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소성 준설토의 동다짐 에너지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Dynamic Compaction Energy for a Non-plastic Dredged Soil 원문보기

구조물진단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15 no.6 = no.70, 2011년, pp.110 - 117  

황성춘 (경주대학교 건축.토목공학과) ,  윤상천 (경주대학교 건축.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만 및 공장용지 확보를 위한 해안 매립 시 해저 펌프준설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준설토를 활용하고 있으며, 육상의 경우에도 조립준설토를 성토재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서해안 지역의 해저바닥에 분포하는 원지반은 실트질 모래 또는 모래질 실트가 남해안과 동해안에 비해서 많이 분포하고 있고, 다른 연안에 비해 입자 또한 크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준설토는 침강과 압밀의 과정도 준설점토와 다른 거동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지역의 비소성준설토를 매립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해안(새만금)지역의 준설매립지반에 대해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동다짐 에너지 변화에 따른 원지반의 상대밀도 및 N값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을 제안하고, 효율적인 지반설계를 위한 동다짐 에너지를 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hore landfill projects use undersea pump dredging method for construction of airport and factory site. Coarse grain soil from the dredging is considered for use at inland. West sea shore bottom consists of primarily coarser grained silt-sand and this component contains far more percentage tha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해안의 새만금 지역에 있어서의 준설매립지반에 대해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동다짐 에너지 변화에 따른 원지반의 상대밀도 및 N값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을 제안하고, 효율적인 지반설계를 위한 동다짐 에너지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만 및 공장용지 확보를 위한 해안 매립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준설토를 활용하는가? 항만 및 공장용지 확보를 위한 해안 매립시 해저 펌프 준설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준설토를 활용하고 있으며, 육상의 경우에도 조립준설토를 성토재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이송 등, 2001). 이러한 준설매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준설 지역이 점점 해상으로 확장되고 준설과 매립심도도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Tamping시 정적하중에 비해 과잉간극수압의 소산시간이 매우 짧은 이유는 무엇인가? Tamping으로 인하여 지반내에는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고 타격종료 후에도 잔류하게 되지만 정적하중에 비해 과잉간극수압의 소산시간이 매우 짧다. 이러한 원인은 동다짐 작업시 고체조직이 흐트러지면서 새로운 균열이 생기고 인위적인 간극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흙의 투수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준설구역에서 해저 준설토는 어떤 상태로 퇴적층을 구성하는가? 이러한 준설매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준설 지역이 점점 해상으로 확장되고 준설과 매립심도도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준설구역은 조수간만과 유역변화, 해저수심의 변화 등이 준설구역 주변 토사의 퇴적형상 및 퇴적이력을 변화시켜 해저 준설토는 입경이 큰 미고결 조립 실트층과 세립실트가 혼재되어 비소성 상태로 퇴적층을 구성하고 있다. 서해안 지역의 해저바닥에 분포하는 원지반은 실트질 모래 또는 모래질 실트가 남해안과 동해안에 비해서 많이 분포하고 있고, 다른 연안에 비해 입자 또한 크다(이송 등,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이송, 심민보, "비소성 준설토의 침강 및 퇴적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7권 제2호, 2001, pp.113-122. 

  2. 이송, 양태선, 황규호, "준설 매립 연약지반의 자중압밀 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4권 제4호, 1994, pp.953-964. 

  3. 이승호, 이정학, "서해안 준설토의 침강압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12권 제5호, 2011, pp.29-36. 

  4. 김종국, 채영수, "동다짐 공법이 적용된 준설매립지반의 개량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2권 제5 호, 2006, pp.13-26. 

  5. 천병식, "동다짐에 의한 폐기물 매립장의 유효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2000, pp.71-78. 

  6. Monte, J. L. and Krizek, R. J., "One Dimensional Methematical Model for Large Strain Consolidation", Geotechnique, vol. 26, No. 3, 1976, pp.495-510. 

  7. Been, K. & Sills, G. C., "Self-Weight Consolidation of Soft Soils: An Experiment and Theoretical Study", Geotechnique, vol. 31, 1981, pp.519-535. 

  8. Lin, T. W. and Lohnes, R. A., "Sedimentation and Self Weight Consolidation of Dredged Spoil", Conference Proceeding ASCE, 1981, pp.464-480. 

  9. Menard, L. and Broise, Y.,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Dynamic Consolidation", Geotechnique, vol. 25, No. 1, 1975, pp.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