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P-1 Cell과 HUVEC을 이용한 Co-Culture Model System에서 최종당화산물에 의한 Cytokines와 RAGE 발현
Co-Culture Model Using THP-1 Cell and HUVEC on AGEs-Induced Expression of Cytokines and 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3, 2011년, pp.385 - 392  

이광원 (고려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현순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보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yceraldehyde를 이용하여 제조된 AGEs 화합물(glycer-AGEs)을 단구세포인 THP-1, 혈관내피세포인 HUVEC 및 이 두 세포가 동시에 배양된 system에서 100 ${\mu}g/mL$로 처리 후 24시간까지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배양시간 동안 각 세포와 배양액을 회수하여 TNF-$\alpha$와 IL-1$\beta$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THP-1의 경우 배양 2시간에서 TNF-$\alpha$나 IL-1$\beta$의 mRNA 발현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혈관내피세포인 HUVEC의 경우에는 24시간 배양하는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세포를 동시에 배양한 system에서 혈관내피세포인 HUVEC의 경우에는 배양 4시간에서 대조구보다 TNF-$\alpha$의 발현은 4.4배, IL-1$\beta$의 경우 5.5배 정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NF-$\alpha$와 IL-1$\beta$의 배지 내에서의 농도를 측정해 본 결과, THP-1만 배양한 경우 대조구의 배지 내 TNF-$\alpha$ 함량이 배양 6시간에 98.2 pg/mL로 대조구 53.8 pg/mL보다 증가하였으며 HUVEC의 경우 배양 8시간에 93.3 pg/mL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co-culture의 경우 배양 4시간부터 증가하여 배양 8시간에 199.2 pg/mL로 증가하였다. RAGE는 TNF-$\alpha$와 IL-1$\beta$의 발현 pattern과 다르게 단독 및 co-culture에서 배양 16시간에 대조구에 비해 각각 1.6배, 24시간에 1.9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최종당화산물에 의해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상실의 연구에 있어 co-culture조건이 유용하며, 특히 mRNA 수준에서는 4시간에, protein 수준에서는 8시간에 효능을 측정하면 유효성 있는 연구 성과를 얻을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onoculture methods have been remarkably useful due to their simplicity, they have serious limitation because of the different types of cell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many physiological situations. We demonstrated levels of markers of endothelial dysfunction such as tumor necrosi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상실에 매우 중요한 cytokine인 IL-1β과 TNF-α의 발현 정도와 AGEs 화합물인 조직으로 들어가는 receptor인 RAGE 발현 정도를 단구세포/혈관내피세포의 단독과 co-culture system을 비교하였다. 또한 AGEs에 의한 혈관성질환을 억제할 수 있는 효능물질 검색을 위한 최적의 time point를 전체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GE에 의한 동맥경화는 어떤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가? AGE에 의해 동맥경화는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먼저 혈액 내에 존재하는 LDL의 인지질 성분에서 glycation 반응에 의해 LDL의 산화변성이 일어나며(7), 이렇게 변성된 LDL은 혈관내피세포에 존재하는 receptor of AGEs(RAGE)를 통해 내막(intima)으로 흡수되어 거품세포(foam cell)의 형성을 촉진하며(8,9), 콜레스테롤에스터(cholesterol ester)의 축적(10) 등 혈관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하시켜 최종적으로는 동맥경화와 같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13).
글라이케이션 반응은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글라이케이션 반응, 혹은 non-enzymatic glycation 반응이란 환원당의 carbonyl기가 단백질의 유리아미노기인 lysine이나 arginine과 반응하여 초기 Shiff base를 형성하고, 계속적으로 축합, 재전위, 산화, 분열, 고리화 등의 일련의 복잡한 반응을 통하여 갈색의 비가역적 최종당화산물(advanced end-products, AGEs)을 만드는 반응이다(1). 이 반응은 모든 단백질의 ε-amino group이나 N-terminal group에서 일어나며 또한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콜라젠, DNA나 low-density lipoprotein(LDL)과 같은 혈청 단백질과 쉽게 공유결합 하여 체내에서도 AGEs 화합물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2). 생체내의 glycation 반응은 몇 주 정도에 걸쳐 일어날 정도로 천천히 일어나지만 일단 반응이 시작되면 비가역적 반응으로 AGEs 화합물이 체내에 축적되게 되면서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킨다(3).
글라이케이션 반응이란 무엇인가? 글라이케이션 반응, 혹은 non-enzymatic glycation 반응이란 환원당의 carbonyl기가 단백질의 유리아미노기인 lysine이나 arginine과 반응하여 초기 Shiff base를 형성하고, 계속적으로 축합, 재전위, 산화, 분열, 고리화 등의 일련의 복잡한 반응을 통하여 갈색의 비가역적 최종당화산물(advanced end-products, AGEs)을 만드는 반응이다(1). 이 반응은 모든 단백질의 ε-amino group이나 N-terminal group에서 일어나며 또한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콜라젠, DNA나 low-density lipoprotein(LDL)과 같은 혈청 단백질과 쉽게 공유결합 하여 체내에서도 AGEs 화합물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onnier VM, Elmets CA, Frank KE, Vishwanath V, YamashitaT. 1986. Age-related normalization of the browning rate of collagen in diabetic subjects without retinopathy.J Clin Invest 78: 832-835. 

