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상한의사 처방의 약물 배합 빈도 분석
Analysis of Herbal combination frequence on Clicical Herbal formulatio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9 no.2, 2011년, pp.1 - 10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이태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이병욱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ince its enactment in 1987, the 56 standard prescriptions covered by insurance have remained unchanged from its original vers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discover most frequently used herbal combinations by analyzing prescriptions used in actual clinical settings. Methods : We hav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러나 이상의 연구들은 현재 한방의료보험의 급여 항목인 고시처방에 대한 문제점과 사용실태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고시처방의 변경이나 추가에 필요한 방법을 직접 제시하지 않아 제도 개선에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실제 임상에 자주 사용되는 처방에 대한 연구조사를 통하여 치료용 첩약 의료보험의 시행에 앞서 현재 보험급여에 포함되어있는 56종 처방의 변경 혹은 확대에 필요한 기초자료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초 조합을 분석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9)고 하여 56종의 기준 처방의 문제를 지적하였고 문제 해결을 위한 기성 방제의 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 방제명에 의존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1) 임상처방에 사용된 정보 중 본초의 분량부분은 분석하지 않고, 본초의 종류에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04개의 본초가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본초는 炮製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253종이 사용 되었다. 따라서 첫째 2개 조합의 생성의 대상이 되는 1개의 조합의 최소 빈도 수는 아래와 같이 99개 이상의 빈도를 나타내는 본초에 24개에 대하여 2개의 조합을 생성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초의 조합별 평균 빈도수와 표준편차 및 최소 검색대상 빈도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 수집된 672건의 처방에서 각 조합별 상위 5위에 해당하는 조합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 한국한의학연구원의 Oasis 시스템에서 ‘한약제제’, ‘복합과립제’, ‘본초 조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한약제제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조사한 뒤 관련성이 많은 6건의 논문과 본초 조합의 분석에 관한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통계자료 중 200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56종 혼합엑스산제 처방 실적 자료를 참고 하였고, 2004년 원광대학교에서 수행한 한약제제 재평가 도입방안 연구(식품의약품 안정청 과제)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참고하였다.
  • 한방의료는 1984년 12월 청주와 청원 지역의 한방의료보험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래, 1987년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1). 그러나 1995년부터 이미 94년 8월 1일 기준으로 56개의 처방과 68종의 단미엑스산제에 대하여 급여를 제공하고 56개의 고시 처방중 16개의 처방에만 가미를 가능하도록 규정한 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제기한 연구1)가 있었고, 이후 한약제제에 대한 제약업계의 인식2), 한약제제의 보험급여 대상 병증, 약물사용평가 시스템 구축, 복합과립제 건강보험 급여 시행 방안 등에 관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 1) 연구 대상본 연구에서는 총 713건의 처방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중 127건의 데이터는 手記 處方箋의 형태였으며, 40건은 전자차트의 처방전을 출력한 형태, 546건은 텍스트 파일형태로 수집되었다.
  • 1) 연구 대상본 연구에서는 총 713건의 처방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중 127건의 데이터는 手記 處方箋의 형태였으며, 40건은 전자차트의 처방전을 출력한 형태, 546건은 텍스트 파일형태로 수집되었다.
  • (2) 713건의 처방 중 실재 본초의 정보가 기재되어있는 672건의 처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 672건의 처방에서는 평균 13.04개의 본초가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본초는 炮製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253종이 사용 되었다. 따라서 첫째 2개 조합의 생성의 대상이 되는 1개의 조합의 최소 빈도 수는 아래와 같이 99개 이상의 빈도를 나타내는 본초에 24개에 대하여 2개의 조합을 생성하여 분석을 하였다.

