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르와 레지스터 분석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Earth Science Themes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1, 2011년, pp.84 - 98  

차현정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맹승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장르 분석 및 레지스터 분석을 통해 중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7,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 온난화'와 '암석의 분류' 주제 글쓰기를 실시하여 얻은 학생들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장르별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논설장르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내용과 논리관계의 특징으로 정의나 분류와 같이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 관련시키는 관계적 술어보다는 행동 및 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상적 술어와 부가적 논리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상호관계적 표현의 특징으로 글 속에서 글의 주체, 글쓴이의 감정, 주관적 의견들이 많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불확실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텍스트 구성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가 접속사를 통해 단편적인 정보들을 나열하였으며,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글을 쓰는데 익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가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차원에서 체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향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the themes of earth science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Data for analysis included $7^{th}$ grade and $9^{th}$ grade students' writings about 'global warming' and 'cla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르 및 레지스터 분석을 통하여 중학교 1, 3학년 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에 나타나는 장르 특징, 레지스터 특징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 분석 결과의 신뢰성: 분석 과정에서 공동 및 동료 연구자 간의 검토(peer-debriefing) 및 시간차를 두고 재분석함으로써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첫째, 학생 글의 분석 결과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료 연구진과 함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한 달에 약 두세 번 정도의 동료 연구진간의 검토(peerdebriefing)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장르별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논설장르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내용과 논리관계의 특징으로 정의나 분류와 같이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 관련시키는 관계적 술어보다는 행동 및 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상적 술어와 부가적 논리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상호관계적 표현의 특징으로 글 속에서 글의 주체, 글쓴이의 감정, 주관적 의견들이 많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불확실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텍스트 구성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가 접속사를 통해 단편적인 정보들을 나열하였으며,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글을 쓰는데 익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가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차원에서 체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향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장르는 글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문화가 관념적, 대인적, 텍스트적 의미를 조직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으며(맹승호, 2008; Martin, 2009), 텍스트에는 그러한 사회문화적 맥락이 반영되기 때문에 사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장르가 나타나게 된다 (Chrisitie, 2002). 레지스터는 사회적 맥락에서 글 속에 내재되어 있는 특정한 상황 맥락(context of situation in text)을 의미하며(맹승호, 2008; Halliday and Mathiessen, 2004) 사회적 맥락 안에서 언어의 문법적 조직을 통해 언어가 갖는 기능과 언어가 형성하는 의미를 포함하게 된다(Martin, 1997). 따라서 장르 및 레지스터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석을 통해, 글 속에서 표현된 언어의 총체적인 맥락을 파악할수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문화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특정한 행동 유형을 촉진시키는 텍스트로서 그의미들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alliday and Martin, 1993; Wells, 1999).
과학 글쓰기는 무엇인가? 또한 학생들은 과학적으로 글을 쓰는 활동을 통해 과학 공동체 내에서 의사소통하고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을 배우며(Schleppegrell, 2004), 학습 과정에서 접한 과학 현상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새롭게 구성하여 표현하게 되므로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반추해볼 수 있다(남정희 외, 2008). 즉, 과학 글쓰기는 과학 공동체내에서 의사소통의 한방식이며 과학 글쓰기 자체가 과학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고 문화를 습득하는 사회적 활동이다(Airasian and Walsh, 1997; Bazerman, 1988). 따라서 과학 학습에서의 글쓰기는 과학 내용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거나 평가에 이용되는 수단뿐만 아니라 과학 학습의 한 부분으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144-154.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 89 p. 

  3. 김희경, 강태욱, 송진웅, 200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단원 실험의 특징. 새물리, 47, 387-394. 

  4.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1272-1282. 

  5.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922-936. 

  6. 맹승호, 2008, 수업 담화 장르에 기반한 광물과 암석 단원 과학 수업의 양태 변화: 담화 리지스터와 언어 코드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08 p. 

  7. 맹승호, 신명환, 차현정, 함석진, 신현정, 김찬종, 2010,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스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785-797. 

  8. 박지영, 신영준, 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선호 유형 조사-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 600-609. 

  9. 박희진, 권난주, 2008, 초등학생의 과학일기 유형 분석 및 일기 쓰기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519-526. 

  10. 신미영, 최승언, 2008,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9, 341-351. 

  11.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140-156. 

  12.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344 p. 

  13. 이호진, 최경희, 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 421-435. 

  14. 정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1008-1017. 

  15. Airasian, P.W. and Walsh, M.E., 1997, Constructivist cautious. Phi Delta Kappan, 78, 444-449. 

  16. Bazerman, C., 1988, Shaping written knowledge: The genre and activity of the experimental article in scienc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WI, USA, 356 p. 

