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안전 인지·실천 수준에 따른 식위생 행태 및 식생활 정보 관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Food Hygiene and Interest in Diet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 Safe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6, 2013년, pp.623 - 630  

강남이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혜려 (국립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전공) ,  김주현 (동서울대학교 관광학부 호텔외식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food hygiene and interest in dietary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550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using one-to-one interviews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식품 안전 인지 및 실천 단계에 따른 소비자의 식품 위생 지식, 태도, 행동을 파악하고 식생활 정보에 대한 관심 수준을 조사하여 소비자의 식품 안전 요구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식품 안전 교육 방향을 제시하여 외식 및 식품 제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2년 9월20일부터 9월 28일까지 수도권과 충청도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하는 대학생을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550명의 자료를 본 연구 자료로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식품 안전 인지 및 실천 단계에 따른 소비자의 식품 위생 지식, 태도, 행동을 파악하고 식생활 정보에 대한 관심 수준을 조사하여 소비자의 식품 안전 요구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식품 안전 교육 방향을 제시하여 외식 및 식품 제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의 식품 안전 인지 및 실천 단계에 따른 소비자의 식품 위생 지식, 태도, 행동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조사대상자는 남자는 208명(37.8%), 여자는 342명(62.2%)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평균적으로 20.9세였으며, 조사대상자의 거주 지역은 수도권이 222명(40.00%)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계 소득의 분포는 백만원~이백만원 146명(26.5%), 이백만원~삼백만원 238명(43.3%), 삼백만원~사백만원 104명(18.9%), 사백만원이상 62명(11.3%)로 조사되었다. 2. 식품 안전 인지과 실천 수준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눈 결과 인식과 실천정도가 매우 낮은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1은 여자 40명(7.3%), 남자 29명(5.3%)이고 전체 조사대상자 중 12.5%를 차지하였다. 실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그룹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2에는 여자 257명(46.7%), 남자 154명(28.0%)가 속하며 전체 조사 대상자의 74.5%를 나타내어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식품 안전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천은 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안전에 대하여 인지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적극실천 집단’에는 여자 45명(8.2%), 남자 25명(4.5%)가 속하며 전체 응답자의 12.7%를 나타내었다. 3. 식품 안전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은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3이 69.6%로 가장 높았으며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2는 58.0%,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1에서도 24.6%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집단 간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4. 식품 위생에 대한 자가 지식 판정에서 ‘잘알거나 매우 잘안다’로 응답한 경우가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2는 7.2%,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3은 41.3%로 그룹1, 그룹 2, 그룹3 사이에 집단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1은 식품 안전정보에 대한 매우 낮은 관심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태도를 개선하려는 노력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식생활 정보에 대한 관심과 이해 정도는 모든 항목에서 세 집단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품 안전 인지·실천 그룹 1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면서 유기농식품, 무농약식품, 저농약식품, 로컬푸드, 슬로푸드, 로하스, 건강기능성식품, 영양성분표시, 유통기한표시, 원재료명 및 성분, 원산지표시 등에 대한 낮은 관심과 이해도를 나타내었다.
식품이 소비자에게 까지 가는 과정 중 생길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식품은 생산, 운반, 가공, 제조, 저장, 유통, 조리 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 식품공급체계를 거치면서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며 식품 안전 사건·사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최근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식품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소비자들에게 가는가? 식품은 생산, 운반, 가공, 제조, 저장, 유통, 조리 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 식품공급체계를 거치면서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며 식품 안전 사건·사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최근 더욱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 Nutr., 12(5):519-533 

  2. Choi JE, Kim YG. 2011.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rganic food: a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towards food safety.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7(4):153-168 

  3. Han WK,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4):23-34 

  4. Im RH. 2009. A study on worker's perceptio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and HACCP. MS Thesis, Kosin Univ. pp28-32 

  5. Jin HJ. 2006. S. Korean consumers' response in meat demand to public information regarding BSE outbreaks. Safe Food, 1:39-45 

  6. Jin BK, Jung IK, Kim JH. 2010. Study on the perception on food safe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28(2):1-12 

  7. Jin HJ, Song SW, Lee JM. 2012. The effects of Japan Fukushima nuclear plant incident on s. Korean consumers' responses to domestic marine products.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3(2): 27-39 

  8. Jolly DA, SchtzM HG, Diaz-Knauf KV, Johal J. 1989. Organic foods: consumer attitudes and use. Food technology, 11:60-66 

  9. Kang NE, Chung HK. 1992. A study on the sex bias in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preference and food roles in the family. Korean J. Food & Nutr., 5(1):33-40 

  10. Kim HC, Kim MR. 2005. Evaluation of knowledge and behaviors towards food safety and hygiene of children. J. Korean Living Sci. Assoc., 14(5):871-881 

  11. Kim JE. 2009. Perceptions of housewives in busan area toward the soundnes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after food accidents, MS Thesis, Kosin Univ. pp 1-2 

  12. Kim HC, KIm MR. 2009. Consumers' awareness of the risk elements associated with foo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regarding food safe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1):116-129 

  13. Kim J, Ha AW, Kang NE. 2010. Difference in table attitudes,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Korean J. Food & Nutr., 23(4):623-632 

  14. Kim MR, Kim HJ. 2012. Awarenes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regarding food hygiene and safety of college students in Yeungnam Region. J.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2(2):305-314 

  15. Lee JH. 2006.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sanitation in restaurants by consumers. Kosin J health Sci., 16:21-29 

  16. Pariza MW. 1989. Perception of food safety. A supplement to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89(9):A140-141 

  17. Park HJ, Bae HJ. 2006.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5(7):940-944 

  18. Park HO. 2002. The evaluation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Gyoonggi area.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 51-57 

  19. Park JY, Cjoi EH, Coi JH, Shim SK, Park HS, Park KH, Moon Hy, Ryu K. 2009.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s and practices. J. Fd Hyg. Safety, 24(1):1-11. 

  20. Park SS, Chong JY, Ham SY. 2008. Survey on actual status and recognition of food safe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9(2):33-46 

  21. Yo HJ. 2012. A development of Korean and Us university consumers' food safety attitude-behavior mode.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8(6):149-169 

  22. Yoon EJ, Seo SH. 2012. Differences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based on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149-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