  2. Vishwanath V, Frank KE, Elmets CA, Dauchot PJ, MonnierVM. 1986. Glycation of skin collagen in type I diabetes mellitus. Correlation with long-term complications. Diabetes35: 916-921. 

  3. Mullarkey CJ, Edelstein D, Brownlee M. 1990. Free radical generation by early glycation products: a mechanism for accelerated atherogenesis in diabet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73: 932-939. 

  4. Makita Z, Bucala R, Rayfield EJ, Friedman EA, KaufmanAM, Korbet SM, Barth RH, Winston JA, Fuh H, ManogueKR. 1994. Reactive glycosylation endproducts in diabetic uraemia and treatment of renal failure. Lancet 343: 1519-1522. 

  5. Hammes HP, Alt A, Niwa T, Clausen JT, Bretzel RG,Brownlee M, Schleicher ED. 1999. Differential accumul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the course of diabetic retinopathy. Diabetologia 42: 728-736. 

  6. Bucala R, Vlassara H. 1995. 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s in diabetic renal and vascular disease. Am J Kidney Dis 26: 875-888. 

  7. Hsieh CL, Lin YC, Ko WS, Peng CH, Huang CN, Peng RY.2005. Inhibitory effect of some selected nutraceutic herbs on LDL glycation induced by glucose and glyoxal. J Ethnopharmacol 102: 357-363. 

  8. Ma H, Li SY, Xu P, Babcock SA, Dolence EK, BrownleeM, Li J, Ren J. 2009.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 (AGE) accumulation and AGE receptor (RAGE) upregulation contribute to the onset of diabetic cardiomyopathy. J Cell Mol Med 13: 1751-1764. 

  9. Sobenin IA, Tertov VV, Koschinsky T, Bunting CE,Slavina ES, Dedov II, Orekhov AN. 1993. Modified low density lipoprotein from diabetic patients causes cholesterol accumulation in human intimal aortic cells. Atherosclerosis100: 41-54. 

  10. Magalhaes PM, Appell HJ, Duarte JA. 2008. Involvement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the protective role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Eur Rev Aging Phys A 5: 17-29. 

  11. Goh SY, Cooper ME. 2008. Clinical review: The rol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progression and complications of diabetes. J Clin Endocrinol Metab 93: 1143-1152. 

  12. Lue LF, Walker DG, Brachova L, Beach TG, Rogers J,Schmidt AM, Stern DM, Yan SD. 2001. Involvement of microglial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RAGE) in Alzheimer's disease: identification of a cellular activation mechanism. Exp Neurol 171: 29-45. 

  13. Linden E, Cai W, He JC, Xue C, Li Z, Winston J, VlassaraH, Uribarri J. 2008. Endotheli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results from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mediated inhibit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through RAGE activation. Clin J Am Soc Nephrol 3: 691-698. 

  14. Lo CY, Li S, Tan D, Pan MH, Sang S, Ho CT. 2006.Trapping reactions of reactive carbonyl species with tea polyphenols in simulated physiological conditions. Mol Nutr Food Res 50: 1118-1128. 

  15. Takada M, Ku Y, Toyama H, Suzuki Y, Kuroda Y. 2002.Suppressive effects of tea polyphenol and conformational changes with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RAGE) expression in human hepatoma cells. Hepatogastroenterology49: 928-931. 

