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 옥사이드의 환원 반응에 적용되는 3종류 환원제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ree Kinds of Reductants Applicable for th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1, 2015년, pp.99 - 103  

박노일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박완수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이슬비 ((주)에버켐텍) ,  이성민 ((주)에버켐텍) ,  정대원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옥사이드(GO)의 환원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3종류의 환원제를 사용하여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RGO)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3종류 RGO의 화학적 구조를 비교/분석하여 구조적 특징에 따른 전도도 및 분산성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Ethylene glycol을 사용한 경우에는 환원도가 낮고 전도도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에 hydrazine과 thiourea dioxide (TU)를 사용하여 합성한 RGO에서는 환원 정도, 전도도 및 물에서의 분산성 등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N-methylpyrrolidone에서의 분산성은 TU에 의해 합성된 RGO에서 가장 우수하여 4개월 후에도 안정적인 분산액을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reduction reactions of graphene oxide (GO) using three selected reductants. The conductivity and solubility of three kinds of the reduced graphene oxides (RGOs) were examined based on the degree of reduction. When the ethylene glycol (EG) was used as a reductant, the reduction reac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논문에서는, 독성이 없으며 실온에서도 환원반응이 가능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thiourea dioxide (TU)[10,11] 및 환경친화적 양자성 용매(protic solvent)이며 마일드한 환원제인 ethylene glycol (EG)[12]을 환원제로 사용하여 각각의 RGO를 제조하고 GO의 환원 반응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HZ에 의하여 합성된 RGO와 비교/검토하여 각각의 구조적 특징 및 그에 따른 분산성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환원제로 사용된 hydrazine monohydrate (80.0%)와 ethylene glycol(99.5%)은 Samchun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thiourea dioxide(≥ 98.0%)는 Sigma Aldrich로부터 구입하였다. RGO-TU반응에 필요한 potassium hydroxide (≥ 85%)는 Junsei로부터 구입하였다.

이론/모형

  • RGO-TU반응에 필요한 potassium hydroxide (≥ 85%)는 Junsei로부터 구입하였다. GO는 Modified Hummer’s Method[13]를 약간 수정하여 제조하였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래핀이란 무엇인가? 그래핀(graphene)은 탄소 원자들이 sp2 결합으로 벌집모양의 배열을 이루면서 원자 한 층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성 물질로서, 열적, 기계적 특성 또한 매우 우수하여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신소재이다[1-3].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식은 bottom-up 및 top-down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bottom-up 방식은 탄소 원자로부터 그래핀을 조립하는(build) 방식이며, top-down 방식은 흑연에서부터 그래핀 층을 뽑아내는(extract) 방식이다.
top-down 방식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식은 bottom-up 및 top-down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bottom-up 방식은 탄소 원자로부터 그래핀을 조립하는(build) 방식이며, top-down 방식은 흑연에서부터 그래핀 층을 뽑아내는(extract) 방식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그래핀 각 층 사이의 강한 ππ interaction 때문에 그래핀 층을 뽑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흑연을 산화시킨 산화물(graphene oxide, GO) 형태로 만든 후, 이를 환원시켜 환원 GO (reduced GO, RGO)로 변형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GO의 환원 반응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어떤 방식이 사용되는가? GO의 환원 반응을 위해서는 환원제가 필요하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hydrazine (HZ)을 사용하는 방식이다[4]. 이외에도 화학반응에서 환원제로 사용되어온 다양한 물질들이 GO의 환원 반응에 적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 K. Geim and K. S. Novoselov, The rise of graphene, Nat. Mater., 6, 183-191 (2007). 

  2. Y. W. Zhu, S. T. Murali, W. W. Cai, X. S. Li, J. W. Suk, J. R. Potts, and R. S. Ruoff, Graphene and Graphene Oxide: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Adv. Mater., 22, 3906-3924 (2010). 

  3. J. R. Potts, D. R. Dreyer, C. W. Bielawski, and R. S. Ruoff, Graphene-based polymer nanocomposites, Polymer, 52, 5-25 (2011). 

