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스터 분석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rth Science Treatises: Register Analysis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7, 2010년, pp.785 - 797  

맹승호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  신명환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차현정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함석진 (육군사관학교 건설환경학과) ,  신현정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 논문 레지스터를 분석하여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자료로 지질과학, 대기과학, 해양과학의 한국어 논문 1편씩을 선정하였다. 지구과학 논문 레지스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부와 설명부 간의 의미적, 지시적 연결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가 제시하려는 메시지와 요점이 통일적으로 응집력 있게 제시되었다. 둘째, 각 텍스트의 장르 요소에 따라 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 관계 및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술어들이 사용되었으며, 논리적 관계는 접속어구보다는 술어의 유형을 통해 표현되었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 텍스트에서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식적 술어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의 해석과 설명 및 주장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약한 상호관계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생들이 과학 학습 과정에서 과학 텍스트에 대한 문해 능력을 높이고, 과학자들의 지식 구성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 글에서 각 문장을 구성하는 주제부와 설명부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고, 술어의 유형에 따라 논리적 관계를 조사하는 과학 언어 풀어내기 활동이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rth science treati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gister. Data included three Korean treatises that were in geology, atmospheric science, and oceanography. The register of Earth science treatise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emantic, refe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과학자들의 사회적 언어로서 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을 세 편의 대표적인 지구과학 논문을 대상으로 과학 논문 레지스터의 관점에 근거하여 분석하여, 지구과학 논문 텍스트의 문법적, 구조적 특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전체 지구과학 논문 텍스트의 언어 특성을 대표하지는 않더라도, 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이상의 논의를 근거로 이 연구에서는 과학자들 간의 의사소통 맥락의 텍스트로서, 과학의 언어 특성을 전형적으로 담고 있는 과학 논문의 레지스터를 분석하여 과학의 언어가 가진 문법적, 구조적 특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과학의 문화에 친숙해지고 과학에 더 가까워질 수 있게 해 주는 과학의 언어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과학 교육과정에 과학의 언어 활용 능력 함양을 포함하고,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수 내용과 학습 지침을 제시해 주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제시된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은 학생들의 과학 글에 제시된 언어 특성(정은숙과 김찬종, 2010; 차현정, 2010)이나 초중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언어 특성(신명환 외, 2010)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 이 연구에서 텍스트 구성적 의미는 문장을 구성하는 각 절의 주제부 간의 연결 관계로 형성되는 메시지의 전개 과정과, 설명부의 새 정보 간의 연결 관계로 형성되는 주요 요점의 전개 과정을 통해 파악되었다. 즉, 텍스트 내에서 각 절의 메시지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전개되는가, 그리고 각 절에 담긴 주요 요점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전개되는가를 통해 텍스트 전체적인 구성과 통일성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 이상의 자료 분석 방법을 종합하여 이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논문의 텍스트를 그 맥락에 따라 장르를 구분하고, 각 장르를 구성하는 각 문장에서 구현되는 텍스트 구성적 의미, 내용과 논리 관계적 의미, 상호 관계적 의미를 분석하여 해당 텍스트의 레지스터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텍스트 분석은 해당 논문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보다는 레지스터의 관점에서 논문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을 재해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공동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수행한 1차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장르 구분, 각 문장들의 주제부와 설명부의 구분 및 주제부/설명부 간의 연결을 통한 의미 구성 결과, 술어 동사의 유형에 대한 해석, 각 문장의 서법 해석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 지속적인 검토 과정을 거쳤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 논문 레지스터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구과학 논문 레지스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부와 설명부 간의 의미적, 지시적 연결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가 제시하려는 메시지와 요점이 통일적으로 응집력 있게 제시되었다. 둘째, 각 텍스트의 장르 요소에 따라 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 관계 및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술어들이 사용되었으며, 논리적 관계는 접속어구보다는 술어의 유형을 통해 표현되었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 텍스트에서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식적 술어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의 해석과 설명 및 주장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약한 상호관계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생들이 과학 학습 과정에서 과학 텍스트에 대한 문해 능력을 높이고, 과학자들의 지식 구성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 글에서 각 문장을 구성하는 주제부와 설명부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고, 술어의 유형에 따라 논리적 관계를 조사하는 과학 언어 풀어내기 활동이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레지스터의 정의는 무엇인가? 과학의 언어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언어학계에서는 레지스터(register) 이론을 도입하여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과학 텍스트의 언어 특성을 규명한 바 있다(Fang, 2005, 2006; Fang and Schleppegrell, 2008; Halliday and Martin, 1993). 레지스터는 “언어가 사용되는 특정한 상황적 맥락에서 구성되는 의미들의 조합 또는 그 의미들을 표현하는 용어(어휘)와 문법(구조)의 구성 형태(configuration)”를 말한다(Christie, 2002; Halliday and Mathiessen, 2004; Martin and Rose, 2003; Schleppegrell, 2004). 즉, 레지스터는 특정한 상황 맥락에서 사용되는 어휘의 선택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논증을 전개하는 방법은 물론 그 상황에서 구성되는 의미의 새로운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Schleppegrell, 2004).
과학 지식을 표현하는 과학 텍스트의 장르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즉, 하나의 장르에는 의미를 가진 여러 단계가 있으며, 장르의 각 단계가 전개됨에 따라 텍스트가 제시되는 맥락에 부합하는 목적을 저자와 독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달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과학 지식을 표현하는 과학 텍스트의 장르로는 실험이나 관찰의 단계와 과정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진 절차(procedure), 수행한 과학 활동의 목표, 단계, 결과를 순서에 따라 자세히 서술하기 위한 상술(detailing), 과학적 현상의 발생 계열, 그 현상의 원인, 결과 등을 설명하려는 설명(explanation), 대상이나 현상의 속성, 성질, 개념 등에 대한 기술을 목적으로 하는 보고(reporting), 과학적 현상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도록 설득하기 위한 논설(exposition) 및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 대해 특정한 입장을 제시하고 논의하기 위한 토의(discussion) 등이 있다(Martin and Rose, 2003; Veel, 1997). 이와 같은 텍스트의 장르 구분은 문학에서 시, 소설, 수필, 희곡 등과 같이 글의 전체적인 구성을 파악하는 거시적인 구분이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 내에서 다양하게 제시되는 맥락들의 특성에 따라 구별되는 미시적인 분류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922-936. 