  16. Ahmad MS, Ahmed N. 2006. Antiglycation properties of aged garlic extract: possible role in prevent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J Nutr 136: 796S-799S. 

  17. Lee HS, Koo YC, Suh HJ, Kim KY, Lee KW. 2010.Preventive effects of chebulic acid isolated from Terminalia chebula on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induced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J Ethnopharmacol 131: 567-574. 

  18. Speciale A, Canali R, Chirafisi J, Saija A, Virgili F, Cimino F. 2010. Cyanidin-3-O-glucoside protection against TNF-alpha-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involvement of nuclear factor-kappaB signaling. J Agric Food Chem 58:12048-12054. 

  19. Devaraj S, Dasu MR, Rockwood J, Winter W, Griffen SC,Jialal I. 2008. Increased toll-like receptor (TLR) 2 and TLR4 expression in monocytes from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further evidence of a proinflammatory state. J Clin Endocrinol Metab 93: 578-583. 

  20. Basta G, Schmidt AM, De Caterina R. 2004.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vascular inflammation: implications for accelerated atherosclerosis in diabetes. Cardiovasc Res63: 582-592. 

  21. Takeuchi M, Makita Z, Bucala R, Suzuki T, Koike T,Kameda Y. 2000. Immunological evidence that non-carbox-ymethyllysine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re produced from short chain sugars and dicarbonyl compounds in vivo. Mol Med 6: 114-125. 

  22. Okamoto T, Yamagishi S, Inagaki Y, Amano S, TakeuchiM, Kikuchi S, Ohno S, Yoshimura A. 2002. Incadronate disodium inhibits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induced angiogenesis in vitro.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7:419-424. 

  23. Niiya Y, Abumiya T, Shichinohe H, Kuroda S, Kikuchi S,Ieko M, Yamagishi S, Takeuchi M, Sato T, Iwasaki Y. 2006.Susceptibility of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to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induced tissue factor upregulation is associated with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Brain Res 1108: 179-187. 

  24. Tsouknos A, Nash GB, Rainger GE. 2003. Monocytes initiate a cycle of leukocyte recruitment when cocultured with endothelial cells. Atherosclerosis 170: 49-58. 

  25. Shibata M, Hariya T, Hatao M, Ashikaga T, Ichikawa P. 1999.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an external control mRNA for determination of gene expression in a heterogeneous cell population. Toxicol Sci 49: 290-296. 

  26. Tanji K, Mori F, Imaizumi T, Yoshida H, Matsumiya T,Tamo W, Yoshimoto M, Odagiri H, Sasaki M, TakahashiH, Satoh K, Wakabayashi K. 2002. Upregulation of $\alpha$ -synuclein by lipopolysaccharide and interleukin-1 in human macrophages. Pathology International 52: 572-577. 

  27. Heraud JM, Lavergne A, Kazanji M. 2002.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squirrel monkey (Saimiri sciureus) Th1 and Th2 cytokines. Immunogenetics 54: 20-29. 

  28. Lee SJ, Lee WK. 2007. Protective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gainst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induced injury in neuronal cells. Biol Pharm Bull 30: 1369-1373. 

  29. Khalifah RG, Baynes JW, Hudson BG. 1999. Amadorins: novel post-Amadori inhibitors of advanced glycation reaction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7: 251-258. 

  30. Sato T, Shimogaito N, Wu X, Kikuchi S, Yamagishi S,Takeuchi M. 2006. Toxic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TAGE) theory in Alzheimer's disease.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21: 197-208. 

  31. Munch G, Schinzel R, Loske C, Wong A, Durany N, Li JJ,Vlassara H, Smith MA, Perry G, Riederer P. 1998.Alzheimer's disease-synergistic effects of glucose deficit,oxidative stress and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J Neural Transm 105 : 439-461. 

  32. Matsuse T, Ohga E, Teramoto S, Fukayama M, Nagai R,Horiuchi S, Ouchi Y. 1988. Immunohistochemical localis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pulmonary fibrosis. J Clin Pathol 51: 515-519. 

  33. Dunon D, Piali L, Imhof B. 1996. To stick or not to stick-the new leukocyte homing paradigm. Curr Opin Cell Biol 8:714-7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