교하여 원형에 가깝고 꼬리가 없으며, 껍질 표면의 돌기가 굵고 다소 옅은 빛깔을 띠고 있고,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입수공(入水孔)과 출수공(出水孔)이 몸 밖으로 나와 있지 않다(1,2). 외피의 표면에는 오돌토돌한 돌기로 덮여 있으며 개체별로 차이가 있고 불규칙한 홈이나 주름이 있다. 황갈색을 띄며 섬유질과 같은 물질로 되어 있고 딱딱하다. 주름 미더덕의 몸길이는 1~10 cm이며, 7~9월에 산란하고 10~12월에 수확하여 식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름 미더덕을 무엇이라고도 불리는가?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은 척색동물문의 해초강, 측성해초목 미더덕과(Styelidae)에 속한다. 주름 미더덕은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세계전역에서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만둥이 또는 흰멍게라고도 불리어진다. 미더덕과 비교하여 원형에 가깝고 꼬리가 없으며, 껍질 표면의 돌기가 굵고 다소 옅은 빛깔을 띠고 있고,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입수공(入水孔)과 출수공(出水孔)이 몸 밖으로 나와 있지 않다(1,2).
주름 미더덕은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은 척색동물문의 해초강, 측성해초목 미더덕과(Styelidae)에 속한다. 주름 미더덕은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세계전역에서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만둥이 또는 흰멍게라고도 불리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JJ, Kim SJ, Kim SH, Park HR, Lee SC. 2005.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la plicata.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37-941. 

  2. Lee EH. 1985. Lipid components of sea squirt, Halcyntria roretzi , and Mideuduck, Styela clav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89-294. 

  3. Park SM, Seo HK, Lee SC.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56-1259. 

  4. Lee EH, Chung SK, Jeon JK, Cha YJ, Chung SY. 1983. A study on the taste compounds of an ascidian, Styela plicata.Korean J Food Sci Technol 15: 1-5. 

  5. Tincu JA, Menzel LP, Azimov R, Sands J, Hong T, WaringAJ, Tayor SW, Lehrer RI. 2003. Plicatamide, an antimicrobial octapeptide from Styela plicata hemocyte. J Biol Chem 278: 13546-13553. 

  6. Cavalcante MCM, Allode S, Valente AP, Strausi AH,Takahashi HK, Mourao PAS, Pavao MSG. 2000. Occurrence of heparin in the Styela plicata (Tunicata) is restricted to cell layers facing the outside environment. J Biol Chem275: 36189-36196. 

  7. Pavao MSG, Aiello KRM, Werneck CC, Silva LCF, ValenteAP, Mulloy B, Colwelli NS, Tollefseni DM, Mourao PAS.1998. Highly sulfated dermatan sulfates from ascidians. J Biol Chem 273: 27848-27857. 

  8. Kim JJ, Kim SJ, Kim SH, Park HR, Lee SC. 2005.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la plicata accordingto the processing methods and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37-941. 

  9. Lee BB, Cha MR, Park HR, Lee SC. 2007. In vitro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Sci Nutr 36: 1099-1105. 

  10. Seo BY, Kim JM, Lee SC, Park E. 2009. Antigenotox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tyela plicata. J Korean SocFood Sci Nutr 38: 839-845. 

  11. Seo HH, Lee BB, Lee SC. 2009. Antioxidant and TNF- $\alpha$ inducing ability of Styela plicata extracts. J Life Sci 19:462-466. 

  12. Kim JM, Park HR, Lee SC, Park E. 2007. Ethanol induced leucocytic and hepatic DNA strand breaks are prevented by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supplementation in maleS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71-1278. 

  13. Park SM, Seo HK, Lee SC.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56-1260. 

  14. Jung ES, Lee SC. 2007.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quors prepared with Styela calva and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38-1042. 

  15. Joeng EJ, Cho WJ, Cha YJ. 2008. Aroma active compounds in Oman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J Kor Fish Soc 41: 414-418. 

  16. Lee DW, You DH, Yang EK, Jang IC, Bae MS, Jeon YJ,Kim SJ, Lee SC. 2010.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of Styela clava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JKorean Soc Food Sci Nutr 39: 331-336. 

  17.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8. Oyaizu M. 199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 307-315. 

  19.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0. SAS Institute. 199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1. Bondet V, Brand-Williams W, Bere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s. Lebensm-Wiss Technol 30: 609-615. 

  22. Mier S, Kanner J, Akiri B, Hadas SP.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reducing compounds in oxidative defense systems of vari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1813-1819. 

  23.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 Res 27: 511-532. 

  24. Ostling O, Johanson KJ. 1984. Microgel electrophoretic study of radiation-induced DNA damages in individual mammalian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23:291-298. 

  25. Singh PN, McCoy MT, Tice RR, Schneider EL. 1988.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Exp Cell Res 175: 184-191. 

  26. Fujita H, Yokoyama K, Yoshikawa M. 2000. Classification and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ana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food proteins. J Food Sci 65: 564-569. 

  27. Corvol P, Jeunemaitre X, Charru A, Kotelevtsev Y, SoubrierF. 1995. Role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blood pressure regulation and in human hypertension: new insights from molecular genetics. Recent Prog Horm Res50: 287-3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