이론/모형

  • 2) 분석 방법 임상처방의 본초구성의 분석 방법은 방약합편수록 처방 내의 약물 조합 빈도 연구11)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으며, 분석된 본초의 조합에 대한 해설은 동의보감 월국환가미방의 방제학적 분석12)에서 제시한 시스템을 참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의료보험 시범사업의 실시 시기는? 한방의료는 1984년 12월 청주와 청원 지역의 한방의료보험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래, 1987년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1). 그러나 1995년부터 이미 94년 8월 1일 기준으로 56개의 처방과 68종의 단미엑스산제에 대하여 급여를 제공하고 56개의 고시 처방중 16개의 처방에만 가미를 가능하도록 규정한 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제기한 연구1)가 있었고, 이후 한약제제에 대한 제약업계의 인식2), 한약제제의 보험급여 대상 병증, 약물사용평가 시스템 구축, 복합과립제 건강보험 급여 시행 방안 등에 관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건강보험의 한방 영역의 보장성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는? 또한 2011년 3월 9일 개최된 ‘건강보험! 한방 보장성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열린 한방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도 건강보험의 한방 영역의 보장성에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들은 현재 한방의료보험의 급여 항목인 고시처방에 대한 문제점과 사용실태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고시처방의 변경이나 추가에 필요한 방법을 직접 제시하지 않아 제도 개선에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실제 임상에 자주 사용되는 처방에 대한 연구조사를 통하여 치료용 첩약 의료보험의 시행에 앞서 현재 보험급여에 포함되어있는 56종 처방의 변경 혹은 확대에 필요한 기초자료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초 조합을 분석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건강보험! 한방 보장성 이대로 좋은가' 주제의 토론회가 개최된 시기는? 그러나 1995년부터 이미 94년 8월 1일 기준으로 56개의 처방과 68종의 단미엑스산제에 대하여 급여를 제공하고 56개의 고시 처방중 16개의 처방에만 가미를 가능하도록 규정한 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제기한 연구1)가 있었고, 이후 한약제제에 대한 제약업계의 인식2), 한약제제의 보험급여 대상 병증, 약물사용평가 시스템 구축, 복합과립제 건강보험 급여 시행 방안 등에 관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2011년 3월 9일 개최된 ‘건강보험! 한방 보장성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열린 한방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도 건강보험의 한방 영역의 보장성에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들은 현재 한방의료보험의 급여 항목인 고시처방에 대한 문제점과 사용실태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고시처방의 변경이나 추가에 필요한 방법을 직접 제시하지 않아 제도 개선에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서부일, 김선희. 한방의료보험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서의학. 1995;20(3):3-20. 

  2. 신현규, 김윤경, 강창희, 최선미. 제약업계의 한약제제 연구개발 현황 및 허가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1;7(1):77-84. 

  3. 김윤경, 안상우, 김홍준, 최환수. 한약제제의 권리보호에 대한 초보적인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4;10(1):81-95. 

  4. 박혜정, 오문수, 김은정, 이상규, 박성규, 김윤경. 한약제제 보험급여 주상병과 처방분석. 대한본초학회지. 2006;21(4):1-10. 

  5. http://sasis.kiom.re.kr/portal/stastistics/list.jsp?ct_idx31&nPage1#(검색일: 2011.06.13) 

  6. 김정훈, 이병욱. 본초 조합을 이용한 방제의 유방분석 DB 구축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21(1):123-41. 

  7. 이병욱외 1인. 인터넷상 동의보감 방제의 약물구성 계보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사학지. 2008;21:41-7. 

  8. 고호현, 장보형, 선승호, 전찬용, 박종형, 권동렬, 오미현, 정희, 고성규. 약물사용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약제제의 실태 조사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3):9-20. 

  9. 권동렬. 한약제제 재평가 도입방안 연구. 1.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6. 

  10. http://www.akomnews.com/subpage/detail.php? codeA001&uid62818&nowpage1&page/news/all.php (검색일2011.06.13.) 

  11. 백진웅, 이병욱. 방약합편 수록 처방 내의 약물 조합 빈도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1;24(4):55-67. 

  12. 박성규, 변성희, 이병욱, 김상찬. 동의보감 월국환가미방의 방제학적 분석.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1;19(1):79-9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