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해, 니딩, 습부압착에 의한 HwBKP, SwBKP, OCC 수초지의 건조 거동 및 물성 변화
Changes of HwBKP, SwBKP, OCC Handsheets' Drying Behavior and Physical Properties by Refining, Kneading and Wet Pressing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3 no.5, 2011년, pp.17 - 26  

이진호 (한국화학연구원 산업바이오화학연구센터) ,  박종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ying behavior and physical properties of HwBKP, SwBKP, and OCC handsheets depending on kneading, refining and wet pressing were analyzed. The maximum drying shrinkage velocity was newly adopted to verify the effect of mechanical treatment of pulps by evaluating drying behavior according to vary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경우 HwBKP의 펄프 특성에 따라 고해에 의한 강도 개선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적절한 고해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고해, 니딩과 습부압착이 건조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건조수축에 기초한 새로운 건조 영향 평가 기법인 최대 건조수축 속도23)를 적용하여 그들의 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에 따라 HwBKP의 강도 발현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습부 압착에 의한 섬유간 수분 제거는 섬유간 표면 장력을 발생시켜 건조 공정에서의 섬유간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거리까지 섬유를 당기는 역할 (Campbell effect)을 하게 되어 습지의 강도 부여 및 이후 건조과정에서 섬유간 수소 결합을 증대시켜 건조 지필의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17) 습부 압착에 의한 섬유의 찌그러짐과 같은 섬유의 물리적 변화와 표면 장력에 의한 섬유간 인접은 압착에 의한 지필의 압밀화와 강도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된다.18-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는 고해 처리에 의해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는 고해 처리에 의해 물리적으로 개질되어 유연성 및 섬유간 결합력이 증가하며, 고해 정도에 따라 종이의 물성이 변화하게 된다.1-3) 고해에 대한 연구의 중점은 고해에 의해 섬유가 어떠한 형태로 개질되는가에 대한 것과 섬유의 개질 형태에 따라 종이의 물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것인가에 있다.
습부압착 공정에 의한 섬유간 수분 제거는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 12-16) 이중 습부 압착은 건조부 이전에 지필내 수분을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탈수 이외에 물리적인 압착에 의해 섬유를 압착하여 세포 내강과 팽윤된 세포벽을 찌그러뜨려 소성 변형 및 팽윤성의 영구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습부 압착에 의한 섬유간 수분 제거는 섬유간 표면 장력을 발생시켜 건조 공정에서의 섬유간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거리까지 섬유를 당기는 역할 (Campbell effect)을 하게 되어 습지의 강도 부여 및 이후 건조과정에서 섬유간 수소 결합을 증대시켜 건조 지필의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17) 습부 압착에 의한 섬유의 찌그러짐과 같은 섬유의 물리적 변화와 표면 장력에 의한 섬유간 인접은 압착에 의한 지필의 압밀화와 강도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된다.
고해에 대한 연구의 중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는 고해 처리에 의해 물리적으로 개질되어 유연성 및 섬유간 결합력이 증가하며, 고해 정도에 따라 종이의 물성이 변화하게 된다.1-3) 고해에 대한 연구의 중점은 고해에 의해 섬유가 어떠한 형태로 개질되는가에 대한 것과 섬유의 개질 형태에 따라 종이의 물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것인가에 있다. 외부 피브릴화는 강한 고해 작용에 따른 splitting 효과에 의해 섬유의 비표면적 상승, 단섬유화 및 미세분이 발생 되어 이에 따른 섬유간 결합력 증가가 주요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lark, J. d'A., Pulp Technology and Treatment for Paper, Second Ed., Miller Freeman Publications Inc., San Francisco, pp. 100-118 (1985). 

  2. Page, D. H., and DeGrace, J. H., The delamination of fibre walls by beating and refining, Tappi J. 50(10): 489-495 (1967). 

  3. Stone, J. E., and Scallan, A. M., The effect of component removal upon the porous structure of the cell wall of wood II, Swelling in water and the fibre saturation point, Tappi J. 50(10):496-501 (1967). 

