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약 공공보건사업 지원체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s on a support system for Oriental medicine public health programs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5 no.3, 2011년, pp.1 - 16  

이은경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명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기남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preparing a support system for public health programs, there is a relatively poor system to support Oriental medicine public health programs. In this regard, considerations have been made to giv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support organiz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약 공공보건사업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한의약 공공보건사업은 2002년도에 공중보건 한의사제도의 도입과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2009년 현재 239개 보건소 중 201개 보건소 및 588개 보건지소에서 1,041명의 공중보건한의사와 50여명의 한의사가 한의약공공보건사업을 펼치고 있고, 55개 HUB보건소에서는 한의약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1) 하지만 시행된 지 여러 해가 지나도록 관련 법률의 제정이나 충분한 예산확보가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의약공공보건사업의 평가 및 사업에의 환류가 되지 못하고 있다.
지역보건사업계획의 중요성과 접근방식은 어떤 문제의식과 실천을 통해 구축되었는가? - 다양한 국가의 보건의료체계 및 해당 국가 국민의 독특한 요구에 맞춰 우선순위 정하고 자원을 분배하며 협력적인 사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돕는 중장기 계획의 중요성 강조8) - 기본적인 보건의료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접근법을 찾고 건강관련 지역개발에 쓰이는 예산과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등에 주민참여를 최대화 하기 위해 계획의 중요성 강조9) - 지역사회 거점이 되는 병원의 역할 강조, 지방자치제도 시행 보편화와 더불어 지방자치정부의 보건의료 분야 책임을 높이는 것이 많은 장점이 있어 이의 활용 강조, 민간의료기관의 역할 고민과 연계 강조 등이 더욱 부각되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제기10)
우선순위 건강문제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보건사업기획의 단계에서 우선 필요한 것은 포괄적인 자료수집과 지역사회 자원 목록 작성과 주기적 갱신, 지역사회진단을 위한 통계학습 등 통한 지역사회진단과 지역사회진단을 통한 우선순위 건강문제 결정이다. 우선순위 건강문제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건강문제의 크기, 건강문제의 심각성 정도, 해결수단의 추정 효과, PEARL(propriety, economic feasibility, acceptability, resource availability, legality) 등이다. 지역사회진단과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결정하고 나면 보건사업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보건복지부. 2010 한의약공공보건사업안내, 2010. 

  2. 정채빈. 한의약건강증진사업의 활성화 방향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3. 한동운 외. 수요자 중심의 한의약공공보건 사업의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4. 이장석. 한의약 공공보건사업에 대한 공중보건한의사들의 인식조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5. 송순태, 건강증진사업의 평가에서 건강증진 사업지원단의 역할, 한국보건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2005, pp.262-9. 

  6. 배상수 외. 지역 특화 건강 행태 개선 사업 발전 방향.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7. 최용준. 지역보건사업 수행의 이론과 실제.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서울. 2007, pp.26-49. 

  8. WHO. Executive Board 49th Session, document EB49/SR/14 Rev, Geneva, 1973, 218. 

  9. Voyo D, Mach EP. Alternative Approaches to Meeting Basic Health Needs of Popul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 Newell KW. Health by the People, Geneva, WHO, 1975. 

  10. Tswana SA, Moyo SR, Ndoro EZ. Detection of Chlamydia trachomatis Antigen in Genital Specimens from patients attending Mbare STD Polyclinic in Harare. Cent Afr J Med. 1987 ; 33(9) : 221-4. 

  11. 나백주.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성과와 문제점, 2009년 대한예방의학 추계학술대회자료집 심포지움8-1. 2009. 

  1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Health : Guide for the Local Coordinator. Atlanta, GA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00. 

  13. Green LW, Kreuter MW. Health Program Planning : A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Approach.4th ed. New York, NY : McGraw-Hill. 2005. 

  14. Courtney R, Ballad E, Fauver S, et al. The partnership model : working with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toward a new vision of health. Public Health Nursing 1996 ; 13(3) : 177-186. 

  15. Dhillon HS, Philip L. Health Promotion and Community Action for 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Geneva, WHO, 1994, pp.30-35. 

  16. 이선희, 채유미, 박남수, 오은환, 이주열, 박형욱. 건강증진재단 설립 및 지자체 건강기금 신설.운영 방안,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17. 정애숙. 외국의 건강증진기금 운영실태 고찰 및 시사점,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8 ; 25(4) : 93-110. 

  18. 이주열, 정애숙, 김현정. 국민건강증진기금 중장기 운영 방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7 ; 24(4) : 199-215. 

  19. 건강증진사업지원단. 건강증진사업지원단 안내, 2010. 

  20. 보건사회부 예규 685호 

  21. 보건복지부 훈령 제155호 

  22. 국립중앙의료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23. 구강보건사업지원단 홈페이지 http://oralhealth.hp.go.kr/ 

  24. 정신보건사업지원단 홈페이지 http://www.cmhsc.or.kr/nd 

  25. 건강증진사업지원단 홈페이지 http://mchp.hp.go.kr/ 

  26. 강은정, 서미경, 정영호, 김동진. 국민 건강증진정책 중장기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7. 이신호.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및 평가.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8. 이수진 등. 지역보건기관 기능재정립을 위한 정책 및 실행방안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29. 대한한의사협회. 보건소 한방진료실 설치방안과 효과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1995. 

  30. 채한. 군진한의학의 모형설정, 제3의학, 1998 ; 3(1) : 33-65. 

  31. 류규수, 민문주. 보건소장의 한방진료에 대한 태도와 관련 요인분석,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1 ; 18(2) : 157-68. 

  32. 김종인 외. 한방의료의 지역보건복지사업 참여 프로그램 연구, 보건복지부, 2001. 

  33. 장동민 외. 보건소의 한방공중보건사업 활성화방안, 보건복지부, 2002. 

  34. 장동민. 한방 공공보건사업의 운영실태와 정책과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 ; 11(2) : 101-12. 

  35.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