  2. 맹승호, 이정아, 김찬종, 2007, 지구과학 논문과 지구과학교과서 텍스트의 과학 언어적 특성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367-378. 

  3. 박종원, 2010, 과학문장 읽기를 통한 학생들의 과학적 이해과정 분석: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27-41. 

  4. 방소영, 최재천, 박상순, 조경숙, 오성남, 2003, 한반도 배경지역 강수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9, 29-41. 

  5.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 333-355. 

  6. 신명환, 맹승호, 김찬종, 2010, 초.중등 과학 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36-50. 

  7. 오필석, 2006,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 추리 전략들.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546-558. 

  8. 이상호, 최현용, 손영태, 권효근, 김영곤, 양재삼, 정해진, 김종구, 2003,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바다, 8, 138-150. 

  9. 이승구, 양동윤, 홍세선, 곽재호, 오근창, 2003, 희토류원소를 이용한 순창지역 섬진강 수계내 하상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지질학회지, 39, 81-97. 

  10. 정용재, 송진웅, 2006, Pierce의 귀추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703-722. 

  11. 정은숙, 김찬종, 2010, 대기 중 물의 상태변화에 관한 중학생의 글에서 나타나는 의미관계 및 과학 언어적 특성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 288-299. 

  12. 차현정, 2010,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91 p. 

  13. 함석진, 맹승호, 김찬종, 2010, '과학동아' 지구과학 기사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과학 잡지의 과학 대중화 기제. 한국지구과학회지, 31, 51-62. 

  14. Christie, F., 2002,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A functional perspective. Continuum, New York, USA, 196 p. 

  15.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Continuum, London, UK, 384 p. 

  16. Fang, Z. and Schleppegrell, M.J., 2008, Reading in secondary content areas: A language-based pedagogy.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USA, 135 p. 

  17.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 335-347. 

  18.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491-520. 

  19. Gee, J.P., 2005, Language in the science classroom: Academic social languages as the heart of school-based literacy. In Yerrick, R.K. and Roth, W-M. (eds.), Establishing Scientific Classroom Discourse Communities: Multiple Vo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USA, 19-37. 

  20. Halliday, M.A.K. and Martin, J.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ittsburgh, USA, 283 p. 

  21. Halliday, M.A.K. and Matthiessen, C.M.I.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Arnold, London, UK, 689 p. 

  22. Henderson, J. and Wellington, J., 1998, Lowering the language barrier in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9, 35-46. 

  23. Latour, B. and Woolgar, S., 1986, Laboratory life: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fac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USA, 294 p. 

  24.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orwood, USA, 261 p. 

  25. Martin, J.R., 1993, Literacy in science: Learning to handle text as technology. In Halliday, M.A.K. and Martin, J.R. (eds.),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ittsburgh, USA, 166-202. 

  26. Martin, J.R. and Rose, D., 2003, Working with Discourse: Meaning beyond the clause. Continuum, London, UK, 293 p. 

  27. Martin, J.R., 2009, Genre and language learning: A social semiotic perspective. Linguistic and Education, 20, 10-21. 

  28. O'toole, M., 1996, Science, schools, children and books: Exploring the classroom interface between science and languag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8, 113-143. 

  29. Reeves, C., 2005, The language of science. Routledge, New York, USA, 131 p. 

  30. Schleppegrell, M.J., 2004,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USA, 190 p. 

  31. Veel, R., 1997, Learning how to mean scientifically speaking: Apprenticeship into scientific discourse in the secondary school. In Christie, F. and Martin, J.R. (eds.), Genre and institutions: Social processes in the workplace and school. Continuum, New York, USA, 161-195. 

  32. Vygotsky, L.S., 1987, Thinking and speech. In Rieber, R.W. and Carton, A.S., The collected works of L.S. Vygotsky (Vol. 1): Problems of general psychology. Plenum Press, New York, USA, 37-285. 

  33. Wellington, J. and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UK, 152 p. 

  34. Westby, C. and Torres-Velasquez, D., 2000,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A sociocultural approach.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1, 101-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