  4. Emerton, H. W., The theory of the development in pulps of papermaking characteristics by mechanical treatment, In Fundamentals of the Beating Process, Tech. Soc. B. P. & B. I. R. Kenley, UK, pp. 133-144 (1957). 

  5. Sinkey, J. D., Fundamental concepts of refining, International symposium, IPC, Appleton, Wisconsin, pp. 16-18 (1980). 

  6. Abitz, P., and Luner, P., The effect of refining on wet fiber flexibility and its relationship to sheet properties, In Fundamentals of Papermaking, Baker, C. F., and Punton, V. (ed.), Vol. 1, Mech. Eng. Pub., London, pp. 67-86 (1989). 

  7. Cropper, M. A., Advances in deinking and its use in improving quality of newsprint, 1976 Papermakers Conference Proceeding, TAPPI Press, Atlanta, pp. 93-96. 

  8. Ortner, H., and Fisher, S., The application of dispers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deinked pulps, Progress in Paper Recycling 1(1):46-53 (1991). 

  9. Johansson, O., and Steffner, S., Field experience gained in the new deinking plant at Hylte Bruks AB, EUCEPA Symposium, Ljbljana, pp. 23-27 (1989). 

  10. 서형일, 류정용, 신종호, 송봉근, 오세균, 고지재생연구(제3보)-부유부상 및 니딩 처리에 의한 라이너지의 강도 및 광학적 성질 개선, Journal of Korea TAPPI 31(1): 17-22 (1999). 

  11. Britt, K. W., and Unbehend, J. E., Water removal during sheet formation, Tappi J. 63(4):67-70 (1980). 

  12. Springer, A., Nabors, L. A., and Bhatia, O., The influence of fiber, sheet structural properties and chemical additives on wet pressing, Tappi J. 74(4): 221-228 (1991). 

  13. Caufield, D. F., Young, T. L., and Wegner, T. H., The role of web properties in water removal by wet pressing, Characterization of dewatering time constant, Tappi J. 65(2):65-69 (1982). 

  14. Wegner, T. H., Young, T. L., and Caulfield, D. F., Role of fiber geometry in water removal by wet pressing, Tappi, J. 66(4):85-88 (1983). 

  15. Young, T. L., Caulfield, D. F., and Wegner, T. H., Role of web properties in water removal by wet pressing; Influence of basis weight and forming method, Tappi J. 66(10):100-102 (1983). 

  16. Stratton, R. A., Use of polymers in wet pressing, 1982 Papermakers Conference Proceedings, TAPPI Press, Atlanta, pp. 179-182. 

  17. Campbell, W. R., The Cellulose-water relationship in papermaking, Bull. For. Ser. 84, Canada Dept. Interior, Printer to the King's most excellent Majesty, p.52 (1933). 

  18. Paulapuro, H., Wet pressing-present understanding and future challenges, In The Science of Papermaking, Baker C. F.(ed.), Vol. 1, The Pulp and Paper Fundamental Research Society, UK, pp. 639-678 (2001) 

  19. Szikla, Z., and Paulapuro, H., Z-direction distribution of fines and filler material in the paper web under wet pressing conditions, Paperi Ja Puu, 68(9):654-664 (1986). 

  20. Szikla, Z., and Paulapuro, H., Changes in z-direction density distribution of paper in wet pressing, J. Pulp and Paper Science 15(1):J11- J17 (1989). 

  21. Page, D. H. and Tydeman, P. A., A new theory of the shrinkag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aper, In Formation and Structure of Paper, Balam, F. (ed.), Vol. 1, BPBMA, London, pp. 397-425 (1962). 

  22. Jentzen, C. A., The effect of stress applied during drying on some of the properties of individual pulp fibers, Tappi J. 47(7):412-418 (1964). 

  23. 이진호, 건조수축 해석을 통한 종이의 건조 스트레스평가와 벌크 및 강직성 향상 기작 규명, 2011년 농학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