  4. S. Stankovich, D. A. Dikin, R. D. Piner, K. A. Kohlhaas, A. Kleinhammes, Y. Jia, Y. Wu, S. T. Nguyen, and R. S. Ruoff, Synthesis of graphene-based nanosheets via chemical reduction of exfoliated graphite oxide, Carbon, 45, 1558-1565 (2007). 

  5. A. Esfandiar, O. Akhavan, and A. Irajizad, Melatonin as a powerful bio-antioxidant for reduction of graphene oxide, J. Mater. Chem., 21, 10907-10914 (2011). 

  6. M. J. Fernandez-Merino, L. Guardia, J. I. Paredes, S. Villar-Rodil, P. Solis-Fernandez, A. Martinez-Alonso, and J. M. D. Tascon, Vitamin C Is an Ideal Substitute for Hydrazine in th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Suspensions, J. Phys. Chem. C, 114, 6426-6432 (2010). 

  7. J. Gao, F. Liu, Y. L. Liu, N. Ma, Z. Q. Wang, and X. Zhang, Environment-Friendly Method To Produce Graphene That Employs Vitamin C and Amino Acid, Chem. Mater., 22, 2213-2218 (2010). 

  8. Y. Wang, Z. X. Shi, and J. Yin, Facile Synthesis of Soluble Graphene via a Green Reduction of Graphene Oxide in Tea Solution and Its Biocomposites, ACS Appl. Mater. Interfaces, 3, 1127-1133 (2011). 

  9. O. Akhavan, M. Kalaee, Z. S. Alavi, S. M. A. Ghiasi, and A. Esfandiar, Increas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s in the presence of iron for th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Carbon, 50, 3015-3025 (2012). 

  10. C. K. Chua, A. Ambrosi, and M. Pumera, Graphene oxide reduction by standard industrial reducing agent: thiourea dioxide, J. Mater. Chem., 22, 11054-11061 (2012). 

  11. N. Pan, D. Guan, Y. Yang, Z. Huang, R. Wang, Y. Jin, and C. Xia, A rapid low-temperature synthetic method leading to large-scale carboxyl graphene, Chem. Eng. J., 236, 471-479 (2014). 

  12. Y. Liu, Y. Zhang, G. Ma, Z. Wang, K. Liu, and H. Liu, Ethylene glycol reduced graphene oxide/polypyrrole composite for supercapacitor, Electrochim. Acta., 88, 519-525 (2013). 

  13. B. Yin, Q. Liu, L. Y. Yang, X. M. Wu, Z. F. Liu, Y. L. Hua, S. G. Yin, and Y. S. Chen, Buffer Layer of PEDOT:PSS/Graphene Composite for Polymer Solar Cells, J. Nanosci. Nanotechnol., 10, 1934-1938 (2010). 

  14. N. I. Park, S. B. Lee, S. M. Lee, and D. W. Chu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DOT/PSS Hybrid with Graphene Derivative Wrapped by Water-soluble Polymer, Appl. Chem. Eng., 25, 581-585 (2014). 

  15. Z. Mou, X. Chen, Y. Du, X. Wang, P. Yang, and S. Wang, Forming mechanism of nitrogen doped graphene prepared by thermal solid-state reaction of graphite oxide and urea, Surf. Sci. Rep., 258, 1704-1710 (2011). 

  16. L. M. Malard, M. A. Pimenta, G. Dresselhaus, and M. S. Dresselhaus, Raman spectroscopy in graphene, Phys. Rep., 473, 51-87 (2009). 

  17. M. S. Dresselhaus, A. Jorio, M. Hofmann, G. Dresselhaus, and R. Saito, Perspectives on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Raman spectroscopy, Nano Lett., 10, 751-758 (2010). 

  18. D. Zhan, Z. Ni, W. Chen, L. Sun, Z. Luo, L. Lai, T. Yu, A. T. S. Wee, and Z. Shen, Electronic structure of graphite oxide and thermally reduced graphite oxide, Carbon, 49, 1362-1366 (2011). 

  19. S. Stankovich, D. A. Dikin, R. D. Piner, K. A. Kohlhaas, A. Kleinhammers, Y. Y. Jia, Y. Wu, S. T. Nguyen, and R. S. Ruoff, Synthesis of graphene-based nanosheets via chemical reduction of exfoliated graphite oxide, Carbon, 45, 1558-156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