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용매에 따른 폴리싸이오펜 치환체의 전기전도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Solvent Effect in the Coating of Conductive Polythiophene Derivative 원문보기

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6 no.4, 2011년, pp.290 - 294  

박나영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이성민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정대원 ((주)에버켐텍)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도성 고분자로 주목을 받고 있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는 분산 용매에 따라서 전기적 특성이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형으로 최근 시판되고 있는 PEDOT/PSS를 물, 에탄올 (EtOH), 에틸렌 글리콜 (EG)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에 분산시킨 용액을 PET 필름 상에 코팅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한 결과, EG 및 DMSO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약 100배 정도 더 낮은 표면 저항치를 나타내었다. 코팅된 필름의 열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을 TGA 및 XPS로 분석한 결과, 용매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분산액 자체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EG 및 DMSO 용액에서는 $1-3{\mu}m$ 정도의 입자로 존재하였으나, 물에서는 $0.1{\mu}m$ 이하의 미세 입자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적 특성의 차이는 분산 상태에서의 PEDOT/PSS 입자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rface resistance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which has appeared to be one of the most successful conductive polymers, is affected by the solvent. In this paper, pellet-type PEDOT/PSS was suspended in $H_2O$, ethanol (EtOH), ethylene glyc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결과와 같이, Orgacon을 물 또는 EtOH, EG, DMSO 등의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PET 필름에 코팅하여 얻어진 대전 방지용 필름의 전기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으나, 열적, 화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각의 용액상태에서의 입자의 양상을 분석하여 전기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입도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산액중의 입자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Figure 5에 나타내었다.
  • 최근 수분산 형태의 PEDOT/PSS에 대항하여 pellet 형태의 PEDOT/PSS (Orgacon pellet, 이하 Orgacon으로 약함)가 시제품 형태로 출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rgacon을 물 및 에탄올(EtOH), 에틸렌 글리콜(EG), DMSO 등의 유기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PET 필름에 캐스팅하여 얻어진 전도성 필름의 전기저항, 물리화학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을 비교하여 용매의 차이에 따른 전기 저항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DOT/PSS는 어떤 형태로 공급되는가? PEDOT/PSS의 상업적인 측면에서의 성공은 Bayer와 Agfa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PEDOT/PSS의 공급 역시 이 2개의 회사에 의해서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PEDOT/PSS는 물에 분산된 형태로 공급되며 분산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상업화 되어 있으며, 대전 방지 기능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를 이용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총설로서 잘 정리되어 있다.9 최근 Bayer사의 PEDOT/PSS 수분산 제품인 Baytron P를 이용하여 유기용매와의 혼합에 의한 전도도 변화를 연구한 바에 따르면 Baytron P에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DMSO)를 혼합한 용액으로부터 얻어진 필름의 전도도는, Baytron P 그 자체로부터 얻은 필름보다 10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못했으나, “screeneffect” 때문으로 추론하였다.
폴리아세틸렌 이후 도핑을 통해 전도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고분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절연체인 유기고분자화합물의 주쇄에 있는 sp2 혼성궤도의 탄소원자가 conjugated double bond를 갖는 polyene 화합물이 되면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이론적인 논문1이 발표된 이후로, 가볍고 필름 형태로 성형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최초의 전도성 고분자로 폴리아세틸렌에 관한 연구 결과2가 발표되었다. 그 후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3,4 폴리파라페닐렌, 폴리싸이오펜5 등도 적절한 도핑에 의해 전도성을 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금속 또는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로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절연체인 유기고분자화합물의 주쇄에 있는 sp2 혼성궤도의 탄소원자가 conjugated double bond를 갖는 polyene 화합물이 되면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이론적인 논문1이 발표된 이후로, 가볍고 필름 형태로 성형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최초의 전도성 고분자로 폴리아세틸렌에 관한 연구 결과2가 발표되었다. 그 후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3,4 폴리파라페닐렌, 폴리싸이오펜5 등도 적절한 도핑에 의해 전도성을 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금속 또는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로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W. A. Little, "Possibility of Synthesizing an Organic Superconductor", Phys. Rev. A., 134, 1416 (1964). 

  2. H. Shirakawa, E. Louis, A. McDiarmid, C. Chiang, and A. J. Heeger, "Synthesis of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Polymers: Halogen Derivatives of Polyacetylene, (CH)x", J. Chem. Soc. Chem. Commun., 578 (1977). 

  3. J. H. Hong and K. S. Ja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luble Polypyrrole with High Conductivity", J. Korean Ind. Eng. Chem., 18, 234 (2007). 

  4. Y. H. Lee, Y. W. Ju, H. R. Jung, Y. I. Huh, and W. J. Lee, "Preparation of Polypyrrole/Sulfonated-SEBS Conducting Composites Through an Inverted Emulsion Pathway", J. Ind. Eng. Chem., 11, 550 (2005). 

  5. J. M. Lee and K. H. Lim,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Conducting Polythiophene in an Ultrasonic Field", J. Ind. Eng. Chem., 6, 157 (2000). 

  6. H. Munstedt, "Ageing of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Materials", Polymer, 29, 296 (1988). 

  7. F. Louwet, L. Groenendaal, J. Dhaen, J. Manca, J. Van Luppen, E. Verdonck, and L. Leenders, "PEDOT/PSS: Synthesis, Characteriz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Synth. Met., 135, 115 (2003). 

  8. F. Jonas and J. T. Morrison, "3,4-Polyethylenedioxythiophene (PEDT): Conductive Coatings Technical Applications and Properties", Synth. Met., 85, 1397 (1997). 

  9. L. Groenendaal, F. Jonas, D. Freitag, H. Pielartzik, and J. R. Reynold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and Its Derivatives: Past, Present, and Future", Adv. Mater., 12, 481 (2000). 

  10. J. Y. Kim, J. H. Jung, D. E. Lee, and J. Joo. "Enhanc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4-styrenesulfonate) by a Change of Solvents", Synth. Met., 126, 311 (2002). 

  11. S. Ashizawa, R. Horikawa, and H. Okuzaki, "Effects of Solvent on Carrier Transport in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4-styrenesulfonate)", Synth. Met., 153, 5 (2005). 

  12. M. M. Ayad and M. A. Shenashin, "Film Thickness Studies for the Chemically Synthesized Conducting Polyaniline", Eur. Polym. J., 39, 1319 (2003). 

  13. Y. Zhu, S. Xu, L. Jiang, K. Pan, and Y. Da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thiophene/Titanium Dioxide Composites", React. Funct. Polymers, 68, 1492 (2008). 

  14. G. Greczynski, T. Kugler, and W. R. Salaneck, "Characterization of The PEDOT-PSS System by Means of X-ray and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in Solid Films, 354, 129 (1999). 

  15. D. Chung and Y. T. Park, "The Study 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roperties of Graphite-Nylon6 Composite", J. Korean Ind. Eng. Chem., 11, 239 (20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