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 사용되는 소금의 이용실태 및 소비자 인식 연구
A Survey on the Use and Recognition of Various Salts in Kimchi Productio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6, 2011년, pp.554 - 561  

김주현 (동서울대학 호텔외식조리전공) ,  윤혜려 (국립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tritional value of kimchi is gaining global focus along with new possibilities and uses for the various salts used in making kimch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uses of various salts and investigate the consumer recognition of salt use in kimchi preparation. The fi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김치에 첨가되는 다양한 재료인 고추, 젓갈 및 소금의 농도가 김치의 맛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더러 진행되고는 있지만 절임과정에서 소금의 종류에 따른 김치의 맛과 품질에 대한 연구와 김치에 사용된 소금에 관한 조사는 매우 미미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식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금의 이용실태와 김치에 사용되고 있는 소금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여 식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염의 제조 과정은 무엇인가? 시중에 나와있는 대표적인 가공염 중에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서 800oC 이상 고온으로 2번 구원 불순물과 간수, 유해성분을 제거한 구운소금(roasted salt)과 이보다 높은 온도인 1,300oC이상 고온으로 3번 구운 것(생금)이 있다. 사찰등지에서 제조되어 오던 가공염의 일종인 죽염은 천일염을 대나무 속에 다져넣고 대나무 입구를 진흙반죽으로 봉한 후 가마에서 1,000~1,300o C에서 8번 가열한 후 9번째는 송진가루를 장작 위에 뿌려 1,300~1,700o C로 가열하면 소금은 융용되고 식으면 죽염의 결정이 된다(Kim 1999). 이와 같은 가공염은 여러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소금의 종류에 따라 Ca, Mg, K 등과 같은 미네랄의 존재여부와 함량의 차이를 보이며(Jo & Shin 1998), 주요성분인 NaCl의 함량과 Ca, Mg과 같은 다가 양이온들은 펙틴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염장과 채의 저장기간이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Park & Park 1998).
가공염이란 무엇인가? 5%의 해수를 이온 교환막이 장착된 전기 투석조를 거쳐 16~18%의 염수를 만들고 이를 증발 농축시켜 염화나트륨만을 추출한 소금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가공염(processed salt)은 정제염에 글루타민산소다의 액체 또는 분말을 코팅하여 첨가 가공한 것으로 맛소금(table salt)이 있다(Gil 1999). 시중에 나와있는 대표적인 가공염 중에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서 800oC 이상 고온으로 2번 구원 불순물과 간수, 유해성분을 제거한 구운소금(roasted salt)과 이보다 높은 온도인 1,300oC이상 고온으로 3번 구운 것(생금)이 있다.
소금은 김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김치는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무, 파, 미나리,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 여러 가지 부원료와 젓갈류로 양념을 하여 발효와 숙성과정을 거치는 동안 독특한 향미를 만들어고 이들 주재료와 부재료 및 양념류의 성분에 의해 김치 맛이 달라지게 된다(Lee 등 1994; Park 등 1994).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삼투압 현상으로 유해한 미생물이 사멸하고 젖산균과 같은 비교적 소금에 잘 견디는 내염성 미생물이 생육하여 김치의 맛과 향을 내게 되며, 그 중에서 소금의 농도와 온도는 김치의 발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 시켜서 적절한 가식기간을 확보하는데 이바지하는 것으로 연구 된 바 있다(Mheen & Kwon 1984; Ko 등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MS, Cho SD, Kim GH. 201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7(1):30-35 

  2. Gil WS. 1999. Application and present conditions of salt processing in Korea. J East Asian Dietary Life, 9(2):247- 256 

  3. Ha J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Doctoral degree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4.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413-418 

  5. Hahn YS. 2003.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ci. Technol., 35(4):743-747 

  6. Han JS. 1999. The effect of salt on cooking. J East Asian Diet Life, 9(3):391-401 

  7.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2009. Improvement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n and baked (guwum)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8):996-1002 

  8. Jo EJ,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d Hyg safty, 13:360-364 

  9. Kim YS. 1999. The application method of bamboo salt and health in the pollution period. J East Asian Dietary Life, 9(2):257-260 

  10. Kim JH, Park WP, Kim JS, Park JH, Ryu JD, Lee HG, Song YO. 2000.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in kimchi in Kyungnam( 2)-The study of the no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products for sale-. J Korean Society Diet Culture, 15(2):147-153 

  11. Kim MH, Chang MJ. 2000. Fermentation property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K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1):7-11 

  12. Kim SJ, Kim HL, Hma KS. 2005.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4):395-401 

  13. Ko YD, Kim HJ, JUN SS. Sung NJ. 1994. Development of control1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199-208 

  14.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239-245 

  15. Lee JM, Lee HS. 1999. The effect of change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on Korea indigenous fermented food. Korean J Diet Culture, 14(4):271-287 

  16. Lee GD, Kim SK, Kim JO, Kim ML. 2003. Comparis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muskmelon with deep seawater salt, sun-dried and purified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840-846 

  17. Lee KD, Choi CR, Cho JY, Kim HL, Ham K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53-59 

  18.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443-450 

  19. Park WS, Lee HJ, Han YS, Koo YJ. 1994.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231-238 

  20.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1):169-182 

  21. Park MW, Park YK. 1998.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iju(Korean pickled cucumber)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419-424 

  22. Park SJ, Park YK, Jun HK. 2001. Effecs of commercial salts on the growth of Kimchi-related micoorgani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806-813 

  23. Park SH, Lim HS. 2003. effects of red pepper,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taste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346-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