  17. Christie, F., 2002,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A functional perspective. Continuum, NY, USA, 196 p. 

  18. Driver, R., Newton, P., and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 287-312. 

  19.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ntinuum, London, UK, 384 p. 

  20.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 335-347. 

  21.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491-520. 

  22. Fellows, N.J., 1994, A window into thinking: Using student writing to underst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985-1001. 

  23. Gallavan, N.P., Bowles, F.A., and Young, C.T., 2007, Learning to write and writing to learn: Insights from teacher candidate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9, 61-69. 

  24. Gee, J.P., 2005, An introduction to discourse analysis: Theory and method. Routledge, NY, USA, 209 p. 

  25. Glynn, S.M. and Muth, K.D., 1994, Reading and writing to learn science: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057-1073. 

  26. Halliday, M.A.K. and Matthiessen, C.M.I.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Arnold, London, UK, 689 p. 

  27. Halliday, M.A.K. and Martin, J.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ittsburgh, USA, 283 p. 

  28. Holliday, W.G., Yore, L.D., and Alvermann, D.E.,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877-893. 

  29. Kearsey, J. and Turner S., 1999, The value of bilingualism in pupil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1037-1050. 

  30. Kelly, G.J. and Bazerman, C., 2003, How students argue scientific claims: A rhetorical-semantic analysis. Applied Linguistics, 24, 28-55. 

  31. Kelly, G.J., Chen, C., and Prothero, W., 2000, The epistemological framing of a discipline: Writing science in university oceanograph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691-718. 

  32. Keys, C.W., 1994,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conjunction with collaborative writing assignments: An interpretive study of six ninth-grad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003-1022. 

  33. Keys, C.W., 1999, Language as an indicator of meaning generation: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ten discourse about scientific investig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1044-1061. 

  34.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J, USA, 261 p. 

  35. Martin, J.R., 1997, Analyzing genre: Functional parameters. In Christie, F. and Martin, J.R. (eds.), Genre and institutions: Social processes in the workplace and school. Continuum, NY, USA, 161-195. 

  36. Martin, J.R., 2009, Genre and language learning: A social semiotic perspective. Linguistics and Education, 20, 10-21. 

  37. Martin, J.R. and Rose, D., 2003, Working with discourse:Meaning beyond the clause. Continuum, London, UK, 293 p. 

  38. Moje, E.B., Collazo, T., Carrillo, R., and Marx, R.W., 2001, “Maestro, what is ‘quality’?”: Language, literacy, and discourse in project-based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469-498. 

  39. Newton, P., Driver, R., and O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553-576. 

  40. Norris, S.P. and Phillips, L.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 224-240. 

  41. Osborne, J., Erduron, S., and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994-1020. 

  42. Peker, D. and Wallace, C.S., 2011, Characterizing high school students’ written explanations in biology laborator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 169-191. 

  43. Rivard, L.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969-983. 

  44. Roth, W.M. and Barton, A.C., 2004, Rethinking scientific literacy. RoutledgeFalmer, NY, USA, 227 p. 

  45. Schleppegrell, M.J., 2004,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J, USA, 190 p. 

  46. Shin, H.J., Ham, S.J., Cha, H.J., Maeng, S.H., Shin, M.H., and Kim, C.J., 2009, Genre analysis of texts in science textbooks and science treatises as a starting point of teaching scientific writ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ast-Asian Science Education, p. 151. 

  47. The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New Zealand curriculum: Achievement objectives by learning area. Learning Media Limited, Wellington, New Zealand, 30 p. 

  48. Unsworth, L., 1999, Developing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specialised language of school science and history text: A functional grammatical perspective. Journal of Adolescent and Adult Literacy, 42, 508-521. 

  49. Veel, R., 1997, Learning how to mean scientifically speaking: Apprenticeship into scientific discourse in the secondary school. In Christie, F. and Martin, J.R. (eds.), Genre and institutions: Social processes in the workplace and school. Continuum, NY, USA, 161-195. 

  50. Vygotsky, L.S., 1981, The instrumental method in psychology. In Wertsch, J.V. (ed.), The concept of activity in soviet psychology. M.E. Sharpe, NY, USA, 134-143. 

  51. Wellington, J. and Ireson, R., 2008, Science learning, science teaching. Routledge, London, UK, 351 p. 

  52. Wellington, J. and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UK, 152 p. 

  53. Wells, C.G., 1999, Dialogic inquiry: Toward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392 p. 

  54. Westby, C. and Torres-Valasquez, D., 2000,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A sociocultural approach.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1, 101-110. 

  55. Young, R.F. and Nguyen, H.T., 2002, Modes of meaning in high school science. Applied Linguistics, 23, 348-3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