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경축순환농업 육성을 위한 인증제도 개선 방안
The Improvement of Certification Institution for Small Farming Cycling System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19 no.4, 2011년, pp.435 - 461  

최덕천 (상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교양과, 환경생태경제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ield surveys and theoretical discussion whether small farmers thinks there are economics of scope in small organically grown cropslivestock farming cycling system. The discus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end of October 2011, the cycling agriculture farms are only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경종 순환농업으로 환경오염원을 최소화하는 모형이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경종과 축산의 분리, 전업화 · 단작화는 순환농업의 선순환구조를 제한하는 요인이다. 고한종 · 최홍림 · 김기연(2005)은 가축분뇨가 질산태 질소오염의 원인으로써 특히 집약적 경종-축산복합지역에서 그 농도가 높게 나온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축산-경종 순환농업으로 환경오염원을 최소화하는 모형이 필요하다.
순환(循環)의 예는? 먼저, 순환(循環)이란 용어는 농업에서 다양한 범주에 사용되고 있다. 즉, 농지 내에서 미생물에 의한 양분 · 물질순환, 농가 내 품목간 순환인 경축순환, 지역 내 자원간의 순환, 산업간 순환, 사회적 순환이 그 예이다.
경종과 축산의 분리, 전업화 · 단작화는 어떤 요인인가? 경종과 축산의 분리, 전업화 · 단작화는 순환농업의 선순환구조를 제한하는 요인이다. 고한종 · 최홍림 · 김기연(2005)은 가축분뇨가 질산태 질소오염의 원인으로써 특히 집약적 경종-축산복합지역에서 그 농도가 높게 나온다고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1. 친환경농산물정보시스템 DB. 

  2. 고한종?최홍림?김기연. 2005. 질소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에서의 질산태질소 오염원 구명.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3) 

  3. 권광식?최덕천. 2008. 환경생태경제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 권오상?김기철?노재선. 2004. 설문조사기법을 이용한 다원적 농업의 범위의 경제성 검정. 농업경연구. 45(2) 

  5. 김종덕. 2011. 한국의 유기축산 현황과 유기조사료 생산에 의한 유기축산의 활성화. 한국유기농업학회 상반기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6. 농림수산식품부. 2011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7. 동국대학교. 2006. 자연순환형 유기농업 표준모델 개발. 농림부. 

  8. 더글러스 C. 노스 저, 이병기 역. 1996. 제도, 제도변화, 경제적 성과. 한국경제연구원. 

  9. (사)친환경농산물인증기관협회. 2011. 친환경농산물 인증심사 매뉴얼. 

  10. 상지대학교 국제친환경유기농센터. 2010.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실제. 

  11. 유진채 외 3인. 2010.유기농업의 공익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 한국유기농업학지. 18(3). 

  12. 윤성이?박선호. 2009. 자원순환형 농업단지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경영정책연구. 36(1). 

  13. 윤성이. 2010. 농업농촌의 미래발전모델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8(4). 

  14. 윤성희?박동하?최시영?김정은. 2009. 소규모 유기농가 단위의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 연구. 2009년도 하반기 학술발표대회 자료집(포스터). 

  15. 이주삼. 2004. 순환농업의 원리와 실천. 친환경농업과 생명환경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6. 이주삼?최덕천. 2011. 소규모 경축순환농업을 위한 인증제도 개선 방안. 2011년 한국유기농업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자료집. 

  17. 이준구. 1998. 미시경제학. 법문사. 

  18. 이지은?허승욱. 2009. 가축분뇨의 순환이용시스템 및 편익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8(2). 

  19. 전남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2010. 자연순환농업을 위한 양분관리 매뉴얼. 

  20. 정만철. 2011. 민간실천 벼 유기농업기술의 경영특성 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9(1). 

  21. 최덕천. 2009. 친환경농업 농지 임대차 제도의 개선방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4). 

  22. Ejvind Predersen. 2009. Organic dairy farming in Denmark -from pioneer to leader in the world. 한국유기농업학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ood. 

  23. E. von Borell. 2004. Trends and development in organic livestock farming system,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vol 90. 

  24. Funes, F. et al. 2001.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Food First Books, Oakland. 

  25. M. Hovia, A. Sundrumb, S. M. 2003. Animal health and welfare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in Europe: current state and future challenges. Thamsborgc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80: 41-53 

  26. M Vaarst, Tjele, S Roderick. et al. 2003. Animal Health and Welfare in Organic Agriculture. CABI Publishing. 

  27. Vonne Lund, Sven Hemlin, William Lockeretz. 2002.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as viewed by Swedish farmers and organic initiators. Agriculture and Human Values. 19: 255-2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